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6/10 13:54:25
Name wish-burn
Subject 변액보험 잘아시는 분?
81년생이구요. 올 4월중순부터 월 50만 불입하고 있고.. 3년정도후 창업을 하려고 합니다.
보험설계사의 권유로 가입했었습니다.(종신납 5천만원 상품.. 특약은 안 들었음)



1. 제가 별도로 가입한 보험상품이 없는 상태였고..


2. 보험이긴 하지만 인도&중국쪽에 60%가까이 투자하는 펀드성격이 강하다는 보험설계사분의 권유에 혹했었습니다. 제가 원하는 수익률은 연15%선이었고 당시 수익률은 제 기대치를 충족했었구요. 연리 20초반대였죠 아마...(확정수익아니란건 당연히 알고 있죠..-_-;;)


3. 올 6월부터 국내 주식펀드에 70만원정도,해외 주식펀드에 80을 불입중이며 비상금으로 CMA에 월 50만원씩 쌓이고 있구요. 제 투자액수의 25%가 이 보험 상품에 투자되고 있습니다. 청약저축은 700만원으로 작년에 들어놓은 상태(광역시 거주)구요,장마저축은 비과세,가입기간등등 여러모로 고려한 결과 저한테 부적합걸로 판단해 가입하지 않았습니다. 300벌어서 250모으는 중이죠. 부모님께 얹혀살고 아직 솔로라..-_-;; 50만원정도면 붓는데 무리가 갈 정도 액수는 아닙니다.


4. 18개월후부턴 제가 불입한 금액에서 상당액수의 중도인출이 가능하고 중도인출을 해도 보험계약은 유지된다고 하길래.. 괜찮다는 생각이 들어서 가입을 했더랬습니다.(장기재테크 상품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어느 정도 갖고 있었습니다..) 최초계획은 3년후에 6개월치 원금만 남기고 중도인출 그리고 계속적으로 보험납입&유지였습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이 이 부분입니다. 중도인출 가능한 금액을 제가 너무 낙관적으로 잡은 듯 싶습니다.  보험회사측에서 사업비등의 명목으로 수령하는 금액을 실제보다 꽤나 작게 봤습니다. 또한 복리가 좋은 건 알지만.. 복리효과가 클려면 판돈이 받침이 되야되는데.. 제 생각대로 초반에 중도환급을 많이 하게 된다면 참.. 비과세혜택도 10년이상 가져가야 받을 수 있다던데 말이죠.. -_-ㅋ (생각해보니 주식형 펀드의 주식부분 소득은 원래 비과세였죠... 이 보험은 채권비중이 주식형펀드에 비해선 높은 편이긴 합니다만..)
그 설계사분은 3~4년후에 목돈이 필요하면 중도인출부분을 활용하라고 하는데.. 여러게시판에 문의하니 중도인출부분 비과세혜택,복리효과등을 활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아우~




보험&친디아쪽 투자&장기투자상품보유라고 생각하고 보험가입했는데요
가입후.. 모네타게시판에 있는 글들을 보니.. 왠지 후회가 가네요..-_-;;
장기재테크상품 보유도 가입목적이었기때문에 오래 보유할수록 좋고 그럴 가치가 있는 상품이라면 보험에서 원금을 인출하지 않고 그 정도의 액수를 대출할 각오도 하고있습니다.젊은 나이에 보험을 들어야 저렴하게 들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더군요.  과거 돈문제 일으킨 적도 없고.. 전문직 종사자라.. 저금리 대출도 어느정도 가능함다.. 목표창업자금에서 대출 비율도 그다지 크지 않았구요..-_-;;


그럼 질문..
이 상품 유지해도 괜찮을까요? 2회 불입했고 4월 중순에 계약이 들어갔습니다
약관및 계약서를 수령하고 계약시 설명을 제대로 들었나 확인하는 부분은 사인을 했습니다.

1.의무납입기간이후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아도 보험사업료가 기존적립금에서 삭감된다는 말..
2.중도인출금은 이자소득세 비과세시 혜택을 못 받는다는 말
..은 못 들었습니다.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겠지만 [모집당사자가 계약에 관한 중요내용 설명을 잘 이행하지 않으면 3개월이내에 계약이 취소]된다고 되어있는데요.. 이거에 해당되는 내용인가요? 만약 해당된다면 지금까지 불입금액을 100%돌려받을 수 있는지요.


설계사분이 이 이야기는 해주더군요. '첨 3달간은 각종 사업비용 공제로 수익률이 저조하니 3개월 후에 수익률을 확인해보세요~'.. 3개월 후라.. 혹시 약관내용때문에 3개월 후에 확인해보라고 한걸까요...-_-;;

* steady_go!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06-10 20:4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igher templar
07/06/10 14:37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론 사업비 명목을 2년동안 납입금액의 상당부분을 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첫달은 많이떼고 점점 덜 떼면서 2년후부터는 사업비 명목으로 들어가는 돈이 없어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혜택을 받으려면 10년, 시장이 좋을 경우 7년 이상은 지나야 기타 다른 펀드와 비슷하거나 약간 딸리는 정도의 수익을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2년이 지나도 해약 환급금은 원금에도 못미칠게 뻔합니다.

계약 취소를 권해드립니다.
연아짱
07/06/10 16:01
수정 아이콘
강력하게!!!

비추!!!합니다!!!
오야붕
07/06/10 17:0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중도인출 필요가 별로 없다면 그냥 유지하시는게 좋을 듯한데요. 게다가 아직 어리신데도 별 부담이 안된다니 마냥 부럽습니다. 특약이 아예 없다니 조금 의아하기도 한데요. 아무튼 부담이 안 되신다니 계속 유지하시는게 좋을 듯.. 깨봐야 손해만 보죠.. 그리고 질문하신 계약 취소사유인정은 거의 불가능 할듯.. 입증책임도 불리하고요.

그리고 한가지.. 보험사는 초기에 보험 깨지는거 좋아합니다. 해약금 꽤 쏠쏠하거든요. 그것도 단기일수록.
방3업아콘
07/06/10 17:17
수정 아이콘
보험은요 유사시를 대비한 금액입니다..
여기서 유사시란 언제어느때에 발생할지 사기꾼외엔 모르는상황입니다.
그런데 일정부분 목돈이 생기는 변액보험을 든다는 소리는
보험 만기후 (보통80세죠)에 여유자금을 조금이나마 불릴수 있기에

위험을 약간 무릅쓰고 변액보험에 가입하는겁니다..

그럼 여기서 가장 중요한건 뭐냐..

변액보험은 보험 만기전까진 보험이라는 가치로서 남겨두어야된다는소리죠.

결론은 중도에 돈 찾을 생각이면 보험이라는걸 넣을 생각도 말아야된다는거죠.

그런데 그런상품에 덜렁 50만원이라는 거금을 붙는다는 생각을 하시다니요

월수300에 보험료는 30만원이 적당합니다 거기다가 이 30만원은 순수하게

보험료여야지 몇년뒤에 돈 모아서 사업자금에 쓸려고 넣는 돈은

보험료가 아니죠..
수익률등등을 따져봐도 당장 해약하시고

순수한 보험을 하나 드시고..(변액보험 월10만원대면 충분합니다.81년생이면)
나머지는 다른데에 더 투자하시고요...

그리고 나이가 적어서 그런지 상당히 공격적인 투자를 하시는데요.

250만원을 3년간 투자하신다면 어디를 하던 일정금액은 나옵니다..
너무 과하게 공격적인 투자는 조금 그러네요..


일단 보험부분은 해약하시는걸 추천합니다.
07/06/10 19:17
수정 아이콘
제가 보험을 개인적으로 공부했었는데요.

저도 강력하게 해약을 추천합니다.
wish-burn
07/06/10 20:25
수정 아이콘
음.. 결국 해약해야되는 걸까요..-_-;;
사업료가 큰 액수긴 하지만 수수료가 연 1%가 안된다는 점은 매력적이더군요. 다른 주식형펀드들은 연 2%가까이 떼어가던데 말이죠. 제가 결국은 자영업자의 길로 갈 예정이라 2~30년을 꾸준히 부을 수 있다면 이 놈을 퇴직금(?)대용으로 하려고 했었는데..
욕교반졸
07/06/12 00:16
수정 아이콘
한화금융네트워크에서 재정상담을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많은 분들이 정확히 모르면서 오해를 하고 있는 부분이 안타깝습니다. 재테크에 정답은 없습니다. 개개인의 상황과 목적에 맞게 컨셉을 정확히 잡는 것이 필요한 거죠. 은행, 보험, 증권의 금융 3대 축이 많이 컨버젼스 되고 있고, 파생상품도 많이 나와서 사실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입니다. 그러나, 사실 아직은 각각의 본 기능에 강점을 가지지요. 변액보험은 실상 굉장히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변액보험은 본질적으로 보험입니다. 투자 상품이 아닙니다. 기존 정액보험이 인플레이션을 헷지할 수 없기에 보험료를 모아 투자해서 보험금이 정액보험보다 높게끔 하는 것이 본질입니다. 장단점은 사실 분명하죠. 변액보험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지금 가입하신 상품은 VUL로 약칭하는 변액유니버셜적립으로 생각됩니다. 이 상품은 10년 이후 비과세되는 상품으로 장기투자에 적합하며, 사망보험료는 자연보험료를 적용합니다.

보험이 초기에 사업비를 공제하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증권사의 수수료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초기에는 보험사의 사업비가 크다고 느껴지나 6년 정도 이후에는 증권사의 수수료가 더욱 커집니다. 가장 단순하게 말하자면 6년 이전에 필요한 중단기 자금을 확보하는데 VUL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7년 이후 필요한 장기 자금을 마련하는 데에는 현존하는 금융상품 중 최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30대 이후 가장으로 사망보험금이 필요하고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이 없으며 장기자금으로 확보하고자 컨셉이면 지금 적당한 정도의 설계입니다만 20대이고 미혼인듯 한데 특히 3년 후 단기자금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설계로 보입니다. 설계사분이 지인이시라면 좀 곤란할 수 있으나 질문하신분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정리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알고 계시는 것 같은데, 현 상황에서 해지나 실효가 되면 납입한 보험료는 돌려받지 못합니다. 2번 납입하셨으면 해약환금금은 없지요. 그러나, 90일 이내에 품질보증해지를 할 수 있습니다. 사실 동업자 정신을 생각한다면 설계한 분에게는 약간 미안합니다. 그러나, 제 생각에는 잘못 설계한 부분은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그 설계사분도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정회사를 거론해서 미안하기도 한데 아마 미래에셋 친디아 상품으로 보입니다. 미래에셋이 증권은 몰라도 보험쪽에서는 조금 더 검증이 필요합니다.

사실 지금 가입하고 있는 것이 나쁘지는 않습니다. 미리 준비하는게 나쁠 이유는 없지요. 다만 3년 후 창업에 포인트를 둔다면 적절하지 않다는 말씀입니다. 창업자금이 바쁠 것 같으면 품질보증해지해서 다른 투자를 하는게 맞고, 창업자금이 바쁘지 않으면 유지해도 좋습니다.

지금 CMA 잔고가 얼마 정도인지는 모르겠으나 3-6개월 정도 생활비 수준의 비상금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른 곳에 투자하시길 권합니다. 81년 생이고 부모님과 동거하시면 300에서 500정도면 충분할 듯 합니다. 해외펀드는 과세되는 것이 있고 비과세 되는 것이 있습니다.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27세이고 급여생활자라면 금리로보나 소득공제로보나 안전한 투자로 장기주택마련도 나쁘지 않습니다. 여력만 된다면 소득공제되는 세제적격연금도 일찍 준비하면 좋구요. 세제비적격연금은 지금은 비추입니다. 30대 이후에 고민하세요.

질문하신 글 정도의 정보로는 더이상 밀도있는 답변이 어렵군요. 이정도만 하겠습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별도로 연락주시죠. 성의껏 말슴드리겠습니다. 전화번호를 공개하기는 좀 그렇고, 메일주소 남기겠습니다.

altruist007@naver.co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8077 고전시가 공부방법 [4] S.U天下2108 07/06/10 2108
28076 변액보험 잘아시는 분? [7] wish-burn2099 07/06/10 2099
28075 아이리버 클릭스 질문 [5] AdrenalinRush1773 07/06/10 1773
28074 스킨,로션,선크림 추천좀 해주세요.. [2] funnyday2097 07/06/10 2097
28073 최은지 캐스터(?) 요즘 뭐하나요? 아레스3389 07/06/10 3389
28071 맵핵 구별할수 없을까요? [9] 치카2180 07/06/10 2180
28070 인터넷때문에 미치겠어요 아낄1708 07/06/10 1708
28069 저그전 땡히드라 질문... [12] ciel2127 07/06/10 2127
28068 수준급의 아마추어가 노래 부른거 많은 사이트 아시는분? [3] 음..3275 07/06/10 3275
28067 볼펜물고 책을 읽거나 노래부르면 발음이 좋아지나요? [2] Lord2225 07/06/10 2225
28066 스타 배틀넷이 안되요. [1] 뿌직직2602 07/06/10 2602
28065 이영호선수가 주목받은 이유가...? [7] 낭만토스2086 07/06/10 2086
28064 모니터를 바꿨는데요~ㅇ [1] ArtOfakirA1528 07/06/10 1528
28063 스타 배틀넷이 High 어쩌고 하면서 안되네요 2101 07/06/10 2101
28062 저 해당과정에 대해서 아시는분 ,, [2] 해리콧털;;;;2268 07/06/10 2268
28061 해외에서 컴퓨터구매에대해서.. [2] Saturday1600 07/06/10 1600
28060 컴퓨터 부팅 중간에 [3] SerapHH1753 07/06/10 1753
28059 지갑좀봐주세요~^^ [10] SunnY2091 07/06/10 2091
28058 오래된 팝송인데 제목좀 가르쳐주세요. [7] 구라미남2220 07/06/10 2220
28057 짧게갔다올만한 바다추천좀부탁드려요.. [3] 사랑합니다^61629 07/06/09 1629
28056 [학습질문이에요~]책을 반복하여 푸는것. [2] 이젠안녕1940 07/06/09 1940
28055 기말고사와 수능.. [2] 그녀가 나를 보1687 07/06/09 1687
28054 인터넷이 자꾸 끈기네요 ㅠㅠ [3] SunnY1518 07/06/09 15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