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11/23 16:45:05
Name Nothing better
Subject 서울중위권 대학졸->서울대학원 = 서울대학교 졸?
동국대 붙은 친구가 있습니다

동국대 가기 싫은데 수시로 붙어서 어쩔수 없는 상황이에요

부모님은 절대 재수는 안된다 하시고

그런데 얘 말이 서울대학원에가면 동국대학교나와도 명문대학교 졸업 취급 받는다고 그러더군요

아니 그렇게치면 대학원 안 갈 사람이 어디있냐고 아닐꺼라고 그러긴했는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달걀껍질
07/11/23 16:58
수정 아이콘
모르는 소리입니다..;; 중요한건 무조건 학부입니다. 대학원 서울대로 가도 서울대취급안해줍니다. 편입해도 입학한 학교도 취직할때 대학원 진학할 때 다 봅니다.
07/11/23 17:02
수정 아이콘
학과가 어떻게 되나요?
우선 현실적으로 동국대 나와서 서울대 (공대/자연대의 경우 포공,카이스트까지) 대학원 가는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입니다.(약간의 과장)
그리고 대학원 나와도 학부 명찰 항상 따라다니고, 동문회는 거의 학부소속으로 가기 때문에 크게 바뀌는건 없다고 보면 됩니다. 물론 대학원을 미국 top 10 쯤으로 다녀온다면 얘기가 조금 달라지겠지만요.
Nothing better
07/11/23 17:02
수정 아이콘
공대에요.. 전기전자였나 친구과라 잘 몰라요..
뿌지직
07/11/23 17:07
수정 아이콘
참 웃기는 현실이죠. 미국같은 경우는 최종학력을 보는데 우리나라는 학부가 중요하죠. 그놈의 학벌사회.
Nothing better
07/11/23 17:08
수정 아이콘
사실 재수 서울대 목표인데 친구 말 들으니 잠시 혹했습니다..
달걀껍질
07/11/23 17:11
수정 아이콘
동국대 나와서 서울대 (공대/자연대의 경우 포공,카이스트까지) 대학원 가는건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은 아니라고 보는데요.. 보통은 안가죠. 가도 안 알아 주니까 못가는게 아니라 안가는 사람이 많습니다. 특히나 이공계쪽에서 보통 동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은 못가서라기 보다는 안가는게 맞습니다. 물론 못가는 사람도 있구요. 학부 학점만 좋고 미리 컨택 잘하시면 대부분 갑니다. 이공대쪽은 사람이 없어서 마음만 먹으면 잘 옮겨가죠. 하지만 동국대학부가 서울대 대학원을 가도 아무도 안 알아준다는거
달걀껍질
07/11/23 17:12
수정 아이콘
다른 대학원가도 소위 진골취급 못받습니다.. 잡다한 프로젝트나 시키고 핵심은 안주죠.. 암튼 이래저래 설움이 많습니다. 걍 재수하시는게 날듯
마젤란 Fund
07/11/23 17:39
수정 아이콘
아직 대학도 안간 사람이 대학원이라..
명문대 졸업취급 받으면 어떻고 못받으면 어떻습니까?
살아가는데 그게 뭐 중요합니까?
동대졸업해서 설대학원가는것보다 생각해야 할 더 중요한것들 더 많은것들이 있는데 그런것에 더 많은 생각을 하시는게..
Nothing better
07/11/23 17:41
수정 아이콘
고등학생에겐(저만 그럴진 몰라도) 명문대학이 인생의 전부에요..

그리고 전 동국대 합격생 아니고 재수 허락도 받았습니다..
잃어버린기억
07/11/23 17:5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이지만 고려대 서창가서 안암에서 복수전공하면 되잖아, 혹은 안암으로 편입하면 되지.
연세대 원주가서 신촌으로 편입하면 되지. 정도로밖에 안보이는데요.
07/11/23 17:53
수정 아이콘
달걀껍질님// 글쎄요. 제가 pks중에 두 학교 대학원 입시 상황을 다 볼 수 있었는데, 연고 이하 학교 출신이면 4.x 학점에 다른 특이사항 있어도 합격 못하는 사람이 수두룩 하던걸요. (아 저는 공대 출신입니다)
Weballergy
07/11/23 18:23
수정 아이콘
한국의 대학들이 (특히 상위권대) 학부의 인풋에 비해 대학원의 인풋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것도 그런 평가에 한 몫 한다고 봅니다. 또, 한국의 대학들의 대학원 시설이나 환경이 안 좋아서 우수한 인재들은 정작 해외 유학(특히 미국..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따는 사람들의 최다 출신 학부가 한국 서울대학교입니다)을 가 버리니 더더욱 국내 대학원에 대한 저평가가 반복되겠죠. 미국은 학부 수준은 좋지 않아도 대학원 수준은 꽤 좋은 대학도 있고.. 우리나라와 일률적으로 비교할 수 없습니다.
마술사
07/11/23 20:14
수정 아이콘
Crom님// 저는 고대 공대 대학원 다니는데,
저희학교 제 연구실의 경우 인서울 대학 출신에 학점 4점정도 베이스가 되어있다면
입시몇달전에 교수님께 컨택해서 미리 연구실 와서 인턴생활 하면 왠만하면 다 붙습니다.
CheerfuL
07/11/23 21:10
수정 아이콘
가기싫은 대학을 왜 수시로 쓰셨는지가 가장 궁금하네요
07/11/23 21:17
수정 아이콘
마술사님// 저는 kaist, snu, postech 의 경우를 얘기한 것입니다. 그 외의 사정은 잘 모르겠습니다.
07/11/24 00:54
수정 아이콘
동국대 정도면 좋죠..근데 그렇게 명문대에 목숨 걸었으면 재수해야죠.
07/11/24 03:06
수정 아이콘
이런 말하긴 뭐하지만, 우선 동국대 공대 수시붙은 상태에서 재수해서 서울대 붙는것도 하늘에 구름따기 정도는 됩니다. 재수하면 점수 많이 오르는건 고사하고 안오르는 사람도 많아요. 보통 소폭 상승합니다. 자신이 아깝게 떨어진데 붙거나 그것보다 살짝 올라가는정도?
07/11/24 03:51
수정 아이콘
동국대 정도면 서울대 대학원 쉽게 갈겁니다. 그런데 그렇기 때문에 요새 서울대 대학원만 가지곤 안되요.
Nothing better
07/11/24 04:48
수정 아이콘
서울대 노리는 사람=나

동국대 붙은 사람=친구(재수하면 한양대 목표)

입니다;;
07/11/24 13:51
수정 아이콘
문과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이공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상황에 따라 좀 다른 것 같습니다.

석사만 마치고 그냥 일반 기업에 들어갈 거라면 학부는 그리 중요하게 안 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물론 박사까지 하더라도 일반 기업이라면 학부의 비중은 좀 덜합니다. 그런데 이공계의 경우 길이 더 있죠. 교수나 국책 연구소의 연구원이라거나 하는 식으로 계속 그쪽에 남게 될 경우에는 학부를 상당히 보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교수가 되려면 학부 출신이 상당히 크리티컬한 것으로 들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얘기지만, 이공계의 경우 학부 성적이 굉장히 좋더라도 소위 pks라 불리는 대학원에 가는 거 그리 쉽지 않습니다. 각 대학 레벨에 따라 학점을 차등 계산을 하는 데다가 지원자들 자체가 이미 학점은 베이스로 깔고 있거든요. 더구나 자대생에 플러스 알파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대생 출신의 대학원 진학률에 따라서 타대생의 합격 여부가 정해진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대학원 가는 거 그리 쉽지만은 않다는 거 말씀드리고 싶어서 좀 길게 적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556 컴퓨터소음 + 컴퓨터끼리 자료옮기기.. [7] =Maestro=2437 07/11/24 2437
31553 남자 예비 대학생 패션에 대한 질문입니다.. [6] 멋진놈2533 07/11/24 2533
31551 LCD를 살려고 하는데요 [2] 계란말이1869 07/11/24 1869
31549 이번 에버스타리그 노래를 알고 싶습니다 [4] 워크초짜2099 07/11/24 2099
31547 공익근무에대해 아시는 분들 [6] CrazyFanta2044 07/11/24 2044
31546 just a little bit - 어쩌구하는 노래 제목알려주세요! [5] CrazyFanta2091 07/11/24 2091
31545 심형래 감독님 'D-War' 찍은 자금은 어디서 구하셨나요? [2] 질럿은깡패다2036 07/11/24 2036
31544 문국현 후보에 관한 질문 [3] 질럿은깡패다1797 07/11/24 1797
31543 컴퓨터 화면 해상도와 비율 질문입니다 [2] 케이1726 07/11/24 1726
31541 또다시 미궁질문. 너무 어려워요 ㅠㅠ [3] 잠잘까2101 07/11/23 2101
31540 전자사전 추천 좀 해주세요. [2] GoGoSing1636 07/11/23 1636
31539 취직에 대해서 조사?입니다. [1] 경락마사지1553 07/11/23 1553
31538 각언론들의 사설은 어디에서 볼수 있나요? [3] 보라도리1514 07/11/23 1514
31537 사운드 카드가 이상합니다.. 도와주세요! [1] AriENai1875 07/11/23 1875
31535 팀밀리에 대해서... [3] 달려라투신아~1705 07/11/23 1705
31534 예전에 유게에 올라온 미궁게임 질문. [1] 잠잘까1953 07/11/23 1953
31533 컴퓨터가 이상해져서 질문드립니다... [1] 용열이1595 07/11/23 1595
31532 엄청난 말을 너무 쉽게 해버렸습니다. [2] HolyNight2022 07/11/23 2022
31531 노트북 무선인터넷 사용에 관하여 궁금한점이있습니다. NaturalTragedy1561 07/11/23 1561
31530 서울중위권 대학졸->서울대학원 = 서울대학교 졸? [20] Nothing better4421 07/11/23 4421
31528 [금호생명]주가지수연계연금보험에 대해 질문좀 할께요~!! [2] 러브포보아1935 07/11/23 1935
31527 가죽 가방 얼룩 제거 방법좀 알려주세요 darksniper2627 07/11/23 2627
31526 음악을 찾고있는데요.(수정) [3] Lucky-Strike1557 07/11/23 1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