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10/12 12:35:59
Name 기찻길
Link #1 https://www.peoplepowerparty.kr/news/comment_view/BBSDD0001/98472
Subject [정치]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에 대한 한국 정치권 입장 (수정됨)
https://www.peoplepowerparty.kr/news/comment_view/BBSDD0001/9847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태, 평화와 번영은 가짜 쇼와 굴종이 아닌 확고한 안보, 철저한 대비를 통해서만 이뤄낼 수 있다.
국민의 힘 논평
https://www.mofa.go.kr/www/brd/m_4078/view.do?seq=368579&page=1
https://www.mofa.go.kr/www/brd/m_26079/view.do?seq=432
외교부,대통령실 입장


https://www.justice21.org/newhome/board/board_view.html?num=160593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증오와 폭력의 악순환, 한반도에서 결코 재연돼서는 안 된다
정의당 논평


지금 팔레스타인 사태에 대한 입장을 낸 정당이 원내,원외정당 다찾아도 지금기준 이것밖에 없어서 두개의 논평을 가지고 얘기를 할텐데
국힘,외교부,대통령실의 발언을 보면 하마스의 만행을 규탄을 하고 힘에의한 평화를 강조를 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지지는 서구권과 다르게  아랍국가들간의 외교관련으로 안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사우디 관련 사업떄문이기도 합니다만  한국정부 외교역사보면 핵심지역들 외에는 비즈니스 적인 입장이고 박정희,전두환떄도 팔레스타인 독립지지 외교를 한 역사가 있습니다.

반대로 정의당 논평을 보면 힘만의 평화는 악순환의 굴례이고 한반도 평화에도 적용해야한다고 있고 하마스의 만행을 규탄을 하나 근본적인 이유는 이스라엘도 책임을 면하기 힘들것이라고 논평을 했습니다.


평화를 어떻게 유지를 하냐에는 진보하고 보수가 갈리는 상황이긴한데 입장이 다르니 여기까지하고 한반도문제 얘기 따로해보자면 대통령 후보 도전자인  트럼프 싱크탱크 쪽에서 김정은을 끌어들기 위해선 한국 핵무장도 거론되는 떡밥이 나왔는데 지금돌아가는거 보면 한반도 문제도 다른지역에 비해 위험이 덜하지만 남의 일은 아닙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77763&plink=NEWLIST&cooper=SBSNEWSSPECIAL]

트럼프 측 "한국 핵 무장 카드로 김정은 끌어낼 수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10/12 12:40
수정 아이콘
그냥 '평화를 되찾기 바란다' 수준의 원론적인 얘기만 했으면....
23/10/12 12:49
수정 아이콘
굳이 벌집 건드릴 이유도 없고 중동의 평화를 바란다 정도면 된다고 봅니다.
저기는 이해관계자들이 답이없숴요
아이군
23/10/12 12:51
수정 아이콘
음…. 이스라엘이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힘에의한 평화’의 실패 사례….
돔페리뇽
23/10/12 13:56
수정 아이콘
힘에 의한 평화는 실패일지 몰라도
이스라엘은 힘이 없다면 진작 지도에서 사라지지 않았을까요...
아이군
23/10/12 14:15
수정 아이콘
국방력은 당연히 키워야죠.
파프리카
23/10/12 12:56
수정 아이콘
극우 강경정책을 펼치던 네타냐후 정권의 초기 대응실패를 우리나라에서도 곱씹어 볼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류지나
23/10/12 13:00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이 '힘에 의한 평화'의 실패 사례인지는 좀... 물론 지금 사태는 실패지만 이스라엘 건국 자체는 전형적인 힘에 의한 평화 성공 사례죠. 4차에 걸친 중동전쟁에서 졌으면 이스라엘 그 자체가 소멸했을테니.
아이군
23/10/12 13:14
수정 아이콘
힘에 의한 평화는 사실 국방력 보다는 대내외정책에 대해서 설명할 때 쓰입니다. 대표적으로 지금 정권이 힘에 의한 평화를 외치지만 국방력에 신경을 쓰냐면.....

이스라엘은 대표적으로 힘에의한 평화의 실패 사례로 평가됩니다. 대외적으로(특히 팔레스타인에) 강경하게 나가면 나갈수록 외교적으로 적을 늘리고 아군을 줄이고 있죠........
유목민
23/10/12 13:16
수정 아이콘
힘에 의한 평화라기보다는
힘에 의한 높은 긴장의 균형이죠. 냉전과 마찬가지의.
물밑에서는 서로간의 거주지 습격, 납치. 암살. 테러...
young026
23/10/15 19:28
수정 아이콘
80~90년대와 지금을 비교해 보면 됩니다.
유목민
23/10/12 13:01
수정 아이콘
평화를 기원한다 수준의 원론적 입장에서 한걸음도 나가지 말고

입 닥치고 가만히 있는게 최선이에요..

역사적 맥락으로나 국익적 면에서나
저 동네는 진짜 니편 내편 구분도 잘 안되는 진짜 아사리판이기도 하고

인도적 문제 학살 도덕성 테러 등등을 주제로 이야기해도 이스라엘이나 팔레스타인이나 누가더 낫다 못하다 수준을 말하기 민망한 50보 100보 수준이고.
종교적 극단주의 면으로 봐도 아프카니스탄 탈레반이나 IS와 수준차이 안납니다.
ioi(아이오아이)
23/10/12 13:07
수정 아이콘
전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에서도 평화를 기원한다 수준에서 한걸음도 나가지 말았어야 한다는 입장인데

우리나라 정부는 대놓고 많이 지원해준 쪽이라서 지금은 다시 그런 행동 안했으면 좋겠네요.
카페알파
23/10/12 13:07
수정 아이콘
뭐, 그냥 저 정도면 그냥 무난하게 세계 여론에 묻어가는 형식으로 이야기한 것 같은데요? 저기서 한 발짝 더 나가면 곤란해질 수도 있겠지만요.
생강차
23/10/12 13:28
수정 아이콘
우라 나라만 기름 값 오르는 것 아닌지 걱정되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3/10/12 13:33
수정 아이콘
전쟁부터 시작인 외교는 없습니다.
콘칩콘치즈
23/10/12 13:34
수정 아이콘
묘하게 논평에 주어가 없는게 외교적 수사다 싶네요.
다용도테이프
23/10/12 13:38
수정 아이콘
수뇌부가 군미필에 병사 사기만 떨구는데 뭔..
덴드로븀
23/10/12 14:14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99349?sid=100
[신원식 “9·19합의 효력 정지 추진”… 합참 “하마스식 北 기습 대비”] 2023.10.11.
빼사스
23/10/12 14:49
수정 아이콘
힘 어쩌고 저쩌고하면서 현재 군대를 전혀 제대로 준비하고 있지 않은 게 현 정부죠. 아니 인구 구조가 빠르게 바뀔 예정이면 지금부터 욕을 먹더라도 모병제든 여성 추가 징병이든 국방세든 뭐든 군불을 지펴야죠. 힘 어쩌고 저쩌고를 말할 자격도 없어요.
티오 플라토
23/10/12 16:16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그럴 듯한 말로 때우면서 "봤지? 우리 보수 안보 확실하지?" 하고 생색만 내고는 일 안하고 지나가기 스킬
다람쥐룰루
23/10/12 15:08
수정 아이콘
이스라엘이 그동안 칼부림했던 주변국들과 관계정상화를 할 수 있을까요? 저는 가망없다고 봅니다.
전면전을 해서 이길수야 있겠지만 딱 거기까지죠
No.99 AaronJudge
23/10/13 02:58
수정 아이콘
원론적 입장 내놓고 가만히 있어야죠
저긴 너무 어지러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525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3163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7144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3049 4
105037 [일반] 강릉보다 더 심각한 가뭄 사태를 국가단위로 겪고 있는 나라가 지금 있습니다 [19] 독서상품권2735 25/09/22 2735 1
105036 [일반] [풀스포]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 "사연의 칼날" [12] Farce2766 25/09/21 2766 7
105035 [일반] 중세 최악의 용병단을 알아보자 [4] 식별3645 25/09/21 3645 17
105034 [정치] 의미 없는 발의가 너무 많은 국회 [83] 짭뇨띠9851 25/09/21 9851 0
105033 [일반] 협박,모욕죄 합의 해줄려했는데 상대편이 얼렁뚱땅 넘어갈려하네요. [32] 그때가언제라도8943 25/09/21 8943 4
105032 [일반] 특별한 경험 [9] Tiny Kitten3903 25/09/21 3903 15
105031 [일반] 꿩 먹고 알 먹고를 제대로 누린 오늘 [12] 광개토태왕7325 25/09/20 7325 10
105030 [일반] 베르세르크 '매의 단' 실제 모티브를 알아보자 [5] 식별6799 25/09/20 6799 31
105029 [정치] 소득 상위 10%는 빼고 주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448] 정대만13723 25/09/20 13723 0
105028 [일반] <모노노케 히메> - 그래서, (혹은 그래도) '살아라.' (스포) [25] aDayInTheLife3098 25/09/20 3098 1
105026 [정치] 점점 망해가는 보수, 살 길은 있는가? [186] 짭뇨띠9893 25/09/20 9893 0
105025 [일반] 2군은 괴로워(일본 프로야구 토크쇼) [6] 無欲則剛3906 25/09/20 3906 11
105024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3] 푸끆이4532 25/09/20 4532 12
105023 [일반] 아이가 태어나고 6개월... [24] 서리버5366 25/09/20 5366 43
105022 [일반] 2014~2024년까지 10년간의 9월말 코스피 데이터를 알아봅시다 [11] 렌야4587 25/09/19 4587 2
105021 [정치] 중국 정권변동설 글에 대한 애프터서비스 [31] 如是我聞6711 25/09/19 6711 0
105020 [일반] MBTI, 제2의 혈액형 성격론일까? [189] Quantumwk6226 25/09/19 6226 15
105019 [일반] 괴로움과 후회,무기력에서 벗어나기 [32] 방구차야5692 25/09/19 5692 13
105018 [정치] 캄보디아 범죄 조직 납치 생환 뒷이야기 [55] 如是我聞10359 25/09/19 1035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