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1/25 02:21
친구분이 주장하는 건 흔히 볼 수 있는 과학 현상이죠. 예를 들어 컵에 물과 얼음을 넣어 넘치기 직전의 상황일 때
수면 위로 떠 있는 얼음의 일부분 때문에 얼음이 다 녹으면 넘칠 것 같지만 실제로 다 녹으면 똑같이 넘치기 직전의 상황이 됩니다. 이 현상은 밀도 때문인데 사실 초등학교 과학 시간에 배우는 내용입니다만...그래서 오히려 잘 까먹습니다.
11/11/25 02:24
얼음을 물에 띄워보면 대략 9할은 수면밑으로, 1할은 수면 위로 뜰거에요. 실제 북극이 그런 형태라고 보시면 되겠구요
수면위로 얼음이 나오는 부분만큼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적기 때문에 얼음이 다 녹아도 수면의 높이에는 전혀 영향이 없습니다. 반면에 남극의 얼음은 육지위에 있기 때문에 녹아서 바다로 흘러들면 녹아든 양만큼 바닷물양이 늘어나게 되므로 해수면도 올라가겠죠 당연히
11/11/25 05:13
덧붙이면 해수면 상승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건 기온이라고 하더라구요. 고등학교 때 시험문제에서 매력적인 오답으로 '해수면의 상승의 원인은 북극의 빙하가 녹아서이다' 라고 나와서 똑똑히 기억 합니다. 이때 저것도 답이 될수 있다고 애들이 우겼었는데 문제에서 가장 알맞은것을 고르라고 해서 틀린거라고 그러셨습니다 크크 만약 수능이였다면 ?!!?!?!?!?
11/11/25 06:03
온도가 올라가면, 그린란드나 남극뿐만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해수면 상승을 야기합니다.
고도에 따른 빙점이 올라가기때문에, 많은 눈들이 녹을테고 그것들은 바다로 흘러가게 되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평균 빙점이 2,000m인데 3,000m로 올라가면 그 구간에 있던 눈이 다 녹아서 바다로 가겠죠. 전량이 바다로 흘러가지 않겠지만, 거의 대부분은 바다로 흘러갈겁니다. 땅에 흡수되더라도 어떤식으로든 가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