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11/25 04:13:59
Name 포졸작곡가
Subject 르세라핌의 antifragile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평소에 아이돌 음악 좀 많이 들어 놓을 걸 하는 후회를 합니다..

원곡하고는 느낌이 많이 다를겁니다...

(다를 수 밖에 없기도 하구요~)


가장 까다로웠던 건...

랩처럼 음높이가 부정확하게 부르는 부분이 꽤 많았는데

그게 가장 난감합니다.


어쨌든 오케스트라는 음고가 있는 악기들이라서

원곡에서 정확한 음고가 있어야 편안하게 편곡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나오는 안티티티 프라질프라질....

여기서부터 난관에 부딪혔는데

음이 반음씩 떨어지는 걸로 처리를 했습니다...

(그렇게 들리데~~~)


그리고

과도하게 웅장하게 처리하지 않았나하는 반성도 해봅니다~

마지막에는 다 때려 넣었거든요......


잘 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 오르골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6-25 10:57)
* 관리사유 : 좋은 글과 곡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25 09:46
수정 아이콘
파이널 판타지 브금 같아서 좋네요 이렇게 들으니
JazzPianist
22/11/25 10:01
수정 아이콘
파이널판타지 브금을 아이돌곡처럼 바꿔봐도 재밌겠네요
22/11/25 12:29
수정 아이콘
악기 연주자들이 정말 연주한 건가요?
포졸작곡가
22/11/25 12:31
수정 아이콘
실연은 아니구요~

가상악기를 좋은 거로다가
구입해서 컴터가 연주했습니다~^^
22/11/25 12:42
수정 아이콘
게임 OST같은 느낌이네요. 잘 들었습니다.
계층방정
22/11/25 13:15
수정 아이콘
저도 게임이나 만화영화 OST 같다는 느낌을 받네요. 취미로 하면서 알게 된 거지만 게임이나 만화영화 OST에 오케스트라가 많이 쓰여서 그런지 현대적인 오케스트레이션에서 이런 삽입곡풍이 느껴지는 게 아닌가 싶어요. 좋은 곡 감사합니다.
원곡과의 차이에 집중해서 듣다 보니 원곡은 반주에 F-G♭ 동기가 한 절을 A-B-C로 나누면 서주부터 A, C 전체에 일정하게 깔려 있는데(오케스트라에 비견하면 피콜로 소리랑 유사하게 들리네요), 이 오케스트레이션에서는 그 부분이 없는 게 눈에 띄는 것 같습니다. 예전 호불호 좀 갈리던 레드벨벳의 짐살라빔에서 곡 전체에 깔려 있던 F-C-G 반복과 비슷한 기법인가 싶기도 한데 저는 클래식 취미가고 대중음악은 더 몰라서 배운 거 없이 그냥 제 추측입니다.
포졸작곡가
22/11/25 13:18
수정 아이콘
원곡을 많이 듣고 작업한거긴 한데

오케스트라로는 원곡 느낌을 재현해내기는
불가능하겠더라구요.

그래서 아예 다른 방향으로 풀어냈습니다~
계층방정
22/11/25 13:2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역시 아이돌 음악과 오케스트라 악기 간에는 차이가 많이 있군요. 편곡하실 때 어떤 방향을 정해놓고 만드셨나요?
포졸작곡가
22/11/25 14:00
수정 아이콘
클라이막스까지 끌고가는 빌드업에 신경을 씁니다~~

이건 작곡에도 해당되는거네요~~^^
22/11/25 13:41
수정 아이콘
랩파트를 오케스트라나 챔버로 편곡 하는 경우 비올라나 바이올린 같은 스트링의 일정음들을 반복해서 오가는 형식으로 처리하는 걸 들은 기억이 있네요.
잘 들었습니다. 본문보고 들었던 생각보다 절제가 잘 된 웅장함이었습니다.
법돌법돌
22/11/25 17:29
수정 아이콘
어? 이걸 어케 편곡하나 했는데 생각보다 괜찮은데요
22/11/25 23:34
수정 아이콘
진짜 보스 잡으러 가는 느낌 나네요 크
잘 들었습니다.
유튜브도 구독 꾸욱!
포졸작곡가
22/11/26 02:3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닉넴바꾸기좋은날
22/11/26 10:24
수정 아이콘
허허 고수시네요... 취미로 작곡/편곡 공부중인데 너무 어렵읍니다...
24/06/28 10:17
수정 아이콘
오.. 이제 포교작곡가 하셔도 될듯...
율리우스 카이사르
24/07/01 16:56
수정 아이콘
와 너무 좋네요. 뉴진스 하우스윗도 해주시면 안되요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64 [역사] 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7] meson14458 24/03/10 14458
3863 토리야마 아키라에게 후배들이 보내는 추도사 [22] 及時雨14672 24/03/08 14672
3862 바야흐로 마라톤 개막 시즌 입니다. [31] likepa13946 24/03/06 13946
3861 [역사]이걸 알아야 양자역학 이해됨 / 화학의 역사 ③원자는 어떻게 생겼을까? [31] Fig.114214 24/03/05 14214
3860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30] 烏鳳15766 24/02/22 15766
3859 설날을 맞아 써보는 나의 남편 이야기 [36] 고흐의해바라기14896 24/02/12 14896
3858 열매의 구조 - 겉열매껍질, 가운데열매껍질, 안쪽열매껍질 (그리고 복숭아 씨앗은 일반쓰레기인 이유) [21] 계층방정14164 24/02/08 14164
3857 향린이를 위한 향수 기초 가이드 [76] 잉차잉차14675 24/02/08 14675
3856 [역사]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 화학의 역사① [26] Fig.114132 24/02/06 14132
3855 회사에서 설사를 지렸습니다 [154] 앗흥16451 24/02/08 16451
3854 [LOL] 53세 할재(?) 에메랄드 찍기 성공 [41] 티터14662 24/02/07 14662
3853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23 최고의 앨범 Best 15 [12] 김치찌개13906 24/02/04 13906
3852 [역사] 손톱깎이 777 말고 아는 사람? / 손톱깎이의 역사 [29] Fig.114208 24/01/23 14208
3851 구조적 저성장에 빠진 세계, AI는 이 한계를 뚫을 수 있을까 [34] 사람되고싶다14246 24/01/21 14246
3850 조선의 젊은 아베크족들이 많은 걸 모르셨나요? - 1940년 경성 번화가를 걸어보다. [12] KOZE16658 24/01/13 16658
3849 2023년 영화 베스트 25 - 주관 100% [23] azrock15540 24/01/12 15540
3848 과학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 과학철학의 역사 [32] Fig.115513 24/01/09 15513
3847 pgr 삼촌의 시티팝 추천곡 [26] 라쇼15421 24/01/08 15421
3846 [서평] '변화하는 세계질서', 투자의 관점으로 본 패권 [51] 사람되고싶다15150 24/01/05 15150
3845 골수 서구인인줄 알았던 내가 알고보니 MZ유생? [22] 사람되고싶다13856 24/01/09 13856
3844 [기타] 이스포츠 역사상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상에 오른 선수들 [39] 워크초짜13149 23/12/23 13149
3843 와인도 이렇게 열심히 사는데 / 와인의 역사 [25] Fig.114102 23/12/14 14102
3842 구글 픽셀 5년차 사용기(스압, 데이터 주의) [37] 천둥14311 23/12/02 143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