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10 13:46
저도 스타때문에 모니터 갈아탈때 고민을 많이 했지만..
좀 돈이 깨지더라도 큰 모니터를 사시는게 오래오래 쓰더군요;여러모로 쓸모도 있고.. 중소기업 22인치 와이드를 추천해드려봅니다-_-;
08/01/10 13:49
답변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티비수신되는 모니터요... 디씨갤에 가보면 연결된 유선티비 안테나를 모니터랑 연결해서 쓴다는 글을 봤는데- 제 여자 친구 방엔 티비가 없습니다. 근데 모니터만 키면 (본체 안켜도) 티비가 나오는건..... 티비 내장인거죠? 제가 알아본 위 두모델이 그런 종류 맞습니까? 아날로그 튜너..라고 하는 거 같던데... 사람들이 화질 별로라고 하는데 전 막상 여자친구네서 보니까 나름 괜찮더군요-
08/01/10 13:50
방금 모니터관련글 쓰고 왔었는데 또쓰게되네요 큭
TV시청까지 생각하시면 22인치이상이 낮지않을까요? 와이드라도 고정종횡비 지원하면 일반 4:3비율로 스타하실수 있습니다 ^^ 참고로 저도 6개월전에 님같은생각으로 LG 19인치 사서 잘쓰고있습니다만...지금은 22인치살껄 하고 후회합니다 T.T 회사에서 22인치 쓴지 얼마 안되었는데 정말로 편합니다..집에가면 답답하다는...
08/01/10 13:54
모 사람나름이겠죠. 전 LCD는 너무 밝아서 머리아프더라구요. 완전평면 CRT 19인치 반년전에 딴 실험실에서 버린거 엎어 왔습니다만, 좋던데요.
LCD쓰고 싶으시다면 Viewsonic꺼 추천합니다. 모니터의 명가로 색감이 끝내줍니다. 삼성꺼하고 그렇게 차이가 없습니다만, 삼성꺼는 저한테는 색감이 조금 무거워서요. 그밖에 저렴한 중소기업 제품이나 저가형 중국제품은 금방쓰고 버리기는 좋긴 합니다. 가끔 데드 픽셀이 한두개 정도 나와도 교환이 안되는 문제와 명도가 너무 밝게 나오거나, 하는 문제가 있어서 신중하게 고르세요...
08/01/10 14:28
사용하시던 CRT모니터를 5천원 주고 버린게 아깝네요. 제품 이상이 없다면 무료분양을 통해서 처분하실 수도 있었을 텐데요.^^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현재 회사에서 19인치 와이드 사용하고 집에서는 17인치 초기 LCD 사용중입니다만... 그 차이가 꽤 큽니다. 따라서 지금 구입하신다면 그래도 22인치 이상 제품을 구입하시는 것이 좋으리라 봅니다. 티비를 보실 요량이시면 TV 수신기 내장 제품을 구입하시면 되고요.
08/01/10 14:34
저..제가 막 모니터 알아볼때는 22인치는 먼 패널 제품이라서
티비랑 영화(안누워서 보시면 할말은 없지만...)를 눕거나 조금만 옆에서 보면 색감,질 등이 많이 차이난다구 그러던데... 돈 더 보태서 20.1인치나 더 큰걸로. 제가 알아볼때 22인치는 정말 사지말라고 그러더라구요. 여러모로 불편 하다고. 그냥 조금이라도 도움을 주려 했던, 왕초보지식인 입니다. 잘못된 정보면 자삭할께요.
08/01/10 14:45
윗분 말씀대로 고정종횡비가 된다면 와이드도 괜찮죠. 영화나 미드를 많이 보신다면 와이드가 필수입니다.
22인치 와이드 고정종횡비 설정하시면 실제 화면크기는 19인치와 거의 비슷할겁니다. 와이드로 가실거면 22인치는 비추입니다.패널이 올TN패널이라 시야각 좌절입니다. 23인치나 24인치 추천하고 싶은데 23은 좀 어정쩡하고 24인치 추천입니다! 그리고 티브이튜너있는 모니터에 너무 집착하지 마시고 차라리 HDTV카드 하나 끼우시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08/01/10 14:46
너무 큰 모니터가 부담되신다면 20.1 인치 추천합니다.
19인치나, 20.1인치나... 1인치 차이지만, 그냥 보기에는 크기 차이는 거의 안느껴지죠. 차이가 있다면 해상도입니다. 19인치의 최대해상도는 1280 * 1024 이지만, 20.1인치는 1600 * 1200 이거든요. 20인치와, 20.1인치의 차이도 역시 해상도입니다. 0.1 인치랬자 25mm 이니, 사실 이 수치는 전혀 무의미하고, 20인치와 20.1인치를 궂이 구분하는 이유가 해상도거든요. 그리고.. 모니터 사실때는 메이커보다는 명암비나, 밝기 등을 잘 확인하시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요즘에는 중소기업의 저가형 LCD도 명암비가 800:1 이상인 제품들이 많더군요.
08/01/10 15:06
항상 이런 글을 쓰실때마다 댓글을 달지만 저 역시 22인치나 20인치는 너무 큰게 아닐까 하고 19인치를 샀지만 지금에 와서는 22인치를 살껄 하고 후회가 됩니다. 저도 게임은 잘 안하지만 역시 영상같은거 보기에는 19인치는 좀 답답하더라구요~
08/01/10 15:11
일단 제 모니터 구입의 기본적인 조건은
1.본체를 켜지않고 티비를 볼 수 있을 것 (티비카드를 끼우는 거면 컴터를 켜야 티비를 볼 수 있지 않나요? 컴퓨터 소리가 상당히 거슬려서.. 이게 별 거 아닐지 몰라도 편의성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더라구요) 2.가격은 30만원. 딱 거기까지. 3.TN패널이 아닐것 와이드 모니터에 고정종횡비란 게 있는 줄은 몰랐네요. 그럼 4:3으로 맞추면 19인치에서 스타할 때랑 비율은 같고 크기만 커진 건가요? 일일이 그 비율 조정할때 불편한 점은 없나요? 스타할때만 그렇게 하고 스타끄면 16:9 와이드로 다시 돌리고... 편의성에 큰 문제는 없는지..
08/01/10 15:19
정태영님// 말씀하신 조건으로는 어렵지 않을까 싶네요..
1+2번의 조합은 가능할 것 같은데 3번이 걸리네요. TN패널보다 상위 패널은 대게 24인치 이상에 달리는 듯 합니다. 고정종횡비는 편리하게 모니터에서 세팅하는 것도 있고 프로그램 설정에 들어가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08/01/10 15:22
정태영님// 대략 가격을 보니까, TV 수신되는 20.1인치 모니터중에 30만원 이하급들도 꽤나 많군요.
와이드 모델도 있고, 4:3도 있습니다... 다나와 등에서 가격을 살펴보시고 구매하시는게 좋으실듯 하네요. 만약 서울에 사신다면, 용산에 가서 한번 발품 파세요 ^^; 개인적으로는 선인상가를 추천합니다.
08/01/10 15:42
일단 나중에 hd 영상이 보편화 될때를 생각해서 대형와이드 모니터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어차피 좀있으면 방송도 와이드인 hd로 바뀌니까요) 그리고 고정 종횡비를 설정해놓으면 프로그램에 따라 알아서 바뀌더군요. 예를 들면 피온이나 스타할 때는 자연스럽게 화면 좌우 가장자리가 까맣게 변하면서 가운데 4:3비율의 화면만 사용합니다. 물론 그 프로그램을 끄면 자연스럽게 다시 원상복귀가 되구요. 일반 4:3모니터에서 와이드영상 볼때 화면 상단과 하단에 검은 줄이 생기는 것과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08/01/10 15:50
22인치까지는 4:3 비율을 사는게 가격대 성능비로 최곱니다.
와이드에 비해 가격도 싸면서 화면은 더 넓기때문이죠. 그러니 19인치 사실바에는 21인치나 22인치 4:3비율을 사는게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제가 쓰는 모니터가 2년전에 제일 싼가격으로 싼 중소기업 21인치 4:3 lcd모니터인데 지금도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이 잘쓰고 있습니다. 당연히 tn패널은 아니죠. 알아보시면 알겠지만 최근에 나온 모니터중에 tn 패널 찾기가 오히려 더 힘들겁니다. 그리고 s-ipa 나 s-pva나 약간의 특성차이만 날뿐 그렇게 큰 차이는 없습니다.(수치 이야기는 아니고 그냥 보기에 그렇다는겁니다) 24인치 이후로는 4:3비율이 없거나 비싸기때문에 와이드밖에 선택할수 없습니다. 다만 이경우는 본체의 사양이 중요합니다. 그래픽카드 사양이 딸리면 모니터가 정상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엄청 크기때문에 잘 문의해보고 사셔야합니다.
08/01/10 16:05
바람의 빛//// 아하하하;;
아.. 모니터 하나 사기 참 힘드네요 -_-; 지금까지 생각과 의견을 종합한 바로는 19"로 가면 삼성 삼성전자 싱크마스터매직 CX911MW-SS 그거 아니면 22" 4:3으로 새로 모델을 검색해봐서 사는게 좋을 것 같네요
08/01/10 17:13
질문하나.. 24인치 정도의 와이드 TV겸용 모니터는 모가 좋은가요? 정태영님꼐는 미안하지만 고수님들께 질문을...
삼성이나 엘지쪽을 선호합니다.
08/01/10 17:46
태영님 //
제가 한 3-4개월 전에 조립컴을 맞췄습니다. 저도 그때, 19인치LCD였는데, 22인치부터는 어지간하면 와이드만 있더라구요. 그래서 20인치 일반LCD로라도 맞출까..라고 생각하다가 와이드로 바꿨는데요. 와이드로 바꿔서 후회한적 한번도 없습니다. 일단 영화볼때가 좋다는점과, 요즘 추세가 다 와이드로 넘어가는점, 그리고 요즘 나오는게임은 다 와이드가 지원된다는점과 오히려 와이드에 익숙해지면 와이드가 더 좋다는점에, 스타같은경우는 저도 정말 스타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스타때문에 고민가장 많이했는데 고정종횡비기능이 있는와이드라서 고정종횡비에 익숙해지니까 괜찮아 지더군요. ( 이건 적응력에 따라서 다르겠습니다만, 저도 처음엔 고정종횡비로 해서 많이졌습니다; 화면옆에가 잘리기때문에 스타게임내에서의 거리감이라고 할까요. 그런걸 느끼기가 어렵더라구요.. ^^ ) 22인치 사고나서 생각되는점이, 아 24인치 와이드 살껄입니다. 제품은 삼성이나 엘지보다는 BTC정보통신제품을 추천합니다. 요즘 컴퓨터조립업체에서도 가장 추천하는 제품이고, AS도 좋고 고정종횡비기능도 됩니다. 패널도 좋다고 하더라구요.
08/01/10 17:53
와이드 강추합니다 스타를 엄청 많이하신다거나 하는게 아니라면요..확실히 와이드가 19인치보다 게임하기엔 너무 커서
부적합하긴 하지만 쓰다보면 적응 금방 되실거고 게임을 주 로 할 것도 아니고 종종 하시는거면 와이드 강추
08/01/10 22:42
Akira님// 저도 와이드 쓰는데 스타 그냥 합니다. 미니맵 화면은 정사각형이 아니지만 적응되니 괜찮더라구요.
pc방 가면 유닛이 너무 날씬해요.
08/01/10 23:19
근데 19인치랑 20.1 인치 와이드랑 한 2~3만원 차이 밖에 없으니... 게다가 심지어 어떤건 22인치도 19인치랑 그정도 차이 밖에 없습니다.
그냥 와이드 사세요.
08/01/11 02:51
HD영상의 경우 지역 케이블사에서 송출하지 않는다면 시청 또한 할 수 없습니다.
한 예로 저희 할머니댁의 케이블 회사에서는 기본 체널 편성표 만으로도 KBS MBC 등의 지상파 방송국이 송출하는 HD 체널을 따로 보여주나 저희 집에서 시청하고 있는 케이블 회사의 경우 기본 체널 편성에서 HD급 영상을 전혀 송출하지 않아 따로 추가요금을 지불하고 HD체널을 시청하고 있는 중입니다. 곧 HD송출이 의무화 된다지만 현재 시청하고 있는 케이블 사의 체널 편성 정도는 미리 알아 보시고 모니터 선택하시는게 좋을 듯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