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18 13:49:49
Name VictoryFood
출처 유튜브
Subject [유머] 가격대별 바이올린 비교.shorts


첫번째는 뭐랄까 쇠소리 같은게 나는 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네요.
두번째 세번째는 사실 차이를 잘 모르겠어요. 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가트롤
25/09/18 13:51
수정 아이콘
전부 똑같은 거 아닌가요?
handrake
25/09/18 14:00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볼때마다 궁금했던건데,
첫번째야 공장제니 그렇다치고 2,3번째는 현대 기술이 더 발전했으니 2번째가 더 좋아야하는거 아닌가요?
뭐 그때 나무가 악기만들기 더 좋고 이렇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현대 나무품종을 다 뒤져보면 18세기나무보다 더 좋은게 분명 나올텐데....
회색사과
25/09/18 14:06
수정 아이콘
가격같은 걸 차치하고..

전문가들에게 3번이 2번보다 좋은 소리라고 컨센서스가 생긴다고 한다면...

어쩌면 3번 같은 소리를 좋은 소리라고 하자고 익혀온 것은 아닐까요?
안군시대
25/09/18 14:27
수정 아이콘
저도 줏어들은 얘기지만, 바이올린에 많이 쓰는 품종의 나무 중 소빙하기에 자란 나무가 목질이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더 좋은 소리가 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 그 시기에 자란 나무가 남아있지 않고요. 제작기술은 당연히 현대가 더 좋겠지만 재료 수급이 안되는거죠.
우상향
25/09/18 14:33
수정 아이콘
어떤 소리가 더 좋은 것인가는 학습돼서 후대로 전승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같은 공장제라도 바이올린마다 미세하게 소리가 다른 경우는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연습하느라 집밖에 나가지 않더라도 바깥 날씨가 어떻게 변했는지 바이올린 소리로 알 수 있다고 얘기하더군요. 습도에 따라 악기나 악기 줄의 팽팽함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평생 같은 소리만 듣다 보면 그만큼 미세한 소리 변화도 알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 날까지 전해져 오는 유물급 악기들은 소위 거장들에 의해 검증된 것들이라고 봐야겠죠.
덴드로븀
25/09/18 14:37
수정 아이콘
저런건 기술과 디지털로 분석가능한 소리의 동일성만으로 가격이 책정되는게 아니니까요.
공실이
25/09/18 15:03
수정 아이콘
그런 부분도 있지만 특정 고가의 제품은 특정 나무로 만들어야하는데 자연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더이상 구할수 없는 경우도 있구요, 오래 말라야 더 좋은 재질이 되는 경우도 있고, 특정징인의 기술이 전승이안되고 없어지는 경우도 있고...
역사적인 스토리를 빼도 다양한 이유가 있더라구요.
하이퍼나이프
25/09/18 15:07
수정 아이콘
https://mbiz.heraldcorp.com/article/85995

실제로 블라인드 테스트가 여러번 진행됐고
현대의 좋은 재료와 기술력으로 만든 수천만원대 바이올린이
수십억을 호가하는 올드한 바이올린보다 소리가 더 좋다고 일관되게 검증되었다 하네요
그렇다고 몇십만원짜리랑 비슷하다는건 아니고 수천만원도 분명 명품이지만...
25/09/18 14:01
수정 아이콘
와.. 모르겠어요...
수리검
25/09/18 14:04
수정 아이콘
이 영상이 사기고 똑같은 거 세개 똑같이 켰다고 해도
한치의 의심없이 믿을 듯 ..
Mea Clupa
25/09/18 14:05
수정 아이콘
8억...
열혈둥이
25/09/18 14:08
수정 아이콘
전형적인 아만보군요.
전 몰라서 모릅니다. 크크
25/09/18 14:10
수정 아이콘
2,3은 블라인드 테스트하면 맞출수 있나..
더스번 칼파랑
25/09/18 14:23
수정 아이콘
전 1,2번이 비슷해보이고 3번이 약간 더 부드러운 느낌이 나는? (울리는 소리 차이일듯?)
요망한피망
25/09/18 14:30
수정 아이콘
가성비가 너무 떨어진다...
25/09/18 14:3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저 쇼츠 좀 된거 같은데.. 아마 저 쇼츠로 저도 저 바이올리니스트 유튜브 한참 구독했던 기억이 납니다.
영원히하얀계곡
25/09/18 14:54
수정 아이콘
가성비 살래요..
HighlandPark
25/09/18 14:57
수정 아이콘
현악기를 취미로 10년 가까이 해오고 있습니다.
10만원 이하 싸구려 악기급이면 모를까 왠만한 악기들은 [영상으로] 차이 느끼기 힘듭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악기가 200만원 좀 안되는 악기인데 1억 가까이 하는 악기 잠깐 만져보니 차이가 확 느껴지더군요. 근데 그걸 영상으로 찍으니 별 차이 없어 보이더라구요...
카미트리아
25/09/18 15:12
수정 아이콘
유튜브가 음질이 좋은 소스가 아니긴 하죠
츠라빈스카야
+ 25/09/18 16:53
수정 아이콘
이거 그거군요.
XXX : 거 유튜버가 240Hz모니터 좋다는 리뷰 하던데 아무리 비교영상을 봐도 내가 보기엔 내 모니터랑 똑같은데?
YYY : 아 님 모니터가 후진데 그걸로 보면 당연히 똑같지!
로드바이크
25/09/18 14:59
수정 아이콘
연주자가 급이 높으면 안좋은 바이얼린도 소리가 좋더라고요. 그리고 활! 도 중요하고
명탐정코난
25/09/18 15:03
수정 아이콘
1번은 좀 다르고 2,3번은 구별 못하겠네요
몽키매직
25/09/18 15:05
수정 아이콘
좋은 재료로 만든 좋은 물건은 인스타나 유튜브 등 매체 통해서 구별하기 힘듭니다.
25/09/18 15:07
수정 아이콘
군대 있을때 내 K-2 말고 다른거 쏴봐도 차이점을 느끼는데 영상으로 보는거 하고 실사용은 확연히 다르긴 할겁니다.
+ 25/09/18 15:40
수정 아이콘
실제로 들으면 모던악기가 쨍쨍하고 커서 저런 영상으로 들으면 더 좋게 들릴 수도 있습니다 좋은 악기의 기준은 바로 옆에서 켜는 소리가 아니라 콘서트홀에서 얼마나 잘 뻗어나가냐라는 말이 기억나네요
타시터스킬고어
+ 25/09/18 15:40
수정 아이콘
순서 바꿔도 그러려니 할거 같아요 크크
+ 25/09/18 16:00
수정 아이콘
패완얼 마냥 장비는 기본 이상만 되면 결국은 연주자가 9할 아닌가싶어요.
+ 25/09/18 16:01
수정 아이콘
1 vs 23도 그냥 자막 틀리게 달면 대다수는 그런갑다 할듯
연주도 너무 짧고 잘 모르겠어요.
Darwin4078
+ 25/09/18 16:15
수정 아이콘
유튜브로 이렇게 한두마디 듣는 것으로는 악기의 차이를 알 수가 없습니다.

고음에서 찢어지지 않고 고르게 퍼져나가는 음질, 공간을 채우는 음량 등의 차이, 라이브로 들었을 때 소위 말하는 청자들을 찌릿찌릿하게 만드는 악기가 실제로 있습니다. 그리고, 연주자의 스킬과 실수를 감추어주는 좋은 악기들이 비싼 악기일수록 많죠. 연주자의 성향과 궁합이 맞는 악기라든가, 활과의 궁합이라든가 하는 변수도 있습니다.

스케일 연주 1~2분 정도 들어보면 문외한이라도 아, 이거구나 싶은 느낌이 옵니다.
슬래쉬
+ 25/09/18 16:38
수정 아이콘
라이브로 들어야 차이가 느껴지고
해당 악기에 대한 경험이 많을수록 차이가 느껴집니다
뭐가 좋은 소리인지를 알아야 들었을때 알죠 흐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7118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90182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96057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1016404
519445 [유머] 최종 결승곡 화성갈끄니까 존버 김삼관209 25/09/18 209
519444 [서브컬쳐]  혼문을 왜 여시는 거죠? 카미트리아272 25/09/18 272
519443 [기타] 이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 찰리 커크 사망사건 [5] 롤격발매기원416 25/09/18 416
519442 [기타] 폭군의 셰프, 요리는 정치다. 퀀텀리프390 25/09/18 390
519441 [LOL] 오늘의 전문가 예측 [9] 카루오스441 25/09/18 441
519440 [유머] 배우 박정민이 영화에 무명 배우 추천한 썰 [5] 아롬1200 25/09/18 1200
519439 [게임] 스마게의 신작 미소녀 게임 티저 [6] 묻고 더블로 가!1393 25/09/18 1393
519438 [유머] 아침 6시 반까지 출근하세요!!! [54] 매번같은3395 25/09/18 3395
519437 [유머] 만화에서나 보던 일이! [13] 밥과글3346 25/09/18 3346
519436 [유머] 가격대별 바이올린 비교.shorts [30] VictoryFood3127 25/09/18 3127
519435 [LOL] LCK 멸망전 포스터 [30] 카루오스3006 25/09/18 3006
519434 [유머] 최근 한류에 푹 빠진 촉촉보 좌.jpg [13] 캬라5266 25/09/18 5266
519433 [유머] 전설의 롤잘알 아주머니 [12] 길갈4642 25/09/18 4642
519431 [유머] 지구 1황 근황 [51] 전기쥐6897 25/09/18 6897
519430 [유머] 일론 머스크가 생각하는 오늘날 대학이 가지는 의미 [60] EnergyFlow5247 25/09/18 5247
519429 [방송] 케데헌 실사화 촬영현장.AI [25] 묻고 더블로 가!4159 25/09/18 4159
519428 [연예인] 이민정 유튜브에 모자이크 상태로 출연한 영화배우 [11] EnergyFlow4910 25/09/18 4910
519427 [스포츠] 한국 관중들 제대로 웃겨 주는 드록바 [16] 시나브로5501 25/09/18 5501
519426 [유머] 효과 확실한 헬스장 pt [8] 카루오스6564 25/09/18 65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