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10/23 22:01:33
Name 탄야
Subject 적립식 펀드 어떻할까요..?
작년 12월에  펀드를 가입했습니다. (미래에셋 인디펜던스, 3억만들기)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직장 다니기 시작했으니까 펀드라는걸 들어볼까 하고 가입했다가

예.. 요즘 죽쓰고 있습니다. ㅠㅠ 제가 월급이 그렇게 넉넉한편이 아니라서..

매달 펀드50, 적금20, 청약10, 보험10  내기도 빠듯하네요..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펀드는 여윳돈으로 넣어야 하는데

50만원은 비중이 너무 높은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현재 원금 550에 180 정도 손해봤구요.. 내일이면 190가까이 되겠네요 ..

너무 손해가 심해서 펀드를 해지할 생각은 못하고 있는데 기존대로 50을 넣을지 아니면 10만원씩 20만 넣을지 아니면

안넣고 기다릴지 고민되네요.. 자꾸 떨어지니까 불안하기도하고 낮은 단가로 싸게 매수되니까 기존액수로 넣을까 고민도 되구요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10/23 22:11
수정 아이콘
적립식펀드는 말씀하신 것 처럼 기준가가 떨어지더라도 낮은 단가로 다량이 매수가 되어
이후 처음 넣으셨을때의 기준가 근처까지 회복한다던가 했을때는
손실을 만회하시거나 아니면 이익을 보실 수 있어서 등락에 관계없이 꾸준히 넣으시면 됩니다
...라고 말씀드리고 싶으나
현재는 언제까지 이 하락이 계속될지 모르는 터라...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그래도 결국에는 이 하락이 끝을보고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거라 생각합니다
2~3년 장기적으로 넣으실거라면 조금씩이나마 계속 넣으시는 것도 좋을거라 생각되네요
08/10/23 22:11
수정 아이콘
그냥 빼세요.
WizardMo진종
08/10/23 22:21
수정 아이콘
이바닥에 다시는 들어올생각이 없다면 배웠다고 생각하고 빼셔도 됩니다.
하지만, 나중에 다시 들어올 생각이 있다면 비중을 조금 줄여서 유지하는것도 좋습니다. 물론 지금처럼 50을 유지해도 좋구요

언제 다시 상승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바닥또한 한참 남지 않았을겁니다.
天TERRAN上
08/10/24 02:57
수정 아이콘
적립식 펀드라면 주가지수대비 하락율이 덜한편이죠.
흔히 주식하는 사람들이 말하는 물타기가 되기 때문에 손익분기점도 낮아져있을겁니다.
뭐 몇년 꾸준히 넣으신다고 생각하시면 굳지 1000포인트까지 내려온 이 상황에서 빼실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물론 본인이 생각하기에 펀드보다는 정기예금이 낫겠다고 생각하시면 손해난거 생각하시지마시고 환매하시고요.
지구사랑
08/10/24 17:59
수정 아이콘
아래 세 가지 전제 조건이 맞다면, 계속 가셔도 됩니다.

1. 펀드에 투자하는 돈은 생활비와 관계가 없다. 없어도 사는 돈으로 적어도 3년, 최악의 경우 10년 안에는 환매를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버핏이 한 말 중에 사고 10년쯤 잊어버릴 수 있는 주식을 사라는 말이 있습니다)
2. 원금 대비 평가액이 50%쯤 줄어도 기분이 조금 나쁘기는 하지만 잠은 설치지 않고 편안하게 잘 수 있다. 평가액은 평가액일 뿐, 내가 찾을 때 이익이면 된다.
3. 급락해도 겁을 내지 않고 꾸준히 계속 투자할 수 있다. 값이 떨어질수록 동일한 돈으로 더 많이 살 수 있다는 사실에 때로는 즐거움을 느낀다. (조금은 아리송한 정신 세계입니다만... ^^;;;)

거치형과 적립형은 수익 곡선이 매우 다릅니다. 대상이 지수/펀드냐 개별 종목이냐에 따른 리스크도 매우 다르구요. 지수/펀드에 대한 적립형은 위의 세 가지 전제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요즘 같이 급락하는 장을 오히려 좋은 기회로 볼 수 있습니다. 바닥을 확인하고 튀어오를 때, 급락이 깊을수록 튀어오르는 탄력/수익도 큽니다. (반대로 상승장에서는 적립식은 별로입니다)

문제는 바닥이 지나기 전에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 바닥이 지날 때까지 계속 적립할 수 있는 체력과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만일 바닥이 없다면?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다면? 아마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펀드에 투자하셨건 안 하셨건 어차피 별 차이가 없을 겁니다.
08/10/27 19:56
수정 아이콘
지구사랑님//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979 정장에 대해서 좀 물어볼께요 ^^ [5] Carpe Diem2235 08/10/24 2235
43978 주식 지수에 대해 질문들입니다 [4] 헤르젠1669 08/10/24 1669
43977 시각 장애인 사법고시 2차 pass와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9] 노려니2123 08/10/24 2123
43976 Zgjpbqt.exe - 응용프로그램의 오류=>?? [4] 잠자코1942 08/10/24 1942
43975 진로 상담입니다. [4] WestSide1963 08/10/24 1963
43974 팝송 다운 받는 사이트 혹 p2p [2] WestSide4787 08/10/24 4787
43973 진학(진로) 상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6] KaKaRuYo1540 08/10/24 1540
43971 착각인지 아닌지.. 어떻게 판단하세요? [21] 오월3281 08/10/24 3281
43970 만화책 좀 질문할께요.. [4] 릴리러쉬2170 08/10/24 2170
43969 유무선 공유기 관련 질문입니다. [4] LegNa.schwaRz1678 08/10/24 1678
43968 선형대수학에 관련되서 여쭤봅니다. [2] H.B.K1672 08/10/24 1672
43967 대전 사시는 분 알려주세요. [3] 토스사랑1826 08/10/24 1826
43966 내일 엑스트라하게 됬습니다. [3] worcs2128 08/10/24 2128
43965 외국에선 벤츠를 벤츠로 안 부르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10] Blitz3433 08/10/24 3433
43964 DHC 남성화장품 써보신분 있나요? [5] 포셀라나2361 08/10/24 2361
43963 강남역 근처에서 할로윈소품 살만한 곳 있나요? ㅇㅇ/2147 08/10/24 2147
43962 세계 경제가 이렇게 갑자기 흔들리게 된 원인이 뭔가요? [8] 화이트데이1977 08/10/24 1977
43961 유학 vs 국내 대학원 진학 [3] KPD1745 08/10/23 1745
43960 사기 사건을 검찰로 송치했다고 문자가 왔습니다. [2] abrasax_:Respect7991 08/10/23 7991
43959 자전거 추천부탁 드립니다 [6] 바포메트1645 08/10/23 1645
43957 엘르걸 본사가 큰가요? [2] Memory2375 08/10/23 2375
43956 엘튼존과 빌리조엘 노래좀 추천해주세요 [9] 라르쿠2835 08/10/23 2835
43954 적립식 펀드 어떻할까요..? [6] 탄야1739 08/10/23 17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