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7/14 15:39:08
Name Roy
File #1 환커짤1.gif (0 Byte), Download : 12
Subject 수학공부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학공부에관한 질문을 드리고자합니다


중학수학을 예를들면
중1 때는 자연수 정수      
중2 때는 유리수
중3 때는 무리수,실수까지

대충 이런식 비슷하게 학년이 높아 갈수록 점점 개념을 늘려나가는데요

만약 ★현재 고1인 학생이 중학수학이 매우 부족하여 다시 공부한다고 했을때★

그냥 중학교에서 배우는것처럼
자연수배우고 문자와식배우고 .. 중1학년과정 다끝낸뒤에  중2넘어가고 이런식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중1교과부분인 자연수정수 배우고 중2과정인 유리수배우고 중3과정인 무리수를 다 익힌뒤에

중1과정인 다항식과 일차방정식 배우고 중2 에나오는 일차함수 이런거 배우고..
이런식으로 부분부분나누어서 먼저 배우는게 좋을까요?

공부에 왕도는 없다지만;

그래도 PGR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1. 학교에서 배우듯이 1학년꺼 - 2학년꺼 - 3학년꺼 순으로 배운다
2. 부분부분 나눠서 - 수 파트 - 문자와식(방정식) 파트 , 함수 파트 - 이런식으로 배운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14 15:47
수정 아이콘
차라리 고1 과정을 여러번 보고, 부족한 부분을 중학 수학에서 찾아 보는게 낫지 않을까요? 도형부분만 8-2 교과서를 보면 될듯 합니다.
개념정리
07/07/14 15:58
수정 아이콘
중학교 과정이 흔들려서 고등학교때 힘든 경우는 도형 외에는 거의 없습니다.수학 조금 한다는 고등학생들에게 물어 봐도 중학교 과정 기억도 안 난다는 학생들이 대다수일 겁니다. 고1 과정 부터 정말 차근차근 쌓으시고 그래도 중학교 과정 때문에 부족하다 싶은 부분이 있다면 그때 그때 보충하는 식으로만 해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단. 도형과 인수분해(요즘 중학 과정에서 나오나요?) 만큼은 되도록 익히고 가는 게 좋을 듯 싶습니다.
07/07/14 16:07
수정 아이콘
흠.. 그런가요
하지만 y=3x+2 의 그래프를 못그리는 정도라면 어떨까요 ?ㅜㅜ
pipipi07
07/07/14 16:16
수정 아이콘
무조건 다시 하세요. 고1학생이 간단한 함수그래프조차 못그린다는게 말이됩니까.
아직 늦지 않았으니깐 열심히 하면 되겠습니다만은, 좀.. 뭐랄까.. 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어떻게 해야할지는.. 본인이 잘 아실꺼라 생각합니다.
07/07/14 16:23
수정 아이콘
고1이시죠? 아직 시간 많습니다 처음부터 차근차근 다시하세요
개념정리
07/07/14 16:40
수정 아이콘
헉..제가 생각 했던 것 보다 수학적 기반이 굉장히 약하시네요;; 적어도 수학적용어에 익숙하고 잘은 못하지만 최소한 중학수학을 70점 정도는 받았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프도 못 그릴 정도라면 고등수학을 이해하는 자체가 버거울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빠르게라도 한번정도 중학 수학을 다시 다루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프와 인수분해는 자유자재로 다룰 줄 알아야해요;
후루꾸
07/07/14 17:44
수정 아이콘
현재 학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허허.
이제야 공부시작하려니까 방부등식 때문에 많이 후달리죠??;; 실제로 고교 과정과 가장 큰 연계성을 가지는 부분이구요.
시간이 모자라면 방부만이라도 다시 보세요. 방법은 당연히
2. 부분부분 나눠서 - 수 파트 - 문자와식(방정식) 파트 , 함수 파트 - 이런식으로 배운다.
가 낫습니다만 방부 는 꼭 그렇지도 않은게 두 단원 자체가 상당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1학년 방부, 2학년 방부의 순으로 보는게 나을 겁니다.
기본적으로 중학도형은 고교과정에 연계되는 단원은 없기 때문에 일단 공부를 하기 위해서라면
방부만 봐도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그리고 아마 복잡한 식의 계산 예를 들어 문자가 섞인 복잡한 통분 같은 부분에서 상당히 자신없어 할 것 같네요.
그건 중학 수학을 대충한 고등학생들이 다 가지는 공통된 특징입니다.
문제를 많이 푸는 수 밖에 없지만 그 갭을 완전히 메꾸어내는 학생은 거의 없습니다;;
어느정도 인정하고 들어가는게 오히려 도움이 될겁니다.
07/07/14 23:07
수정 아이콘
고1이시라.. 중학교용 정석도 아직 있죠? 개념원리도 있으려나...
부끄러워하지 마시고 그거 사셔서 쭈욱~ 풀어 나가시는게 좋을것 같아요...
수학은 정말 장기간동안 열심히 하셔야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8786 게임벅스 대회 리플 구할수 있는데 어디 없나요?? [1] H.B.K4456 07/07/14 4456
28785 램을 업그레이드 하고 싶습니다. H.B.K1504 07/07/14 1504
28784 나이 먹고 이상한 상상을 해봤는데..;;;; [5] 웨인루구니2144 07/07/14 2144
28783 수학공부관련 질문드립니다~ [8] Roy1549 07/07/14 1549
28782 중고컴터 사양가격좀 봐주세요 부탁드립니다. [5] 사신토스2155 07/07/14 2155
28781 강남구청 인터넷강의 질문입니다 [3] 아낄2118 07/07/14 2118
28780 스타 마우스 스크롤 화면 관련 질문입니다.~~ [2] 마담엑스2400 07/07/14 2400
28779 고3 공부하는데 있어 질문드립니다. [1] 제3의타이밍1595 07/07/14 1595
28778 피지알 왜 안열린건가요? [1] 부들부들1789 07/07/14 1789
28777 인터넷 재생 동영상문제입니다. 유키노처럼1692 07/07/13 1692
28776 부동산 양도소득세에 관해 질문 올립니다. [1] 똠방각2241 07/07/13 2241
28775 스타 리플저장문젠데요 CheerfuL2165 07/07/13 2165
28774 연예인들의 뒷소문 어디까지가 진실일까요? [10] 연식글러브3072 07/07/13 3072
28773 컴퓨터의 USB포트가 아무것도 먹히지 않습니다. Supreme1500 07/07/13 1500
28772 간단히 노트북 그래픽 카드 관련해서 질문이요. [3] 연합한국1907 07/07/13 1907
28771 주식회사 SK에 대해서.. [3] nuzang1924 07/07/13 1924
28770 국사 공부하기 좋은 단편 책 소개 해주세요 [3] run to you1942 07/07/13 1942
28769 독서실에서도 쓸 만한 어학기, 혹은 카세트 추천바랍니다. JJY1914 07/07/13 1914
28768 언어 양치기와 .. [4] ㅍㅍㅍㅍㅍ2123 07/07/13 2123
28767 컴퓨터 관련 질문입니다. [2] 도시의미학1568 07/07/13 1568
28765 컴터 견적좀 봐주세요~ [5] 타인의하늘1731 07/07/13 1731
28763 축구관련 질문.. [1] 율곡이이1614 07/07/12 1614
28762 영어 구조를 뜯어먹는다는거 [2] Daylight1702 07/07/12 17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