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4/16 14:31:40
Name 밥맛은코쿠
Subject 헬스하시는 분들 플리즈 헬프미
최근에

갑자기 몸무게가 9키로 가 불어서

75키로였습죠 1개월 전에는 ㅠㅠ

이제 헬스를 시작하려는 사람입니다

파워바디플랜책하고 4주혁명 책을 빌렸는데요

거기 보니까 중배엽 내배엽 외배엽 그런 체형들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인바디 검사를 받아보았습니다

키 184
체중 83
근육량 66,5
체지방량 12.8
체지방률 15.4
복부지방률 0.80

BMI 24.5
BMR 2201.9
AMC 25.6
ARM CIR 30.1
OBESITY DEGREE 107%

이렇게 나왔는데요

이정도면 운동안한사람 치고는 좋은거라는데

말을 너무 어렵게 해줘서 무슨 말인지 모르겟습니다ㅜㅠ

하나하나 차근차근 좀 알려주세요

제가 무슨체형인지 어떤방식으로 운동을 해나야가 하는지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낭만토스
07/04/16 14:58
수정 아이콘
헬스장 트레이너에게 차근차근 알려 달라고 하는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온라인 상에서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호야호야
07/04/16 15:04
수정 아이콘
혼자서 따로 한다는 건가요 아니면 헬스장에 가서 한다는 말인가요?

헬스장에 가셔서 하시는 것이면 검사 받을 때 차근차근 설명해주는게 기본입니다(트레이너분이).

그리고 따로 검사를 받으셨더라도 검사한 곳에 가서 물어보시면 되죠.
저같은 경우도 위와 비슷한 검사를 받았었는데 "너는 뱃살이 어떻고 근육량은 어떻고"다 설명 해주던데...
밥맛은코쿠
07/04/16 15:09
수정 아이콘
학교 수업시간에 받은거에요 이제 헬스장 갈려고하는데 동네헬스장은 다 낙후되어서 좋은 헬스장찾고잇습니다. 헬스장에 간다고해도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기가 힘든 상황입니다 ㅠㅠ bmi bmr amc 가뭔가요?
낭만토스
07/04/16 15:31
수정 아이콘
사실 그냥 보기 좋은 몸 만드시려면(권상우 같이 우락부락한 몸이 아니라 적당히 근육있고 균형잡힌 몸) 헬스끊어서 막 방법 따져가며 할 필요는 없다고 보여집니다. 유산소 운동(달리기 줄넘기 등)으로 살 빼시면서 팔굽혀펴기 아령 등으로도 충분하게 균형잡힌 몸매를 만들수 있습니다.
07/04/16 15:41
수정 아이콘
다른건 잘 모르겠고. BMI는 Body Mass Indicator로서... 쉽게 말하면 '비만도 수치'라고 보면 되는데, 25정도면 약간 과체중인 정도네요... 나쁘지는 않습니다. 약간의 유산소 운동(달리기, 줄넘기, 자전거 등)만 꾸준히 하셔도 별 문제 없으실 것 같습니다.

참고로, BMI 기준을 올려드립니다.
BMI 수치 계산법 : 체중 / 신장(㎡) / 신장(㎡)

예) 신장 170 체중 75 일때 BMI수치는 : 75 / 1.70 / 1.70 = 25.95(비만 1단계, 중등도 위험)

BMI수치에 따른 체질량지수 및 비만관련 질환 위험도

분 류 체질량지수(kg/m2) 비만관련질환의 위험
저체중 <18.5 낮음
정상체중 18.5∼22.9 보통
과체중 ≥23.0
위험체중 23.0∼24.9 위험 증가
비만 1단계(obese class I) 25.0∼29.9 중등도 위험
비만 2단계(obese class II) > 30 고도 위험
비만 3단계(obese class III) ≥ 40.0 극심한 위험
07/04/16 16:56
수정 아이콘
BMI는 사실 신빙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보면 되구요...
제가 잘 알지는 못하지만 체지방률이 15%정도면 보통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근육이 조금 있으신듯?
sway with me
07/04/16 17:25
수정 아이콘
BMI는 Body Mass Index의 약자입니다.
BMI 24.5면 동양인에게 있어서는 과체중에 해당합니다.
그 정도 BMI에 체지방률이 15.4%라면 특별히 체중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정상 체지방량이거든요.
근육량이 많으신 편이고, 이런 경우에 '근육형 과체중'이라고 합니다.
운동을 거의 안하시고 이런 경우라면 복받으신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체지방을 감량하기 위해 유산소 운동에 매달리실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0.80이라는 수치는 아마도 WHR 같은데, 역시 정상이기 때문에 뱃살에 대해서 고민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결론은... 하고 싶은대로 운동하시면 되겠습니다.
글쓴님의 체성분 검사 결과는 어떤 운동을 해야한다고 말하고 있지 않습니다.

BMI는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고,
BMR은 Basal Metabolic Rate. 즉 기초대사량을 말합니다. 하루 종일 아무 것도 안 하고 있어도 저 정도의 열량을 소모하는 몸이라는 겁니다. 대개 근육량이 많으신 분들이 높습니다.
기초대사량이 높다는 것은 밥을 많이 먹어도 살이 덜 찐다는 뜻도 됩니다.^^;;

AMC는 Arm Muscle Circumference입니다. 지방을 제외하고 순수 근육만이 남았을 때의 상완 둘레를 말하는 겁니다. 근육량을 추정케 하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큰 의미는 없습니다.

nuzang님//
BMI가 어떤 것에 대해서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말씀이신지는 모르겠지만, 각종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가장 확실하게 연구되어 있는 것이 BMI입니다.
물론 그렇게 연구가 많이 된 이유가 BMI가 구하기 간편해서 그렇기도 합니다.
07/04/16 22:58
수정 아이콘
sway with me님//
제가 이쪽 분야를 공부하지 않아서 확실한 정보는 아니지만 아주 예전에 제가 조사해본 바로는 BMI는 정상적인 신체활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측정하기 쉬운게 널리 쓰여지고 있는 이유 중 하나겠죠. 보통 운동선수들이 BMI 상으로는 비만이라고 많이 나오죠. 저도 보통 말랐다거나 몸 좋다는(?) 말 듣는 편인데 지금 계산해보니 23.8이 나오네요.
sway with me
07/04/17 03:59
수정 아이콘
nuzang님//
제가 그 분야를 전공한 의사입니다. 쩝...

날마다 BMI를 접하는 사람으로서, BMI가 신빙성이 없다는 말을 들으니 왠지 가슴이 아프군요.
마치 자식이 욕먹는 듯한...(음... 이건 좀 과장인가^^;;)

nuzang님께서 말씀하신대로 BMI가 단독으로 쓰였을 때 신뢰성에 한계가 있는 지표인 것은 맞지만,
BMI를 제치고 다른 지표가 기본 지표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BMI 단독으로 쓰였을 때 해석에 주의할 다양한 경우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문하신 분도 해석에 주의를 요하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BMI는 실제 임상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입니다.

그 이유는 많은 연구를 통하여, BMI가 대개의 경우에 체성분을 반영하고,
사망률, 주요질환의 발생률 및 유병률 등의 다양한 건강의 지표와 의미있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측정하기까지 쉬우니, 이만한 지표를 더 만들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님께서 말씀하신 경우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체지방률, WHR을 BMI와 함께 써서 해석합니다.

말씀하신 부분 중...
BMI는 정상적인 신체활동이 어려운 사람들의 비만도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얘기는 처음 듣는군요.
BMI는 연구에서나 임상에서나 전혀 그런 용도로 쓰이고 있지 않습니다.
07/04/17 06:01
수정 아이콘
sway with me님//
"However, BMI has become controversial because many people, including physicians, have come to rely on its apparent numerical "authority" for medical diagnosis – but that has never been the BMI's purpose. It is meant to be used as a simple means of classifying sedentary (physically inactive) individuals with an average body composition."
<a href=http://whqlibdoc.who.int/trs/WHO_TRS_854.pdf
target=_blank>http://whqlibdoc.who.int/trs/WHO_TRS_854.pdf
</a>
워낙 옛날에 봤던 글이라 제가 정확히 말을 못했군요.

감히 의사이신 sway님에게 도전을 한 제가 참 한심하군요 ^^
전혀 딴지 걸려는 의도는 아니었으니 오해는 안하셨으길..
좋은거 많이 배우고 갑니다.
밥맛은코쿠
07/04/17 13:56
수정 아이콘
이제 저만의 운동프로그램을 짜서 열심히 운동해야 겠군요

성의 있는 답변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sway with me
07/04/17 22:44
수정 아이콘
nuzang님//
'감히'라고 말씀하시니 제가 민망합니다.;;
저는 전혀 기분 나쁘지 않았고, 님도 그러지 않으셨길 바랍니다.

P.S. 아마도 'sedentary(physically inactive) individuals'라는 부분을 '정상적인 신체활동이 어려운 사람들'로 오해하신 것 같습니다.
그 말은 이런 경우에는 '앉아있는 시간이 많고, 평소 활동량이 적은' 건강한 사람들을 지칭할 때 주로 쓰이는 말입니다.
만일 하루 종일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에 종사하면서, 특별히 시간을 내어 운동하는 일이 없는 분이라면
이 'sedentary (physically inactive) individuals'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용하신 글은 'BMI는 평균적인 체성분을 가진, 활동량이 많지 않은 사람들을 나누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안된 것' 정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6923 배트맨 시리즈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분 답변좀.. [6] ooceline2170 07/04/17 2170
26922 영어잘하시는분 영어로 번역좀,, 뿌직직1537 07/04/17 1537
26921 2005년 명장면 동영상.... [2] SwEeTy1813 07/04/17 1813
26919 아이피에 관한 질문입니다. 좋은마음1522 07/04/17 1522
26917 비스타에 대해서 잘 아시는분 [2] 쭈니2122 07/04/17 2122
26916 CPU쿨러를 하나 살려고 하는데요 [1] 환승1777 07/04/17 1777
26915 이 동영상 배경음악 제목이 뭔가요?ㅜㅜ [5] Cannavaro1929 07/04/16 1929
26914 스즈미야 하루히? 질문이요~ [8] 레이노르2131 07/04/16 2131
26913 휴대폰..싸진다?? [6] BritneySpears2377 07/04/16 2377
26912 내일 입대하는데 말입니다. 영장은 꼭 들고가야 하나요? [3] run to you2214 07/04/16 2214
26910 중계권 문제가 어떻게 된건가요? [1] Ground_zero1543 07/04/16 1543
26909 삭제된 글에 대한 권리 [26] ArcanumToss2201 07/04/16 2201
26908 20대 초반 인맥관리 질문입니다. [4] 터키여인아첼2141 07/04/16 2141
26907 핸드폰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Sony_NW-E701538 07/04/16 1538
26906 mvp baseball [3] nuzang2229 07/04/16 2229
26905 파산신청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가스러쉬1525 07/04/16 1525
26904 회사정장 코디에관해서 [2] 씨티BOA국민2132 07/04/16 2132
26903 공대생 분들 공부 얼마나 하시나요? [13] Anabolic_Synthesis4627 07/04/16 4627
26902 수능날 관련 질문..! [10] 갈비한짝1602 07/04/16 1602
26901 헬스하시는 분들 플리즈 헬프미 [12] 밥맛은코쿠2702 07/04/16 2702
26900 VOD 가 안보여요. 쿠럇토™1592 07/04/16 1592
26899 영화 극락도 살인사건 재미있나요? [2] 낭만토스2208 07/04/16 2208
26898 비스타 오래 쓰신분들 질문 [1] 쭈니1873 07/04/16 18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