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9/13 00:25
리치티 비스킷이 식감이 부드러워서 밀크티와의 궁합이 다이제스티브보다 한 급 위라고 보는데, 정식 수입이 안되서 문제입니다.
환율때문에 오리지널 다이제스티브 가격이 올라간 게 복구가 안되는 것도 아쉽고
+ 25/09/13 00:26
요새는 귀찮아서 안 하고 사먹고 말지만, 전에 만들어 먹을 때는 홍차에다 우유를 탔던 것 같습니다. 단백질 변성은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 어차피 홍차를 탈 때 우유를 데우기 때문에 다시 홍차에 들어간다고 단백질 변성이 있을 것 같지는 않아서요. "실험" 에 관해서는 제 생각을 우겨보자면(?) 아무리 정교하게 했어도 가정에서 쓰는 찻잔이나 조리 기구로 정확하게 동일한 양이 들어갔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무슨 이야기냐면 타려는 액체가 아무래도 식기에 남는 것이 있어 좀 적게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어서요. 예를 들어 우유를 홍차에 부었다고 하면 우유가 완전히 부어지지 않고 컵에 묻는 것이 있어 반대의 경우보다 아무래도 덜 섞이지 않았을까 싶네요.
처음 밀크티를 탔을 때 밀크티에는 (제가 먹을 줄 몰라서 그런지 모르지만) 설탕이 필수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설탕을 안 넣고 우유와 홍차를 섞으니 맛이 너무 이상했고, 혹시나 해서 설탕을 타 보니 제가 알던 밀크티 맛이 나더군요. 제가 홍차를 이것저것 많이 마셔본 것은 아니지만, 특히 얼 그레이는 화장품 냄새가 나는 것 같아 못 마시겠던데, 묘하게 밀크티로 만들면 향이 희석이 되는 건지, 우유랑 섞여서 그런 건지, 상당히 좋은 맛을 느끼게 해 주더군요. 밀크티 중에는 얼 그레이로 만든 밀크티를 제일 좋아합니다.
+ 25/09/13 00:50
재밌게도 맛이 실제로 다르다는 게 일반적인 대중들의 의견?이기도 합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 맛이 비슷할 수도 있죠.
왕립화학회의 의견에 대해 한 물리학자는 [화학자들이 항상 하는 건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하면서 그냥 홍차를 좀 식히고 우유를 넣으면 되지 않냐는 얘기를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밀크티에 설탕은 굉장히 흔한 조합입니다. 애초부터 홍차와 설탕이 꽤 잘 어울리고 홍차를 많이 마시는 국가들은 홍차에 설탕을 상당히 넣어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튀르키예) 저도 처음에는 밀크티에 설탕을 많이 넣었는데 그래도 이제는 건강을 생각해서;; 그냥 마시고 있습니다. 얼 그레이 밀크티도 주류는 아니지만 선호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베르가못 향이 독특한 풍미를 내줘서 저도 가끔 마시는 조합입니다.
+ 25/09/13 00:52
(수정됨) 홍차의 권장 추출 온도는 90~100도의 끓는 물에서 4~5분인데 이 온도에 우유를 놔두면 우유를 펄펄 끓이는 것과 별 차이가 없어지거든요.
영국에서는 그냥 추출을 마치고 찬 우유를 그대로 붓는 게 일반적입니다. 1. 물을 끓인다. 2. 펄펄 끓는 물을 티백이 있는 찻잔에 붓는다. (조금 관심 있는 사람들은 끓는 물이 직접 찻잎에 안 닿게 함.) 3. 추출이 끝나면 냉장고에서 우유를 꺼내 적당히 붓는다 (*우유의 양은 취향대로.) 4. 마신다. 이게 실제 브리티쉬 밀크티의 일반적인 음용 방식입니다.
+ 25/09/13 00:56
어...... 찬 우유를 붓는 거였나요? 저는 우유를 좀 데워서 넣었었는데...... 찬 우유라면 우유에 홍차를 타는 거랑 홍차에 우유를 타는 거랑 맛이 정말 다를 수도 있겠는데요?
+ 25/09/13 00:58
데워서 넣어도 전혀 상관 없습니다 흐흐. 데워서 넣는 걸 더 좋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고요.
근데 영국에서는 거의 찬 우유를 그냥 넣습니다. 이건 그냥 취향 차이라 어느 쪽이 맞다는 건 없습니다.
+ 25/09/13 01:00
감사합니다 되지 않는 발상이었네요
밀크티의 추구미는 어떤 것인지 여쭤도 될까요? 저는 아아를 정신을 깨우는 카페인 맛으로서 벤티에 샷 추가를 추구하는 사람이라서인지 밀크티의 맛은 무언가 오묘하게 안맞는 느낌인데요 한 나라 사람들이 즐겨마시는 음료라면 공감대가 형성될만한 추구미가 있을거 같은데 잘 모르겠어서요
+ 25/09/13 01:05
일단 영국의 경우 그냥 나라의 풍습 비슷한 거라서... 비슷한 예로 튀르키예도 있습니다.
튀르키예나 영국 같이 차를 엄청 많이 마시는 나라는 그냥 사람끼리 만나면 차를 마시는 게 일반적입니다. 두 나라 다 손님이 오면 가장 먼저 끓이는 게 차라고 할 정도로 차가 대중화됐고, 하루에 4~5잔을 마시는 사람도 많을 정도로 그냥 차 자체가 문화가 된 경우입니다. 튀르키예나 영국 같은 나라에서는 그리고 차를 엄청 강하게 만듭니다. 먹어보면 아 쓰다 싶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튀르키예는 설탕을 많이 넣거나 바클라바같은 엄청 단 디저트랑 같이 먹구요. 영국은 우유를 넣고 비스킷/토스트 등이랑 같이 먹죠. 실제로 홍차 한 잔의 카페인은 추출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60~90mg까지 들어갈 수 있다고 압니다. 근데 문제는 이걸 하루에 4~5잔씩 마시니까 (물론 이브닝 티 같은 경우는 연한 차를 씁니다.) 카페인 섭취량이 꽤 되죠. 실제로 아침의 아아처럼 영국에서는 잉글리시 브랙퍼스트 (=아침 차) 처럼 강한 차로 정신을 차리고 하루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압니다.
+ 25/09/13 00:55
(수정됨) 해 본적이 없어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우려지는 양상이 일반 홍차 우려내는 거랑 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무래도 아무 것도 들어있지 않은 맹물에서 우려내는 거랑 이것저것 잔뜩 들어있는 우유에서 우려내는 건 좀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어디까지나 추측입니다. 실제로는 같을 수도 있죠.)
+ 25/09/13 01:33
순서에 따라 맛이 다를것 같긴 해요.
라떼도 우유, 에스프레소 넣는 순서에 따라 맛이 다르거든요. 티 스푼으로 사정없이 저으면 비슷해지겠지만 그건 뭔가 좀...
+ 25/09/13 02:07
예전에는 유단백 변성 때문에 우유를 먼저 넣는게 맞지 않나? 라고 생각했던 때도 있었는데요, 지금은 홍차가 먼저입니다.
홍차에 우유를 천천히 부을 때 정말 아름다운 색이 나오거든요. 그걸 포기할 수가 없더라구요.
+ 25/09/13 02:12
영국의 워릭 대학의 학회에 갔을때 티타임이 매우 인상깊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홍차와 달콤한 쿠키와 매우 잘 어울린다는걸 처음으로 깨달은 곳이기도 합니다.
밀크티도.. 시럽으로 티가 달콤해진 것보다 쿠키가 달달함과 티의 쓴맛이 어우러지는게 훨씬 나았던거 같아요. 지금도 어딜가나 홍차를 찾게됩니다만 국내에서는 대부분 홍차는 구비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아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