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09 13:51
정사는 삼국시대후의 진나라때 진수가 쓴 역사서 입니다. 진이 위를 이었기 때문에 그런것은 고려를 해야겠죠... 우리가 알고 있는 삼국지는 나관중의 연의입니다. 사실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죠..... 정사와 비교하자면 촉한정통론에 촉한 편애모드입니다....
사실 정사도 승자의 기록이기때문에 정확히 사실이다 이렇게는 말하지 못하지만\....그렇게 따지면 모든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때문에... 삼국지는 역자마다 다 나름대로의 개성이 있긴 하지만.... 전 개인적으론 이문열 삼국지가 가장 나았던듯 하군요... 제 생각이랑 그나마 비슷해서요... 그리고 고우영 만화삼국지도 만화긴 하지만 재미있습니다.
07/11/09 14:14
우리가 흔히 소설로 읽는 삼국지의 정확한 이름이 '삼국지연의'입니다.
이건 역사서가 아니라 삼국시대로부터 천년 이상이 지난후 나관중이라는 사람이 쓴 역사 소설이죠. 삼국지연의도 깊이 따지고 보면 여러사람의 영향을 받았고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삼국지연의도 정확히 나관중이 쓴 버전의 것은 아니지만, 일단은 그렇습니다. 완전 픽션은 아니고 보통 칠실삼허라 하여 30%정도를 허구로 보더군요. 정사는 진수가 쓴 '삼국지'를 일컬으며 중국의 25사서에 들어갈 정도로 권위가 있는 사서입니다. 진정통론에 입각하였기 때문에 다소 치우친 면도 있지만 그래도 비교적 객관적인 입장에서 쓰여진 편이죠. 당대의 사관들이 쓴 기록이기 때문에 정확성은 매우 높으며. 역사서이니 정황상 틀리거나 다른 사서와 특별히 상충되지 않으면 모두 사실이라고 봐야겠죠. 그러나 이 진수의 삼국지에는 빠진 부분들이 많고 특히 촉서같은 경우는 기록이 극히 적습니다. 이에 배송지라는 사람이 후대에 황제의 명으로 이런저런 사서들과 자신의 해석을 곁들여 주석을 다는데 이걸 배송지주,즉 배주라 하죠. 보통 정사 삼국지를 연구할 때는 진수의 삼국지+배주를 함께 참고하며 현재 합각되어 있습니다.
07/11/09 14:22
삼국지 중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읽기 재밌는 삼국지는 이문열 삼국지입니다.
그러나 대중적인만큼 이문열 삼국지처럼 삼국지 매니아들에게 비판을 많이 받는 삼국지도 드물죠. 이유인즉슨 연의와 정사를 짬뽕하여 새로운 관점으로 연의를 썼는데. 자기 마음대로 어떤 점은 넣고 어떤 점은 빼버리고 하는 바람에 뒤죽박죽 이상하게 되버린 부분들이 너무 많죠. 게다가 중간중간 참고하여 써넣은 정사중에서도 틀린 부분이 꽤나 많고 (정사 열전에 버젓이 있는 부분인데 없다고 하는 등)정사의 흐름을 제대로 구분하여 짚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끼워넣을 때만 끼워넣어서 연의와 정사를 따로 읽어보지 않은 분은 오해할 소지를 많이 만들어 놓았습니다. 대표적으로 제갈량의 관우 제거설등을 매우 비중있게 다룬 점 등인데.. 정사를 아는 사람이라면 제갈량의 관우 제거설은 전혀 근거가 없고 말도 안되는 소리라는걸 압니다만.. 이문열씨는이 부분을 매우 비중있게 다루고 있죠. 연의만 보자면 충분히 가능한 분석입니다만 이문열 삼국지에서 이문열씨가 평역을 달아놓은 상당수 부분은 정사를 손댔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혼동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비판을 하고 개정을 요구하였는데. 아무래도 이문열씨가 삼국지 작업에 손을 놓아버렸다고 하는 소문이 사실인지 개정판은 끝끝내 내지 않으시더군요. 황석영 삼국지 같은 경우는 그런면에서 비판은 거의 없지만 문체가 다소 건조하고 딱딱합니다. 이문열 삼국지와 보통 많이 비교가 되는데.. 재미있게 읽기에는 이문열 삼국지쪽이 낫다고 보구요.
07/11/09 14:26
아 혹시나 오해하실 분들이 있어서 첨언하자면.
이문열의 삼국지자체는 괜찮습니다. 재미로 읽기에는 아무 문제 없구요. 이문열씨의 작가적 재능이 백분 발휘된 작품이죠. 다만 평역으로 달아놓은 부분, 특히 정사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 문제의 여지가 많다는 이야기이니. 이 부분만 생각하고 보시면 될듯 하네요.
07/11/09 14:29
그 외 리동혁씨가 쓴 본삼국지, 정비석, 월탄,김구용의 삼국지등 여러 버전(?)의 삼국지가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보시면 될듯 하네요. 연의에 가장 충실한 삼국지가 무엇이냐도 의견이 많이 갈리니까요.
07/11/09 16:26
혹시 본(本)삼국지 보신 분 계신가요? 전에 서점에서 얼핏 보기로는 자료도 풍부하게 제시되어 있고 재미있어 보이긴 하던데... 읽으신 분 계시면 의견을 좀 들어보고 싶습니다.
07/11/10 19:14
본삼국지라... 이건 처음 들어보네요 한번 읽어봐야겠어요.
이문열 삼국지는 그냥 '글 하나 정말 맛깔나게 쓰는구나' 하는 생각들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