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3/14 11:37:15
Name 영원한 초보
Subject 컴퓨터 조립 및 견적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제가 이번에 컴퓨터를 조립, 구입하려고 하는데, 일단 제가 생각한 부품들이 어떤지, 그리고 조금은 고민되는 사항이 있어 상담드리려고 질문을 드립니다.

일단 컴퓨터의 용도는 가정용입니다. 물론 직장의 업무도 집으로 가지고 와서 처리하겠지만, 그것도 주로 워드를 사용하거나 오피스 프로그램 등 기본적인 것들을 사용할 거니까, 이 부분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인터넷도 좀 사용하게 되겠고요. 주로 하는 게임은 비주얼 노벨이나 체스, 바둑, 심시티, 그리고 가끔 레이싱 게임(니드 포 스피드 같은 것)도 좀 합니다. 동영상도 좀 보고요.

그리고 이번에 컴퓨터를 구입하게 되면 좀 조용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는 `윙~` 하는 소음이 너무 심하거든요.

제가 생각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0.CPU 쿨러 : 잘만 9500 혹은 9700
1.CPU : 인텔 코어2듀오 콘로 E6600 혹은 E6400
2.메인보드 : ASUS P5W DH Deluxe STCOM 혹은 기가바이트 GA-965P-DS3
3.RAM : 삼성 DDR2 1GB SDRAM (PC2-5300/DDR 667) - 2~3 GB
4.그래픽 카드 : Rextech Geforce 7950GT 뚱보 512MB 잘만 명품
                혹은 이엠텍 라데온 X1950GT XENON VForce 512MB VF9
5.사운드 카드 : Creative SB X-Fi Xtreme Audio/Gamer/Music JCHyun 중 하나
6.HDD : WD SATA2 500G(7200/16M) WD 5000KS 정품
7.ODD : LG DVD-Multi GSA-H42N 화이트 (DVD±RW/±R)
8.케이스 : 아이구주(쿠덴?) CP-350 화이트 케이스 혹은 GMC X-22
           혹은 GMC X-21 Lite 혹은 마이크로닉스 HL-10 혹은
           삼우컴텍 SIMPLE-Zeit 실버블랙
9.파워 : 시소닉 ATX 시소닉 S12-500
10.모니터 : 피씨뱅크 LCD PBM-210W 21인치 와이드 혹은 삼성 LCD 싱크마스터 216TW 21인치

.......

아이코다 웹페이지에서 견적을 내보니 200만원 좀 넘게 나오더군요. --;a

아마 위 사양을 보신 분들은 대부분 '평범하게 사용할 가정용 컴퓨터에 뭐 그렇게 돈을 들이냐?' 고 생각하시겠지요. 사실 저도 과하다는 생각이 안 드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저는 컴퓨터 부품을 하나씩 업그레이드 해 가는 것이 아니라 한 번 사면 부품 교체 없이 5년 정도 쓰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조립할 때 '기왕이면 조금 더 좋은 부품' 을 선택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지금까지 조립한 것들 중 본체 가격만 100만원 이하로 내려간 적이 없던 것 같은......) 더구나 지금 윈도우 비스타까지 나온 상태라 아무래도 하드웨어 파워도 어느 정도는 되어야 되지 않을까 생각되고요. 물론 제가 만일 당장 저 사양대로 컴퓨터를 조립한다고 하여도 바로 윈도우 비스타를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고 적어도 1년 뒤에 사용하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그 때라도 윈도우 XP 와 같이 멀티 부팅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겠지만요.(현재 집에 있는 컴퓨터는 윈도우 XP 와 98을 멀티 부팅시켜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사이는 윈도우 98은 거의 안 쓰지만 2002년 구입 당시에는 그래도 꽤 사용했던 것 같습니다.)

또 한 가지 드는 생각은, 어차피 지금 현재 게임 포함해서 엄청난 하드웨어 파워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도 아니고(레이싱 게임은 제외), 그렇다면 윈도우 비스타를 사용하려고 하는 1년 정도 뒤에 저 사양으로 컴퓨터를 맞추면 훨씬 싸게 먹힐텐데 하는 생각입니다. 근데, 여기서도 고민되는 것은, 제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요즈음이 아니면 다시 컴퓨터를 조립해서 사용하기가 좀 어렵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서입니다.(물론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만....... 어쩌면 저는 70대 할아버지가 될 때까지는 조립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하기는 합니다.)

쿨러와 메인보드는....... 인터넷을 이리저리 뒤져보니 상기 부품들이 가격대비 괜찮아 보여서 선택한 것입니다.

CPU 는 보통 제가 컴퓨터를 조립할 때 20 만원 ~ 40 만원 사이의 인텔 제품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어서 고른 것입니다.

램같은 경우는 거의 습관적으로 삼성 제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택했고요. '램은 용량이 클수록 좋다' 라는 고정관념을 가져서 2GB 나 3GB 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제가 잘못 안 것일수도 있는데 4GB 까지는 인식을 못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현재 지포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래서 처음에는 그냥 지포스로 갈까 생각했었습니다만, 라데온의 3D 처리도 이제는 지포스 못지 않다는 말을 들어서...... 그리고 아무래도 2D 동영상 재생에는 라데온이 나을 것 같아서 고민중입니다. 현재는 라데온으로 약간 마음이 기울어진 상태고요.

사운드 카드는 제가 원래 사블 계통의 사운드 카드를 사용해서요...... 이번에도 그냥 고른 것입니다.

HDD 의 경우는 일단 SATA2 가 빠르다고 들어서 결정한 것이고, 500 GB 나 되는 용량이 과하다고 생각될지 모르나 경험상 아무리 HDD 용량을 늘려도 어느샌가 다 차 버리는 현상을 몇 번이나 겪었기 때문에....... --; 현재 생각으로는 500 파티션을 셋으로 나누고, C: 드라이브를 150 GB, D: 드라이브를 100 GB, E: 드라이브를 250GB 정도로 잡고 C: 드라이브에 윈도우 비스타 및 관련 프로그램을, D: 드라이브에 윈도우 XP 및 관련 프로그램을, E: 드라이브에는 동영상 및 기타 데이타들을 담을 생각입니다.

ODD 의 경우는 전통적으로 LG 것을 선호하는 편이며 또 제가 고른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평도 좋은 것 같아 선택했습니다. 단지 지금 1개를 달까 2개를 달까 생각중입니다. 1개 쪽이 좀 더 마음이 가긴 하네요.

케이스는 여기저기 뒤져도 딱히 마음에 드는 것들이 없더군요. 그나마 위에 고른 것들이 괜찮기는 한데...... 저는 그리 딱딱하지 않은 밝은 분위기이면서 약간 화려한 직육면체의 모양을 좋아하는데, 딱히 고를 만한 것이 없더군요. 요사이는 검거나 어두운 색 계통, 사이버틱한 분위기가 대세인 것 같던데....... 제 취향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강아지 모양의 케이스는 정말 귀여웠는데 말이죠. 혹시 달리 추천해 주실 것이 있으면 추천해 주세요.

파워는 원래 시소닉 ATX S12-430 을 생각했었습니다만, 상기 사양으로 윈도우 비스타를 돌리다보면 좀 딸릴 때도 있지 않을까 해서 과감히 500을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해서 골랐습니다.

휴, 지치네요. 그럼 마지막으로 모니터는 윈도우 비스타에서 와이드 모니터를 권장한다길래 고르긴 했습니다만, 좀 고민이 되네요. 저는 원래 4:3 에 익숙해져 있는데다가 현재 제가 소장하고 있는 게임이 거의 4:3 지원일텐데...... 고정 종횡비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지만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같은 성능으로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부품에 대한 조언이나 혹은 굳이 고사양의 부품이 필요없는 부분에 대한 조언 및 위 부품들의 궁합에 대한 조언 등 여러가지 조언과 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3/14 12:33
수정 아이콘
아이코다...는 다나와 최저가보다 훨씬 비싼걸로 알고 있구요...콘로는 워낙 발열이 적게 나온거기 때문에 오버 안하실거면 사제쿨러 안달아도 될겁니다 소음도 적구요...그리고 하드500기가 하나 사는거 보다는 400기가 두개도 괜찮은거 같구요...개인적인 생각입니다
07/03/14 12:35
수정 아이콘
그리고 램은 몇기가 까지 달수 있는지는 메인보드에 나와있죠 요즘에는 8기가까지 인식이 되던데요 그리고 삼성램 요즘 매우 싸죠...그리고 나중에 팔때도 삼성램이 가격을 가장 높게 쳐줍니다
karlstyner
07/03/14 12:47
수정 아이콘
4월에 인텔에서 공식가격인하가 있다고 합니다. 급한게 아니면 조금만 기다려보시는것도
하수콩
07/03/14 13:01
수정 아이콘
윗분 말대로 4월 22일에 인텔에서 신제품 출시 할텐데...좀더 기다리는것도 좋을듯..
6600 부터 캐쉬 4mb고 6400은 2mb 니 살려면 6600으로 가는게 좋을듯하네여.
사운드에 민감하신듯? 내장 사운드카드도 괜찮던데 ;;
ataraxia
07/03/14 14:14
수정 아이콘
사제 쿨러는 오버안하면 필요 없구요...국민오버정도면 기본쿨러로 커버됩니다. 일단 4월에 인텔 씨퓨 공식인하가 있을거니깐 기다려 보심이...그리고 7950은 패스하시고 8시리즈로 가시길..dx10
07/03/14 14:15
수정 아이콘
오래 쓰실려고 꽤나 큰 금액을 투자하신다고 하셨는데,
견적을 전체적으로 보아하니 비효율적으로 투자하신 것 같습니다.
실례되는 말씀일지는 모르겠지만, 견적을 다시 짜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krumtrak
07/03/14 14:35
수정 아이콘
견적금액이 상당하시네요... -_-;

하드웨어라는게 시간이 지나면 성능은 좋아지고 가격은 떨어지게 돼있어서...
처음에 많은 돈을 들이는게 좀 지나면 아까울때가 많습니다... -_-;
적절한 선에서 맞추시고 적절할때 하나씩 교체하는게 좋습니다...

쿨러는 옵션입니다.
콘로쪽은 정품쿨러도 조용하다고 하니 오버 안하면 안사셔도 되고,
쓰다가 시끄러우면 그때 사셔되 되겠구요...

니드포가 ati 에서 잘돌아간다는 얘기가 있네요...
근데 현재 vga 들은 dx10 지원되는게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앞으로 dx10 지원하는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된다면 한번 교체하긴 해야할겁니다...

사운드카드는 현재 사용중인게 있으시면 쓸수 있을거 같은데요...

대용량 하드가 좋긴 하지만 가격도 비싸고...
하나면 좀 불안할텐데요... -_-;
하드는 250 두개나 320 두개 정도 살 가격인데... -_-a

모니터는...
클수록 좋다는 말 밖엔... ^^;
nausicaa
07/03/14 14:58
수정 아이콘
프레스캇도 아니고 콘로에 cpu 사제쿨러는 필요없으실듯 합니다. 물론 통풍잘되는 케이스도 중요하죠. 얼마전에 e6300과 케이스는 GMC풍2로 조립했는데 고사양 게임돌리면서 아무리 오래써도 cpu온도 30도 이상 안올라가고 케이스 냉각팬 중간정도로 조절 해놓으면 이보다 더 조용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냥 정품쿨러로 조립하시고 만약 마음에 안드시면 그때가서 사제쿨러다셔도 아무 문제 없으실듯 합니다.
CPU는 4월말에 인텔에서 가격인하한다고 발표했다고 하더군요. 저는 성격이 급해서 못기다리고 그냥 장만했지만 그리 급하지 않으시다면 그때까지 기다리셨다가 E6600으로 하시는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닐까 합니다. 지금 6600가격은 좀 부담스럽죠. 하지만 지금 당장 사신다해도 6400은 가격대비 큰 메리트가 없고 6400하실바에는 6300으로 하시고 오버클럭 해서 쓰시는게 훨씬 좋다고 봅니다. 자금의 여유가 되신다면 당연히 6600으로 하셔야 겠죠.
메인보드는 기가바이트 GA-965P-DS3P 아니면 ASUS P5B-E PLUS STCOM 추천드립니다.
RAM은 브랜드와 중고가격 중시하시면 그냥 무난하게 삼성램하시고, 오버하실거면 ST 나 E5MEMORY 하시는것도 좋을겁니다. 저렴한 가격 원하시면 디지웍스도 괜찮지만 가격은 별로 신경 안쓰시는듯 하군요. 그리고 요즘 웬만한 메인보드들은 8기가 까지 인식됩니다. 요새 램값이 많이 싸져서 용량많은 램쓰시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만 현재로선 1기가 짜리 2개로 듀얼채널 구성하시는게 가장 좋을듯 싶습니다. 램은 나중에 필요하다면 더 끼워넣으면 되니까요.
HDD는 저라면 500G 하나보다는 320G 두개로 하겠습니다. 400기가 이상은 안정성이 좀 떨어진다는 얘기를 들어서요. 확실한건 아니니까 더 알아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ODD는 그냥 선택하신 제품 하시면 됩니다. 아마 현재 조립컴의 80%는 그 제품 블랙정품벌크 쓸겁니다.
케이스는 제가 위에서 말씀드린 풍2 괜찮습니다. 케이스 앞뒤로 140mm , 120mm 대형쿨링팬이 있어 냉각과 통풍효과 좋습니다. 소음도 쿨링팬을 중간정도로 조정해놓으면 거의 없고요. 최근 제조된 제품은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되왔던 리셋버튼이 없었던 문제도 해결해서 전면usb단자 옆에 리셋버튼을 새로 만들었더군요. 케이스 앞뒤가 좀 좁다는 말들은 있습니다. 저는 불만없이 잘 쓰고 있습니다. 저도 gmc x-22 둘중에 고민했는데 가격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그냥 풍2 선택했습니다. 아마 글쓰신분께서도 당연히 풍2 를 알아보셨을텐데 취향에 안맞으셔서 다른 제품들을 눈여겨 보시는듯 싶습니다. 풍2와 2만원 차인데 x-22 하셔도 좋을듯 싶네요.
VGA는 제가 ATI쪽은 잘 모르겠지만 NVIDIA 쪽이라면 고사양 게임을 안하신다고 했을때 7950까지 필요하실까 싶습니다. 님께서 하시는 게임들이라면 7600GT로도 충분하고, 만약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원하시면 일단 7600 을 쓰시다가 dx10 지원되는 8800 가격대가 좀 떨어지면 그때 업그레이드 하셔도 좋을듯 싶네요.
파워는 430으로도 괜찮아 보입니다만, 500으로 하시면 추후 8800GTX 로그래픽카드 업그레이드 하시거나 기타 하드웨어 장착시에도 맘편히 쓰실수 있겠죠.
LCD 와이드 모니터 21인치는 픽셀피치가 좀 작아서 19인치 일반LCD에 익숙하신 분들은 처음에 좀 불편하실수도 있을겁니다. 22인치가 글자크기가 커서 편하긴 한데 전부 TN패널이라 꺼려지고, 24인치는 가격이 많이 올라가죠. 제가 22인치 쓰다가 피씨뱅크 24인치로 바꿨는데 고정종횡비는 처음에 한번 설정만 해주면 4:3 게임에 들어가면 알아서 4:3 화면으로 맞춰주고 나오면 다시 원상복귀됩니다. 저의 경우 스타 처음 실행할때 한번만 설정해주니까 그 다음에 다른 4:3 게임은 제가 설정할 필요없이 그냥 자동적으로 비율맞춰 출력해더군요. 4:3 게임을 그냥 실행시키기만 하면 알아서 4:3으로 맞춰주니까 OSD메뉴 건드릴 필요도 없고 편하더군요. 모니터에 따라 고정종횡비 지원해도 4:3게임 할때마다 일일히 OSD메뉴에서 바꿔주고 나오면 다시 복원해주는 제품도 있다고 합니다. 님께서 고려하신 피씨뱅크 제품은 처음에는 고정종횡비 지원없이 출시되었다가 나중에 업그레이드로 지원한 제품이니까 편의성에 문제가 없는지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07/03/14 15:04
수정 아이콘
컴텨를 오래 쓴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그리고 하드를 하나사서 파티션나누는것보다 따로 사시는걸 권장해드립니다.. 운영체제가 깔린하드는 그렇지않은 하드에비해 빨리 망가지니까요.. 뭐 또 다시 맞추기 힘드시다면 어쩔수 없겠지만 이번에 100쓰고 담에 비스타 안정화되고 호환문제들이 해결되면 그담에 또 100써서 바꾸는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운영체제랑 파워랑 뭔 관계있나요?? 장치 많이 달지 않는 한 별 문제는 없던거 같던데요.. 참고 전 꼽아놓은 하드만 4개에 콘로쓰는데 400쓰거든요.. 500보단 450정도면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소리가 많이 났던 이유는 케이스나 파워문제 아닐까 싶습니다.. 파워도 오래쓰면 맛이 가서 소리가 많이 나거든요..(전2년마다 바꿔줍니다..)
니드포는 그정도 사양이면 앞으로+2정도까진 커버되지않을까 싶지만 심시티는 5나오면 잘몰르겟네요.. 콘로6300에 7600gt로 심시티4하는데 큰맵에서 땅을 중간정도 개간하면 좀 끈기더라구요..
Ovv_Run!
07/03/14 17:09
수정 아이콘
디씨 컴갤로 와서... 다시 견적을 요청하시는게 어떨까요?
영원한 초보
07/03/15 10:31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역시 제가 적은 사양은 좀 과한 느낌이 있는 것 같기는 합니다..... 여러분들 말씀대로 HDD 는 500 GB 하나 보다는 보다 적은 용량으로 두 개를 사용하는 편이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근데, CPU랑 메인보드, 그리고 그래픽 카드는 사양을 내리기가 싫은데...... 좀 더 기다려 보는게 현명할 지도 모르겠네요. 아니면 조금 더 저렴한 부품들을 알아보는 것도......

PvsNP 님 // 예, 저도 적어놓고 보니 OS 와 파워는 관계가 없을 것 같기는 한데, 제가 잘못 보았는 지는 몰라도 전에 얼핏 `윈도의 비스타의 경우 윈도우 XP 보다 하드웨어에 부하를 더 주기 때문에 더 많은 파워가 필요하다`는 말을 어디서 본 것 같아서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537 밑에분 따라 저도 고1모의고사관련질문 .. [7] Roy1530 07/03/15 1530
26536 LG텔레콤 라이브벨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1] 샴페인슈퍼노2280 07/03/14 2280
26535 영어 리스닝용 mp3 player 추천 부탁합니다. [4] 개리1977 07/03/14 1977
26534 오늘 고1 모의고사 봤는데요. [12] 티티1751 07/03/14 1751
26533 악성코드 치료하는 좋은 프로그램 없나요? [8] NoReason2106 07/03/14 2106
26532 민증 만드는거에 대한 질문,, [10] 공방풀업아칸2122 07/03/14 2122
26531 서비스팩2 질문요. [2] 미니op_1498 07/03/14 1498
26530 동영상이 나오질 않습니다 [1] 소주는C11465 07/03/14 1465
26528 USB메모리 관련된 질문한가지.. [2] BoRaDoRi1866 07/03/14 1866
26527 예전에 프로게이머들이 핸디캡을 안고 경기하던 프로그램.. [18] 완성형폭풍저2109 07/03/14 2109
26526 핸드폰 추천 부탁드려요.. [3] 헬로1741 07/03/14 1741
26525 부사관님들께 질문드려요.. [3] 용호동갈매기2138 07/03/14 2138
26523 컴퓨터 조립 및 견적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영원한 초보2745 07/03/14 2745
26522 비스타 관련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3] NoReason1959 07/03/14 1959
26521 죄송합니다. 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ㅠ [1] 후치아이스1732 07/03/14 1732
26520 백신 프로그렘에 관한 질문입니다 [2] 할말은합니다1511 07/03/14 1511
26516 노동8호님 블로그좀알수있을까요?? [2] 애플2104 07/03/14 2104
26515 리바이스 바지 치수 질문입니다. [3] 그녀를 기억하2578 07/03/14 2578
26513 블리자드에서 뭔소리 나왔나요??? [3] 오가사카1853 07/03/14 1853
26512 PMP 전원 버튼이 부러졌습니다-_-;; [2] AkJin1856 07/03/14 1856
26511 가방 추천좀;; [3] 쫑with spread beave1985 07/03/14 1985
26509 컴퓨터 견적에 대한 조언 부탁합니다. [2] 개척시대2049 07/03/14 2049
26508 반장질문ㅠㅠ [7] 스텝좀밟앗니1888 07/03/13 188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