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4/08 19:56
to 부정사 의 형용사적 용법은 간단하게 앞에오는 명사나 명사상당어구를 수식해주면 to 부정사가 형용사적 용법으로 쓰인거구요!
to 부정사가 그 문장안에서 동사를 수식 한다던지, 아니면 다른 형용사를 수식해준다면 이는 to 부정사가 부사적 용법으로 쓰인겁니다. 예를 들자면 There are many places to see. 이 문장에서 이 to부정사가 형용사적 용법인지 구분하려면 간단하게 해석을 해봐도 되겠지만 수식하는 명사를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목적어로 놓고 해석 해보면 쉽게 구분할수 있을겁니다. There are many places to see many places. 앞에서 수식하는 places 라는 명사가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목적로 놓고 해석을 해봐도 무리 없습니다. 부사적용법은 I went out to play. 이문장은 나는 놀기위해서 나갔다. 간단히 해석만으로도 알수 있구요 다른 형용사를 수식하는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은 Starcraft is difficult to play 스타크래프트는 하기 힘들다! 라고해서 힘들다라는 형용사를 수식해주는 to부정사의 용법을 확인 할수 있을겁니다. 영문법의 정의도 정의지만 문장으로 영어공부하는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예를 든 문장이 생각없이 지은것이기 때문에 틀릴 가능성도;;;
07/04/08 20:13
안녕하세요! 임요환의 DVD입니다.
맨투맨과 성문에는 영문법이 아닌 것을 영문법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많이 들어있는데요, Infinitive(to부정사)에 무슨 용법이 있다는 것이 그 중 하나입니다. 다시 말해서 [to부정사가 문장의 명사뒤에 쓰일때 두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형용사적용법하고 부사적 용법이다] <-이거 자체가 이미 문법이 아니기 때문에 헷갈리는 거예요. 일단 두 개는 서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구별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렇게 해석하면 형용사고 저렇게 해석하면 부사고 이렇게 되지를 않고 보통 둘 중 하나로만 해석됩니다. (억지로 만든 비상식적인 예외는 얘기하지 않겠습니다.) 후크의바람 님 말씀처럼 명사를 수식하고 있으면 형용사, 명사를 제외한 어떤 것이라도 수식하고 있으면 부사로 취급하시면 됩니다. "어떤 용법이 있는데 그 용법에 따라 쓰였다" <- 앞으로는 이걸 잊어주시구요. 영문법을 다른 말로 통사론(syntax)이라고 하는데요 통사론은 문장이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는지를 제일 중요하게 여깁니다. to 부정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느냐는 '용법(존재하지 않음)'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리'에 따라야 합니다. 말이 너무 어려워서 죄송합니다. 마지막으로 쉽게 말씀드리자면, 문장 속에서 to 부정사가 명사 자리냐 형용사 자리냐 부사 자리냐 이것만 보아 주세요. 괜히 억지만 부리는 용법은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07/04/08 20:25
정확한 지적입니다.
용법이라는건 사실 존재하지 않죠. 그러나 이렇게 용법으로 구분 짓는건 거의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99%이상의 영어강의(대학강의 제외)에서 이런방식을 쓰고 있기때문에 이렇게 알아두는게 영어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편하기 때문입니다. 더 공부를 많이 하시면 임요환의 DVD님의 말씀도 이해가 되실겁니다. 사실 우리나라 사람도 한글 문법은 모르잖아요^ ^
07/04/08 20:50
원어민과 접해볼 기회가 많아서 몇몇 이야기를해보니
자기네 나라에선 to부정사의 ~ 용법/ as가 쓰이는 때/ 접속사 for 와 because의 늬앙스 차이등 고등교육시험에서 필수적으로 나오는것들이 전혀 안쓰인다고 하네요. 그냥 for를 쓰든 because를 쓰든 다 알아들을수 있다고 합니다. 본문과 관계는 없지만 후크님댓글을보고 씁니다 ^^
07/04/08 21:05
우선 문장을 보고 명사적용법이니 이런거 따지지 마시고요( ~하는것, ~하기위해 같은 해석법은 숙지된 상태에서) 하나씩 넣어서 해석을 해보세요. 말이 되나 안되나.
그리고 해석이 되었으면 '아~ ~ 하는것 이니깐 명사절 이구나. 명사절이니깐 동사 앞에 있구나~' 이렇게 따져주시면 됩니다. 그런것이 쌓이고 쌓여서 익숙해지면 이렇게 됩니다. 마치 문법틀린 한국어 문장이 있으면 '아 문법적으로 설명은 못하겠는데 이건 틀린것 같아' 이런 느낌 있지 않습니까? 그런게 느낌이 오실겁니다. 쌓아둔게 발휘된다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