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1/24 22:38:33
Name 텔레파시
Subject i3 + ssd VS i5
적정선으로 중저가(40~60만) 컴퓨터 한대 맞추려고 합니다.
그런데 요즘 대세가 i3와 i5가 있더군요.
가격은 i3가 10만원대 초중반, i5가 20만원대 초중반으로 형성되구요.
i3와 i5 가격차이만큼 성능차이도 2배 가까이 나나요?
i3 에 ssd달면 i5에 ssd없는 성능차이보다 실체감성능폭이 클까요?
제가 쓰는 용도는 인강+인터넷서핑+프리스타일/피온2 +가끔 피파2012정도..입니다.

그리고
요즘 다나와하고 pgr질게 등 제가 아는 곳에서 보면서 요즘 대세를 알아가고 있는데,
모니터와 스피커, 키보드쪽은 잘 모르겠네요.
모니터는 요즘 몇인치가 대세인지요? 예전 겜방에서 27인치인가 28인치 써봤는데 그건 너무 눈아프고 목아파서 못쓰겠더군요.
스피커는 2.1ch 아무거나 사면 다들 비슷한 성능 내는건가요? 당연지사 유명브랜드가 있을텐데, 이건 전혀 모르겠네요.
키보드는 기계식이 좋다고 하는데, 제가 지금 i-rocks(노트북처럼 생긴키보드)쓰고 있는데 키감은 만족합니다.
(반응속도와 최근들어 생긴 키가 씹히는 현상때문에 바꾸려 하네요.) 이런 보통 키보드와 비교했을때 성능차이가 큰편인가요?
제가 키높이가 적고, 키압이 적을수록 좋고, 소음적은 키보드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
추가로 용도에 프로그램 코딩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이걸 안써넣었네요..ㅠ.ㅠ 먼저 답변달아주신 분들 죄송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망고스퀘어
12/01/24 22:42
수정 아이콘
당연히 전자라고 봅니다.
컴퓨터 부품을 바꿀때 가장 체감이 잘 드러나는게 ssd거든요..
고마아주라
12/01/24 22:48
수정 아이콘
근데 ssd 최소 100기가 이상짜리로 사셔야할텐데..
전자 후자 가격차이가 꽤 날텐데요;;
60기가는 비추입니다. [m]
텔레파시
12/01/24 22:51
수정 아이콘
os와 필수프로그램만 깔려고 60기가 보고 있었는데, 흐음.. 가격차이가 10만원정도 나네요.. 컴퓨터 가격 조율을 다시해봐야 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_ _ )
우던거친새퀴
12/01/24 22:49
수정 아이콘
당연히 스피커도 가격, 브랜드에 따라서 성능이 천차만별입니다.

아이락스라면 펜타크래프를 쓰실텐데 기계식과 펜타그래프는 상당히 다르죠.
그리고 장단점도 확연하게 차이가 납니다. 키감자체가 스타일이 전혀 다릅니다. 소음이라거나 이런건 기계식보다 펜타그래프 쪽이 낫죠.
몽유도원
12/01/24 22:52
수정 아이콘
인코딩이나 고성능게임(사실 게임의 경우는 CPU보다는 그래픽카드의 영향이 크죠)을 하는게 아니라면 i5는 가격대 성능비에서 많이 떨어집니다. 질문자님의 사용패턴에 따라 최고의 가성비는 i3+SSD 달고 추가로 HDD를 다는게 훨씬 좋아보입니다.

모니터는 잘 아시겠지만 와이드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고, 대기업제품중에는 삼성이나 LG, 중소기업제품 중에서는 개인적으로 알파스캔 제품 추천드립니다. 각 차이는 아시다시피 AS입니다. 중소기업은 지역별 지점이 없기 때문에 문제생기면 택배AS를 보내야하는데, 알파스캔 제품은 AS평도 꽤 괜찮은 편이고, 실제 제가 22,24,26 이렇게 3대를 사용중인데 가장오래된 22인치를 3,4년정도 사용했는데 문제한번 없었습니다.

스피커는 왠만큼 고급귀가 아니시라면 보스나 브리츠같은 메이커에서 적당히 디자인, 리모컨 여부 보시고 구매하시면 됩니다. 일반 사용용도면 2.1로 충분합니다.

혹시 기계식 키보드를 직접 쳐보신적이 있으신지 모르겠으나, 한번 실제로 타건해 보시면 기계식의 매력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단 10만원대에 육박하는 가격이 좀....;;;;) 여튼 글로는 표현할 수 없는 그런 느낌입니다. 다만, 여러종류의 기계식 키보드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시끄럽습니다. 이 소리 때문에 기계식 키보드를 선호하는 분도 계시지만 소음에 민감하시다면 그닥 추천드리긴 어렵겠군요. 그리고 반응속도는 게임을 잘 안해서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기본적으로 기계식 키보드는 4개 이상의 동시키입력을 지원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구매하신다면 스펙을 자세히 한번 보시고 구매하는게 좋지 싶습니다.
텔레파시
12/01/24 23:00
수정 아이콘
아참 ,인코딩도 합니다..빼먹었네요..
이제 전역한지 한달남짓 되어서, 집에서 뭔가를 하려니 이게 09년 최저가형으로 맞춘거라 상!당!히 버겁네요..
코딩하면 i5쪽으로 무게가 가는건가요..?

모니터는 저 맞출당시 룸메친구가 알파스캔 22인치를 샀는데, 적당해보이더군요. 그래서 22~23인치 사려는데 요즘 트렌드에 비해 많이 작은게 아닌가? 하는 마음도 들어서, 요즘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크기폭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해서 적게 되었네요. 그런데 요즘도 알파스캔이 괜찮은 편인가 보군요..

스피커는 말씀해주신 브랜드와 조건중심으로 찾아봐야겠군요. 흐흐..

그런데 기계식키보드는 소음이 다 그렇게 심한건가요? 그렇다면 지금 쓰는키보드 상위모델로 가는게 더 나을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_ _ )
13롯데우승
12/01/24 23:08
수정 아이콘
기계식 중 청축의 소음은 좀 심각한 수준이지만 갈축부터는 일반 멤브레인과 그렇게 큰 차이를 못느끼겠고 흑축은 오히려 멤브보다 조용하다는 느낌이 들 때도 많습니다.
하지만 소음이 가장 적은건 펜타그래프니 소음 적은 걸 원하시면 펜타그래프를 쓰셔야겠죠.
parallelline
12/01/24 23:42
수정 아이콘
1. 하시는용도면 i3나 i5나 별차이가 없기 때문에 SSD를 추가하시는게 더 큽니다. 다만 SSD는 어디까지나 보조기억장치이기 때문에 로딩, 파일 읽기 복사 설치 등등 이런게 빨라지는거지 프로그램의 성능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꼭 SSD를 구매할 이유는 없습니다.

2. 요즘은 23인치 16:9 모델이 저렴하게 많이 나오는 추세입니다... 전 16:10 22인치쓰지만 요즘은 이렇게 안나오더라고요... 23인치 모델들이 저렴하고 인기도 많습니다. 다만 16:9 모델을 처음 써보는거라면 생각보다 납작(?)해서 적응이 좀 필요합니다.

3. 뭐 스피커는 돈 어느정도 써줘서 나쁠껀 없습니다.. 2.1 채널이면 지금도 세컨에 물려 쓰고있는 크리에이티브 SBS A220이 있는데 저렴한거치곤 그냥저냥 무난한거 같더라고요.. 가격은 2만원 초중반 수준입니다. 2.1채널의 우퍼음 느낄꺼면 괜찮은거같애요. 다만 음악감상이 중점이라면 그냥 2채널을 사는거 추천드립니다.

4. 하시는용도라면 기계식을 살 이유가 하등없습니다. 흔히말하는 반응속도, 무한입력 이런건 멤브도 잘되는건 잘됩니다...
기계식을 사는 이유는 특유의 키감과 장시간 타건시 피로감이 덜한것도 있어요. 또한 텐키레스 모델이 있는점도 있고요.. 하시는용도라면 그냥 무한입력되는 멤브사시면 될꺼같네요. 펜타가 소음에서 좋긴한데 하시는게임들이 동시입력좀 하는겜이라 별로 추천드리고 싶진않네요... 펜타그래프 방식 중 동시입력 잘되는 모델 찾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키높이낮고, 키소음 따진다면 펜타가 괜찮겠네요. 다만 펜타는 키압은 좀 있습니다.. 그냥 노트북 키보드라고보시면 됩니다.)
5.기계식은 제가 소음이 작은편인 적축(흑축에서 키압을 줄인 모델입니다..)쓰지만 이것도 멤브보단 소음이 큽니다... 그리고 흑축은 키압이 좀 있으므로 키압낮은거 좋아한다면 실망하실수도 있고요... 무조건 기계식 가실 이유는 없을꺼같습니다.
우던거친새퀴
12/01/25 00:44
수정 아이콘
2채널이라도 스피커 어느정도 소리를 기대할려면 최소 4~5만원정돈 투자하셔야된다고 생각합니다.
그이하가격대로는 만원도 안하는 놈들빼곤 다 거기서 거기라고 봅니다.
지나가다...
12/01/25 00:44
수정 아이콘
ssd는 교체했을 때 가장 만족도가 높은 하드웨어라고 하더군요. 고성능 게임이 목적이 아니라면 전자가 나은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리고 기계식 키보드는 일단 맛을 알면 멤브레인은 답답해서 못 씁니다. 키감 차이가 꽤 납니다.
그런데 키높이가 적고, 키압이 적고, 소음이 적은 키보드라면 기계식은 해당 사항이 별로 없네요.
다만 키보드 입력을 많이 하신다면 기계식 장만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피로감이 훨씬 줄어듭니다. 키감이 마음에 들면 딸각거리는 소리는 리듬으로 들릴 수도 있습니다. :-) 필코 마제스터치 무소음 정도면 어떨까 싶은데, 이게 환율이 올라가는 바람에 가격이 폭풍 상승해 버려서..ㅡㅡ;; 10만 원 초반에 구입할 수 있는 것들도 있으니 키보드매니아 등에서 조금 알아 보시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처음에는 중고로 좀 싸게 구입해 보셔도 되고요.
Je ne sais quoi
12/01/25 05:05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 코딩은 사용하시는 IDE가 있느냐의 유무에 따라 크게 달라질 거 같네요. 저 같이 vi만 쓰시면 코딩은 몇년 된 컴퓨터에서도 합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352 광주광역시 보컬학원 질문입니다 JCM2275 12/01/25 2275
125351 남자 5명이서 강원도 여행을 하려고 하는데요. [5] 사페군2114 12/01/24 2114
125350 전세집 확정일자 문의 [8] 2892 12/01/24 2892
125349 [사람찾기] 잠깐 활동했던 개그우먼? 방송인을 찾습니다. 능력자분 도와주세요. [1] Liberal2169 12/01/24 2169
125348 종로3가역, 광화문역, 종각역 근방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 [6] 새강이2340 12/01/24 2340
125347 핸드폰 카메라로 외국어 문자를 찍으먼 변역되는 어플있으면 추천부탁드려요 본좌1555 12/01/24 1555
125346 스마트폰 구입 질문입니다 ㅠ [1] 비오는거리1318 12/01/24 1318
125345 도쿄 여행(방사능,지진) 질문입니다. [6] 관심좀2160 12/01/24 2160
125343 완전 초보자의 중국어 과외를 할 경우에는 어떤 책을 쓰는 것이 좋을까요? [3] 언데드네버다��1792 12/01/24 1792
125342 와이파이 질문요~ [2] 남자4호1562 12/01/24 1562
125341 i3 + ssd VS i5 [19] 텔레파시2439 12/01/24 2439
125339 신림동 고시촌 앞에 서점이름이 뭐죠? [5] 나나리지2635 12/01/24 2635
125338 시계 추천좀 부탁드려요 [11] 미다스2338 12/01/24 2338
125337 윈도우7 부팅속도 느려짐에 대처할 방법이 있나요? [4] 고마유5202 12/01/24 5202
125335 전라북도 여행지좀 추천해주세요~. [5] 야한남자2361 12/01/24 2361
125334 프로리그 오프를 가려고 하는데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6] 리니시아1835 12/01/24 1835
125333 베개 관련 질문입니다 [3] 언제나남규리2061 12/01/24 2061
125332 게임실행중 컴퓨터가 자꾸 꺼져버립니다 [1] 그렁그렁2152 12/01/24 2152
125331 제 웹갤러리에 페이지 링크가 이상합니다. [2] MoreThanAir1681 12/01/24 1681
125329 lol 와드 관련 질문 있습니다. [4] 황신강림2369 12/01/24 2369
125328 종로구에서 소개팅 두번째 애프터 할 식당 추천 부탁드려요 [8] 새강이2845 12/01/24 2845
125327 스마트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6] 해달사랑2251 12/01/24 2251
125326 훌라우프나 쪼그려앉기 아예 못하는 사람도 있나요? [15] 더이상은무리3386 12/01/24 338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