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23 22:59:28
Name 어느새아재
Link #1 https://m.youtube.com/watch?v=D3f6Khlqx3M
Subject [일반] 민주당 초등학교 모두 세시 하교 검토? (수정됨)
https://m.youtube.com/watch?v=D3f6Khlqx3M

영상이 잘 나오려나 모르겠습니다만
민주당이 초등학교 전학년 하교 시간을 일괄 세시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네요.

저같은 경우 얘들이 어릴땐 어린이집에서 대부분 3시나 4시까지 보육을 해주었습니다.
그 뒤에 태권도 학원이랑 연결하면 집에 오는 시간이
대충 5시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초등학교를 들어가면 12시 반이면 끝나고 집에오니
좀 당혹스러웠습니다. 부부가 일을 해야해서 결국 태권도와 피아노 키움센터로. 애를 메뚜기 만들 수밖에 없었는데요
민주당이 진짜 정책 진행하면 그 스케쥴이 또 바뀌어야겠습니다. 학원 개수는 줄일 수 있겠네요. 매일 다른 시간표 때문에 헷갈리는 일도 줄고요.

그런데 이거 충분히 검토하고 하는걸까요? 특별한 이슈나 예고도 없이 갑자기 던지는 정책은 아니겠죠?

초등교사분들과 학교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됐으면 좋겠습니다.  특정 직업군과 정부의 갈등이 너무 자주 일어나는거 같은데 초등교사도 교직원도 그 갈등의 한 축이 되지 않았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5/04/23 23:12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06579?sid=100
[단독 - 민주당 “초등학생 모두 3시 하교” 검토] 2025.04.23. (채널A)
<민주당 정책위 관계자>
"돌봄교실이 아닌 오후 3시까지 모두가 정규 수업이나 예체능 수업을 하는 안을 검토 중"
이재명 민주당 경선 후보는 지난 대선 초등학교 오후 3시 하교제를 공약으로 발표

https://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8462
[이재명, “초등 오후 3시 하교–지역사회 수업 분담 '누구나 교사' "] 2022.01.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861142?sid=102
["사교육 1조 3,000억 절감" 내세웠던 늘봄학교···초1 사교육비 되레 늘었다] 2025.04.23.
교육부, 자체 평가에서 "늘봄학교 목표 초과 달성"
하지만 지난해 초1 사교육비는 전년 대비 12% ↑
전문가 "자녀 적은 부모, 비용 부담보다 질이 중요"
교육부 "효과 평가 일러…돌봄 대기자는 사라져"

지난 대선 공약이기도 했으니 아무생각없이 하는 뜬금포 소리는 아니라고 봐야할테고,
그리고 이미 늘봄학교도 시행중이라 2022년보단 공약 이행에 수월한면은 있지만 교사 확충 없인 반발이 나올수밖에 없겠죠.
지구 최후의 밤
25/04/24 07:57
수정 아이콘
현재 초등학교 학생수가 예전에 비해 많이 줄고 또 줄 예정이니 인력의 여유는 어느 정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파프리카
25/04/24 20:56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학생수가 줄면 그만큼 학교에서 티오감으로 교사를 내보내야 되고(+교사도 안뽑음) 결국 남은 교사들의 업무가 더 가중됩니다..
빼사스
25/04/24 09:57
수정 아이콘
지금 초등학교 학생수가 엄청나게 빠르게 줄고 있어요. 서울인데 옆에 학교는 1학년이 꼴랑 2개반이에요. 교사가 남아도는 현상이 상당할 거 같은데 그 인력 쓸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25/04/24 10:41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정작 글쓴 본인은 제대로 검토 안하고 쓴거네요.
25/04/23 23:42
수정 아이콘
학교에 더 오래 남아있어야 하는 초딩들이 과연 행복할지 모르겠네요
시린비
25/04/23 23:44
수정 아이콘
제가 초딩땐 어땠는지 모르겠네요 점심때 집에가진 않았던거같은데 특별히 불행했던거 같진 않고
오라메디알보칠
25/04/24 00:07
수정 아이콘
애초에 민주당은 이런 얘기를 공식 정책으로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 그냥 여기저기서 오만가지 제안이 들어오고 있다고 할 뿐이고 공식 공약을 기다려달라고 하죠.
25/04/24 00:39
수정 아이콘
요즘 초1초2 집에 혼자두는 부모 별로 없을거라 찬성합니다. 매일매일 학원 방과후 돌봄 스케쥴 달라서 아이가 힘들어하는데 3시하교면 훨씬 단순화되겠네요.
25/04/24 01:18
수정 아이콘
현직 맞벌이 부모 입장에서는 좋은거 아닌가요?
그리고 아이하나 키울려해도 한쪽이 아주 특출나게 잘난거 아니면 맞벌이가 디폴트인 시대에
하늘하늘
25/04/24 01:18
수정 아이콘
민주당은 지금 야당이에요. 민주당이 저 정책을 시행한다고 해도 먼저 다음어서 공약 만들고
대선 승리해야하며 승리후 내각 짜고 공약 우선순위 정하고
집권후 많아진 정보와 비교해 그 정책이 합당한지 따져도 봐야하고
공청회를 거쳐 입법인지 시행령인지 모르겠지만 거기까지 가려면 엄청 오래 걸릴겁니다.

어디까지나 추측이지만 혹시나 이재명이 대통령이 된다면 이재명의 행정 스타일상 누구처럼 번갯불에 콩궈먹는 식이나
어떤 분에게 점지를 받거나 사주를 받아서 마구 해내는 식이 아니라
토론하고 공부하고 절차 지키는 방식으로 하기때문에 '졸속' 걱정은 안해도 될겁니다.
조랑말
25/04/24 10:04
수정 아이콘
'일산대교' 당시 누구의 번갯불 콩 굽기식 행정 스타일로 대단히 힘들었던 기억이 있어 '졸속' 걱정이 듭니다 (공무원은 아니고 민간입니다).

지금은 대선 국면이고 싱크탱크도 더 보강되었으니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늘하늘
25/04/24 11:43
수정 아이콘
일산대교 정책의 어떤 점이 번갯불 콩 굽기식인지 또 민간으로서 어떻게 힘들었다는 건지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조랑말
25/04/24 13:10
수정 아이콘
제가 당시 했던 업무는 특정될 수 있으니 생략하겠습니다.
일산대교 관련하여 타임라인을 정확히 찾아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9월 : 민자사업자 관리운영권 박탈 발표
10월 : 박탈, 일산대교 무료화 (민자사업자는 경기도 상대 소송)
11월 : 민자사업자 승소. 다시 일산대교 유료화

2개월 동안 벌어진 일이고 하늘하늘님께서 이 일련의 사태에 대해 '2개월이면 충분히 토론하고 공부하고 절차 지키는 방식이라 졸속이 아니다. 실무자들 입장에서 2개월이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했을텐데 뭐가 힘든지 모르겠다' 라고 생각하신다면 그 이유를 반대로 말씀해주셔야 할거 같습니다.
하늘하늘
25/04/24 15:02
수정 아이콘
전 실무자도 아니고 그냥 언론이나 인터뷰를 보고 판단하는 입장이라 제가 아는 범위 안에서 쓴 댓글이고
님의 댓글을 보고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나 궁금해서 질문한겁니다.

말씀하신 '2개월이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했을텐데 뭐가 힘든지 모르겠다' 라는 말에는 대답드릴 수가 없고 단지 어떤점이 힘든건지 알고 싶을 따름입니다.

그리고 일산대교 추진과정에 대해서는 현 경기도지사인 김동연의 인터뷰가 있었습니다.
“이 도로는 통행량이 아주 많다. 경기도민 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며 “전임 지사는 도의회와 기초자치단체와 협의를 다 거쳤다. 전문가 의견을 무시하지 않았다”

제가 원 댓글에서 말씀드린 취지는 일산대교 무료화를 추진할때 9월 발표에 앞서 충분한 토론과 공부등 절차를 지켰을 것이다 라는 것입니다.
위의 김동연지사의 발언을 볼때 그냥 졸속으로 발표부터 하는 식은 아니었다고 판단되네요.
조랑말
25/04/24 15:51
수정 아이콘
발표에 앞서 충분한 토론과 공부 등 절차를 지켰는데 결국 3심까지 가서 법적 근거가 없다고 패소한거면 실력이 부족하다는 말씀이실까요?
가테갓겜59분전
25/04/24 02:41
수정 아이콘
응원하는 정책이 되겠네요... 맞벌이 해보신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초등학교 1학년이 진짜 난이도 헬입니다. 나이는 1살 더 먹었는데 집에 4시간 빨리 들어오네?
에어컨
25/04/24 07:55
수정 아이콘
부모가 되어보니 반길만한 변화같은데, 저 초딩 때 생각해보면.. 4교시 끝나고 하교가 너무좋았는데ㅜ 집에와서 게임하면 딱이었는데
시무룩
25/04/24 08:39
수정 아이콘
어차피 하교하면 또 학원 가고 어디 가고 뭐 가고 뺑뺑이 도는데 차라리 학교에 있는게 낫겠지 싶다가도
모든 학생들이 서울 학생들처럼 살지는 않을텐데 다른곳은 사정이 어떤지도 궁금하네요
raindraw
25/04/24 09:07
수정 아이콘
이건 사람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릴 이야기네요.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모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철판닭갈비
25/04/24 09:39
수정 아이콘
근데 뭔 민주당은 정책검토단계에서도 미시적으로 까이네요
확정된 이후에 논의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한화우승조국통일
25/04/24 09:42
수정 아이콘
다른 구성원들(특히 교사들) 입장에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일단 1, 2학년 부모 입장에서는 반가운 일이긴 하네요.
학교 들어가면서 제일 막막했던 게 저 부분이라서...
Pelicans
25/04/24 09:48
수정 아이콘
해당 정책에 불호는 어떤 계층인가요? 업무 시간이 늘어나는 선생님, 시장이 줄어드는걸 걱정하는 사교육 종사자 정도 말고는 언뜻생각이 안나는데 호/불호가 나뉘는 정책이라는 평이 많네요
덴드로븀
25/04/24 09:56
수정 아이콘
[학생 : 아 집에 가고 싶다 & 학원 가고 싶다]
Pelicans
25/04/24 11:07
수정 아이콘
하긴 저희 막냉이도 늦게 끝난다고 싫어하더라구요 크크크
조랑말
25/04/24 10:05
수정 아이콘
그냥 민주당이 싫으면 비토표 던지는거죠. 좋은 정책이라고 봅니다.
국힘이 오후 3시 하교시간 통일정책 발표했으면 불호 50% 넘기지 않을까 싶습니다.
Pelicans
25/04/24 11:10
수정 아이콘
돈 주는것도 좋은데 이런 보육관련 서포트가 더 많아져야 출산율 반등에 도움이 될거 같기는 합니다
조랑말
25/04/24 13:11
수정 아이콘
넵 저도 이 정책에 대단히 찬성합니다.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25/04/24 10:12
수정 아이콘
초등학생 줄어드는 속도보면 업무가 그렇게 늘어날지 모르겠고 의대보내고 싶어서 선행 뺑뺑이 돌리고 싶은 학부모들 정도만 불만이겠죠. 초 1,2 애들이야 교우관계가 거의 같은 반 친구들 수준일텐데 별 생각 없을테고. 초 저학년 때 지금보다 사교육 노출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정책 같습니다.
Pelicans
25/04/24 11:08
수정 아이콘
저희야 외벌이라 걱정은 좀 덜했지만 그럼에도 1학년때 애들 일찍 오는걸 엄청 힘들어하더라구요
No.99 AaronJudge
25/04/24 18:21
수정 아이콘
학생이요.
근데 표가 없네요 ㅜ
Pelicans
25/04/24 23:48
수정 아이콘
저희 막냉이도 4학년되고 2시 집온다고 슬퍼하는데 3시면 울거 같아요 크크크
수메르인
25/04/24 10:59
수정 아이콘
아이들은 좀 더 고통스럽겠죠.
지구돌기
25/04/24 11:51
수정 아이콘
근데 초등 1,2학년 아이들이 3시까지 수업하는 걸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수업은 [교육]이지 [보육]이 아니라서요.
포도씨
25/04/24 20:24
수정 아이콘
유치원 어린이집도 4시하원인데요. 5~7세는 보육이 아니라 교육입니다. 수업시간표도 있어요.
25/04/24 11:58
수정 아이콘
정규교육이면 반대.교육시간을 그렇게 해둔 이유가 있을텐데 교육 외의 이유로 늘려선 안 됩니다.
말그대로 보육이면 고민할만 하겠네요.
25/04/24 12:17
수정 아이콘
지금도 저희딸은 학교에서 2~4시까지 있습니다.
늘봄, 돌봄으로 방송댄스, 미술,영어

부담이 좀 줄라나
25/04/24 13:08
수정 아이콘
사실 하교 후에 사교육으로 보육을 맡기고 있으니... 이 부분을 공교육에서 커버 해준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The Greatest Hits
25/04/24 14:03
수정 아이콘
보육이 문제라면 늘봄이 엄청나게 들어와서 그 부분은 해결이 이미 상당부분 해결이 되었고
교육이 문제인데 이건 부작용이 매우 큽니다.

1. 선행을 이미 많이 한 자녀 : 학교교육은 난이도가 너무 낮기때문에 많아봤자 의미가 없음
2. 보편적인 1학년 자녀 : 하루에 여섯시간 이상을 공부하는 것은 공부양이 너무 많아서 힘듬

교사에게 부담이 과중된다는 것 이외에도 교육적으로 찬반 여론이 세게 걸리는 추진과제입니다.
25/04/24 14:28
수정 아이콘
유게글에서 언급 한번했지만
사촌이 조카를 꽤 프리하게 키우는데 유일하게 재택으로 돌리고 같이 하교한게 초1~3입니다.
이 시기 학부모들은 좋아하지 않을까 싶네요.
교육을할지 보육을할지는 디테일을 챙기면 되는거고요
25/04/24 16:26
수정 아이콘
일찍 하교하는걸 늦게하는걸로 바꾼다는거 같은데
아이 입장에서는 이점이 없지 않나요. 쉬고 싶을 수도 있고 사교육으로 공부를 더 할수도 있는건데
그냥 학교에 묶여있게되니;;
No.99 AaronJudge
25/04/24 18: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엥….?
애 입장에서는 싫을텐데……

특히나 초6이면 몰라도 초1이면 3시까지 공부하는건 힘들어요….10년 전에 저 어렸을때만 생각해봐도 당장 1시에 오면 티비 보다가 퍼질러 잤는데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업시간을 너무 길게 안 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과 수업시간을 달리 하는 교육학적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불호에요.
25/04/24 18:35
수정 아이콘
10여년 전이면 적어도 중학생이실텐데 초 1~2는 애기에요.

현직 초2 아빠 엊그제 학교수업 참관하고 왔습니다. 초 저학년 수업은 그냥 놀이입니다. 학습은 거의 없어요. 그리고 1시에 집에 와서 아무도 없이 엄마 아빠 퇴근할 때까지 혼자두는게 아이에게 좋은건지 모르겠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어차피 부모 퇴근 전까지 방과후 돌봄 학원 뺑뺑이입니다. 그럴바엔 안전한 학교에 조금이라도 더 있는게 좋고요. 초 고학년은 되어야 혼자 알아서 놀지 초 저는 그게 안돼요.
No.99 AaronJudge
25/04/24 19: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10년전이라 잘 못 썼는데
10여년 전이면 초1이 맞긴 해요…
음 그리고 제 경험을 토대로 쓴 거라 당연히 이걸 모두에게 적용하긴 어렵겠지만(그럴 수도 없고) 저는 그냥 혼자 책 보고 TV 보고 하면서 그럭저럭 살았던 기억이 있어서…부모님이 너무 늦게 퇴근하는거 아니면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어차피 10시에 퇴근하시는 분들이면 3시에 하교하는것도 너무 이르다 소리 들을 것 같기도 해요..
25/04/24 23:51
수정 아이콘
라때는 아이들이 많아서 초등학... 아니 국민학교때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눠졌고 실제로 맞벌이 하는 부모님의 자식인경우 오후반이 많았던걸로 기억합니다.(초등학교 저학년 기준)
약간 주제에 벗어난 댓글달고 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1691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1302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5409
6540 [일반] 오늘의 베스트 샷 [39] Restar2534 25/04/25 2534
6539 [일반] [4/24 NBS] 이재명 45~46%, 김문수*홍준표 25~26%, 이준석 7~9% [32] 철판닭갈비2380 25/04/25 2380
6538 [일반] 한덕수 30일 권한대행직 전격사임 유력(보도) [45] 감모여재3118 25/04/25 3118
6537 [일반] 오늘자 동물농장 전광훈 기자회견장 풍경 입니다. [18] Croove4180 25/04/24 4180
6536 [일반] 검찰, 문재인 전 대통령 2억여원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 [70] Davi4ever8041 25/04/24 8041
6535 [일반] 민주당 초등학교 모두 세시 하교 검토? [45] 어느새아재4645 25/04/23 4645
6534 [일반] 2025년 현재 언론의 힘이 뭐 얼마나 절대적인가요? [78] 럭키비키잖앙4281 25/04/23 4281
6533 [일반] 양향자, 한동훈 지지 선언 / 허은아, 개혁신당 탈당 및 대선출마 선언 [9] Davi4ever3304 25/04/23 3304
6532 [일반] 이재명, 조갑제·정규재와 21일 저녁식사 가져 [12] Davi4ever3157 25/04/23 3157
6531 [일반] 요즈음 뉴스 모음 [22] Croove3536 25/04/23 3536
6530 [일반] 국민의힘 2차 경선 진출자들이 가려졌습니다. [49] a-ha6485 25/04/22 6485
6529 [일반] 정의당 경선 룰이 좀 골때립니다 [23] 버들소리3718 25/04/22 3718
6528 [일반] 홍준표 후보, 경선 토론회 백브리핑 영상 [23] 빼사스3804 25/04/22 3804
6527 [일반] 尹 "계엄은 법적 수단 불과…칼 썼다고 무조건 살인 아냐" [35] 덴드로븀5004 25/04/21 5004
6526 [일반] 한덕수 권항대행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 [24] a-ha4008 25/04/21 4008
6525 [일반] 갈수록 태산. 많이 봤던 것 같은 트럼프 행정부 상황 [19] 군령술사3762 25/04/21 3762
6524 [일반] 이재명이 당선되면 서울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67] 8figures6185 25/04/20 6185
6523 [일반] 국민의힘 1차경선 토론회 영상 [31] Croove5199 25/04/20 5199
6522 [일반] 국민의힘 비상!!! - 전광훈 목사 출마 선언. [56] 강동원6720 25/04/19 6720
6521 [일반] MBC 100분토론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자 토론회 [13] Croove4232 25/04/19 42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