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0/13 12:34
흠. .먼저 is나 lm의 의미는 모르겠습니다.
단 이자율과 소득관계에 있어 님의 질문에 답을 드리자면. . 이자율과 소득의 반비례에 있어 기업의 총지출이 감소되면 개인의 소득이 감소된다는 의미일듯하구요 두번째의 이자율과 소득의 비례는 기업또는 개인의 금융자산의 이자율이 올라가면 금융소득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일 듯 싶습니다. 마지막 화폐시장의 초과수요가 되면 이자율이 상승되어야하는이유는 초과수요분을 초과된 이자로 다시 금융기관으로 회수해야 시장이 안정되어 그런듯합니다. 이상 경제학배운지 10여년 지난 직딩이었습니다. 맞는지는 저도 확신을 못해요 .ㅠㅠ
07/10/13 12:39
위에 분이 설명하신건 맞지 않는 듯 싶습니다. IS-LM에서 Capital Gain이나 interest income은 포함되어있지 않습니다.
IS는 실물시장에서의 화폐 공급과 수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LM은 화폐시장에서 소득에 따른 화폐수요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IS에서는 이자율 상승이 소득의 감소를 불러오게 되는 것이고(투자가 감소하니 당연하겠죠?) LM에서는 소득이 상승하니 소비가 증가하여 화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므로 화폐의 가치로 평가되는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죠~ 즉, 둘다 이자율과 소득의 곡선이지만, 원인과 결과가 다른 겁니다~ 또한 화폐를 하나의 재화로 생각한다면 화폐 수요가 초과 수요가 될 경우 화폐의 가격이 상승하겠죠(이건 아시죠?^^;) 그러면 화폐의 가격은 무엇이 될까요? 화폐를 얻는 과정은 돈을 빌리는 것이 될 것입니다. 지금 당장 소비를 하거나 투자를 하든가 어떤 목적에서 돈이 필요하다면 빌려서라도 쓰게 되겠죠. 빌리고자하는 수요가 증가하니 당연히 이자율이 높아져도 빌리려고 하겠죠. (당장 돈이 급한 사람이 이자율이 높고 낮고 가릴 처지가 아니겠죠?) 그렇게되니 이자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즉, 이자율이 바로 화폐의 가격과 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했는데,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거시를 배운지 오래되서(거시를 싫어해서 -_-) 맞는지 확신은 안되지만, 아마 맞을겝니다 경제원론 책과 비교해보세요^^;
07/10/13 12:55
IS곡선과 LM곡선이 이자율과 소득과의 관계에서 비례하고 반비례한다는 말은 틀린말입니다.
고전학파는 화폐수요의 이자율 타력성이 매우 낮고 투자수요의 이자율 탄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하기에 LM곡선은 우상향하면서 기울기가 매우 가파른 형태를 보이고, IS곡선은 우하향하면서 거의 수평의 형태를 보입니다. 그리고 케인지안은 그 반대죠. 그래프가 탄력적이냐 비탄력적이냐가 더 맞는 표현입니다.
07/10/13 12:57
아 이제서야 이해가 되는군요~ 감사드려요
그런데 IS 에선 이자율이 먼저움직이면 소득이 뒤따라 움직이는 개념이고 LM 에서는 소득이 먼저 움직이고 이자율이 뒤따라 움직이는 개념인것 맞죠? 근데 제기억엔 경제 그래프에서는 Y가 먼저움직이고 X가 뒤따라 움직이는 걸루아는데 아닌가여; 음음음 넘헷갈리네여 미리공부좀했어야되는데ㅠㅠ
07/10/13 13:14
Return☆GARIMTO★님// 그런 방식으로 접근하시기 보단 예를 들어 이자율이 상승했을 때 재화시장이 균형상태로 복귀하기 위해선 국민소득이 감소해야 하기 때문에 IS곡선이 이렇게 영향받고 그 (외생)변수가 정부지출이나 조세다.그리고 이런 변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고전학파랑 케인지안은 이런 주장의 차이가 있고, 효과에 대한 시각차이가 이런거다..이렇게 접근하시는게 전체적으로 이해하시기 편하실겁니다.
경제학에서 그래프는 수학에서의 X축과 Y축이 반대입니다.첨에 믿기지 않아서 왜 그렇냐고 교수님께 물어보니까 예전에 경제학자들이 그렇게 암묵적으로 정해버렸다네요..ㅡ.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