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28 21:59
실험법이란 양적(실증적)연구 방법의 하나로 과학적 절차에 따라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여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일반적 법칙을 발견하려는 연구방법입니다.
통제변인(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값) 과 조작변인(변화를 주는 값)을 가지고 실험을 하는거죠. 사회문화에서 실험법, 즉 실증적연구방법은 보편적이고 객관적 법칙을 찾아내는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내면적인 문제를 중시하는 주제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죠. 예를들어 방과후 학원에 가는것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실험을 할 수 있죠. 임의의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초기의 학교 점수를 측정합니다. 그 후 통제변인은 방과후 학원을 안가게, 조작변인은 방과후 학원을 가게 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난후 다시 두 그룹의 성적을 비교했을때 간쪽은 평균 5점이 향상되었고 안간쪽은 3점이 떨어졌다면 결론을 '방과후 학원수업은 학교수업에 도움이 된다' 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는거죠. 또 다른 예로 '가출청소년들의 심리연구' 와 같은 것은 직접 만나서 면접을 하는 면접법이나 참여관찰법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런 해석적(질적)연구방법이 적합한 주제에는 실험법을 사용할 수 없겠죠.
07/07/28 22:05
상대주의적 태도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여 각각의 문화가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보는 태도입니다.
예를들어 프랑스의 한 여배우가 우리나라가 개고기 먹는 것을 보고 뭐라고 했는데요. 이건 상대주의적 태도를 어기는 것이죠. 문화는 비교는 할 수 있지만 평가는 불가능하죠. 그러나 주의하셔야 할 것은 극단적 상대주의를 구별하셔야 되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어기는것(식인 등등...)은 극단적 상대주의(개념없이 다 좋고 다 괜찮다고 하는거죠)입니다. 객관적 태도란 어떤 실험 연구등을 할때 자신의 사견이나 편견등을 넣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관찰하고 조사하는 태도입니다. 예를들어 일본과 한국에 대해서 연구하는데 반일감정이 심한 사람이 일본을 나쁘게 보고 자료를 왜곡해서 조사하면 안된다는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