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5/03/24 20:41:43
Name Cliffhanger
Subject [일반] 인간이 만든 인공 생명체
인간이 만든 인공생명체

C. elegans



바로 이것..

Caenorhabditis elegans라는 건 이렇게 생긴 벌레로, 선형동물이다. 한국어로는 예쁜꼬마선충.
자기네 나라 말로 된 이름이 별로 없는 동물인데 특이하게 한국어로는 있다.

익숙하지 않겠지만 우리에게 좀더 익숙한 선형동물로는 기생충인 편충이 있음.

(연가시는 '유선형동물'이라는 다른 문에 들어있다)

여튼 이녀석은 흙 속에서 미생물을 먹고 사는, 몸길이가 1밀리 정도에 두께가 0.1밀리쯤 되는 세포수 1000개 가량의 벌레다. 색은 투명해서 눈에는 잘보이지 않는다.
화단 속의 흙에 넣으면 잘 번식하고 사는데, 의외로 자연 내에서의 생태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얘가 중요한 이유가 뭐냐면...




인류가 모든 뉴런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는 첫 동물이자, 현재까지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뉴런이 몇 개 있고, 어떤 뉴런이 어디에 있는지, 다른 어떤 뉴런들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감각기 및 근육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이런 뉴런의 연결성 정보 그 자체를 '커넥텀(Connectome)'이라고 함.





이것은 두 가지의 영향인데,

첫째로, 뉴런 숫자가 아주 적다. 자웅동체와 수컷 두 가지 성별이 있는데, 자웅동체 기준 302개의 뉴런을 갖고 있다고 함.(참고로 수컷은 383개) 뉴런을 연구하는 데 사용하는 또다른 모델동물인 군소(aplysia)는 20000개의 뉴런을 가졌는데 엄청 큰 차이가 있음.



(위 사진은 군소 중 한 종의 모습. 군소가 신경연구에 많이 쓰이는 이유는 단일 뉴런이 엄청 크기 때문이다.)


둘째로는, 이 뉴런의 연결성 전부를 1986년에 John Graham White라는 훌륭한 과학자가 모조리 전자현미경으로 찍어냈기 때문임. 이게 왜 굉장하냐면,



벌레 한마리를 이렇게 단면으로 얇은 포를 떠서(다시 말하지만 얘 길이는 1mm, 두께는 0.1mm다),




모든 뉴런이 어떤 강도로 어떻게 연결됐는지 전부 알아냈다
이걸 30년 전, 86년도에 해냈다

(상상만해도 엄청난 노가다다... 하다가 손 삐끗하면 다시 해야 하는..)

어쨋든 이 자료들을 우린 오랫동안 손에 쥐고 있었다.
하지만 다음 영상이 완성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음





위 영상은 실제의 이 벌레가 OP50이라는 대장균종(이녀석의 통상적인 먹이)이
깔린 배지 위에서 헤엄쳐다니는 모습이다. 뭐 이건 중요한 게 아님



바로 이것. 이것이 뭐냐면.



벌레의 뉴런과 근육, 감각기관을 이런 식으로 프로그램화한 뒤 얕은 물속에 담가둔 모습임.

벌레가 모든 신경과 그 신경의 연결정보를 다 가진 채로 컴퓨터 안에 살아있는 것임.
진짜로 살아있는 생물이라 보면된다


이것으로 별로 감흥이 오지 않는다면, 좀더 감명깊은 영상이 아래에 있다.



감각신경은 '입력'을 받고, 여러 뉴런들을 거쳐 운동신경에 도착하면 그게 근육 역할을 하는 모터쪽으로 '출력'을 내보낸다.

이런 간단한 구조의 프로그램에 단순히 각 뉴런들의 연결정보와 연결강도를 넣고, 그걸 로봇에다가 탑재해서 그저 전원을 켯을뿐이다. 근육 대신 모터가, 감각기 대신 소나 기반의 센서가 달려있을 뿐임.

벽을 만나서 돌아나오는 것이 보이지만 사람이 의도를 갖고 집어넣은 어떤 알고리즘도 없다. 이 로봇에는 단 하나, 이 벌레의 뉴런 연결정보만 들어가 있음.

1분 30초부터는 지금 모든 뉴런들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녹색으로 불이 들어오면 그 뉴런이 지금 활동중이란 거고, 녹색이 짙고 입력란의 숫자가 클수록 그 뉴런이 강력하게 자극받는 중이라는 거. 처음 감각기가 자극을 받으면 여기저기 뉴런들이 바쁘게 활성화되는 모습을 볼수있음.

각각 뉴런이 받고 주는 신호에는 어떤 의미도 없다. 그저 받아서, 받은 강도에 따라 다음 뉴런들에 전달하는 것임. 하지만 그게 모여서 의미를 만들어낸다.
'앞에 장애물이 있으니 돌아가라.'

사람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할 때는 결국 기계어로 번역되건 말건 애초에 알고리즘 자체를 사람이 만든 것이고, 사람이 만들었으니 사람이 보기에 해석할 수 있는 구조를 지녔음. 하지만 이건 아니다.

그러니까 이건 인공지능이 아니다. 그냥 세상에 존재하는 지능을 그대로 컴퓨터 속에 넣은 것임. 단순히 신경이 어떻게 연결되었는가, 오로지 그 정보만을 넣었는데 저렇게 장애물을 회피하고 꾸물거리며 전진하는 것임(!)

이것이 불과 작년의 일이다.





만일, 302개의 뉴런을 가진 벌레가 아니라 30억 2천만 개의 뉴런을 이렇게 시뮬레이션했다면(사람 피질이 100억개쯤), 어쩌면 이동을 멈추고 스피커를 켜서 이런 음성을 내보낼지도 모른다.

"주인님, 제게도 영혼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만든 사람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물론"




출처: http://wjdrkdxhlekd.blog.me/220275325703

자고 일어나니 자게로 왔네요;; 단순 펌글임을 밝힙니다.




* 더스번 칼파랑님에 의해서 유머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5-03-26 08:52)
* 관리사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3/24 20:45
수정 아이콘
오 신선한 지식이네요. 이런거 좋아요 크크
Shandris
15/03/24 20:45
수정 아이콘
결론 : 오늘도 어느 대학의 조교들은 302개를 30억 2천만개로 만들기 위해 노가다를 하고 있다...?
닭장군
15/03/24 20:47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해서 물속에 담궜다는 부분은, 뭘 어떻게 했다는건지 자세한 내용이 있어야 할 것 같네요. 3D로 구현해서 물 파티클에 들어있는 모습을 재현해 본건지, 진짜로 로봇을 만들고 겉에 피부 비스므리한걸 씌워서 진짜 물속에 넣어둔걸 특수영상으로 찍었다는건지 알 수가 없네요.
Cliffhanger
15/03/24 21:31
수정 아이콘
제 소견으론 물 파티클에 들어있는 모습을 재현한 것 같습니다..
15/03/24 20:48
수정 아이콘
https://www.pgr21.com/pb/pb.php?id=freedom&no=57102&page=2
자게에 OrBef님이 올려주신 글의 얘쁜이 부분 상세버전이군요!
15/03/24 20:5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사실상 g건담이군요. 저 로봇은.
Rorschach
15/03/24 20:56
수정 아이콘
제가 "30억 2천만 개의 뉴런을 가진 로봇"을 만들었는데 그녀석이
"주인님, 제게도 영혼이 있습니까?"
라고 묻는다면,
"나에게 영혼이 있다면 너에게도 당연히 영혼이 있는 것이고, 너에게 영혼이 없는거라면 나에게도 영혼은 없는거겠지."
라고 대답할 것 같아요.
15/03/24 21:08
수정 아이콘
로봇이 잠시 생각하다가 다시 물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대답해주시기 바랍니다.'
Rorschach
15/03/24 21:1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그래 미안하다. 라고 하면서 조용히 전원을...
하야로비
15/03/24 21:42
수정 아이콘
동작그만. 전원끄기냐?
15/03/24 23:09
수정 아이콘
툭.

전원이 꺼졌습니다.
원추리
15/03/24 20:57
수정 아이콘
엑스 마키나 생각나네요
Holy shit !
15/03/24 20:58
수정 아이콘
로봇 청소기에 이식하면 일 참 잘하겠다 싶은 생각이 크크크.....
15/03/24 21:20
수정 아이콘
머리카락을 빨아들이는데..
좋은하루되세요
15/03/24 21:01
수정 아이콘
예쁜꼬마선충은 그럼 총 뉴럼 갯수가 정해져있는건가요??
Interview
15/03/24 21:27
수정 아이콘
몇 년 된 지식이라 확실하지는 않은데, 항상 같다고 알고 있습니다. 뉴런 뿐만 아니라 다른 뭐도 숫자가 항상 같고 그래서 생명연구의 중요한 아이라고 교수님이 열변을 토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수정) 찾아보니 아예 세포수가 항상 같다고 하네요. 성장과정에서 삭제하는 세포들의 수도 항상 같다고 합니다.
히라사와 유이
15/03/24 21:04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본 채피가 떠오르네요;;
눈뜬세르피코
15/03/24 21:05
수정 아이콘
우화...감명깊게 읽었습니다.
냉면과열무
15/03/24 21:17
수정 아이콘
자게로... 가야 할 글 아닌가요?

정말 잘 읽었습니다.
15/03/24 21:25
수정 아이콘
분명히 내가 읽은것은 한글인대 멍해지는건 왜떄문이죠 ㅠ.ㅠ
누가 쉽게설명좀 해주세요
15/03/24 21:26
수정 아이콘
이게 그러니까 신경다발로 된 생명체(?)를 만들었더니 알아서 반응을 한다 머 그런건가요?
먹고 싸고 종족번식 이런건 없이 계속 존재 하는것인가요?
Interview
15/03/24 21:41
수정 아이콘
예쁜꼬마선충이라는 작은 벌레가 있습니다. 이 벌레는 뉴론이라는 세포를 302개 가지고 있지요. 뉴론은 신경세포로서 뇌와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는 바로 그 세포입니다. 외부로부터 자극을 받아서 처리하고, 처리한 정보를 바탕으로 반응합니다. 뜨거울 것을 만지면 뜨겁다고 느끼고(감각) - 내가 뜨거운 것을 만졌다, 이건 위험하니까 빨리 손을 떼라고 생각하고 - 손을 뗍니다(반응). 이 일련의 과정을 하는 세포입니다. 이 세포들은 각각 맡고 있는 역할들이 나누어져 있어서 (위의 예시를 이용하자면 뜨겁다고 느끼는 세포와 생각하는 세포, 손을 떼게 만드는 세포가 다릅니다) 서로서로 연결이 되어있어야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교수님께서 예쁜꼬마선충의 302개 되는 뉴론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를 알아내셨습니다. 그리고 후대의 과학자가 컴퓨터를 이용해서 302개의 뉴론들의 연결상태를 로봇에 입력한겁니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인간의 언어 - 프로그래밍 - 을 기반으로 반응합니다. 이를테면 로봇에게 센서가 딱딱한 것에 닿으면 뒤로돌아!라는 명령을 먼저 해놓습니다. 그러면 로봇은 돌아다니다가 센서에 딱딱한 것이 닿으면 이 명령을 기억해내고 명령대로 뒤로 돕니다. 하지만 예쁜꼬마선충의 뉴론이 들어있는 로봇에는 이렇게 사전에 입력된 명령이 없습니다. 이 로봇에게는 뉴론의 연결상태만 들어있으므로 원래는 전원을 켜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로봇은 움직입니다! 아무 것도 명령하지 않았는데 입력장치의 신호들이 뉴런들의 연결상태를 따라 가면서 가공되어 움직이고, 벽을 만나면 피하는 행동을 하는 거죠.
이 로봇은 예쁜꼬마선충을 기반으로 만들었지만 인간의 뉴런 연결상태를 모두 알게된다면 마찬가지로 인간의 뉴런 연결상태를 로봇에 입력할 수도 있을 겁니다. 뇌와 신경계 모두를 기계에 이식하는 셈이죠. 그렇게 탄생한 로봇은 예쁜꼬마선충을 기반으로 만든 로봇이 예쁜꼬마선충이 하는 것과 같은 일을 하듯이 인간과 같은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입니다. 그 로봇이 '자신이 인간이냐?'고 물을 때 우리는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질문에만 대답을 드리자면
생명체 안의 신경다발들이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 컴퓨터에 입력하니까 생명체와 같은 반응을 보였습니다.
본체는 컴퓨터이니 종족번식이 없어도 관리만 잘 하면 계속 존재합니다.
15/03/24 22:57
수정 아이콘
고마워요, 인터뷰 왜건!
15/03/25 04:39
수정 아이콘
설명 감사 합니다 ^^
어려운 내용이라 직관적으로 이해는 잘안가지만 외워야죠 모르면 크
유리나비
15/03/25 11:56
수정 아이콘
고맙습니다. 훨씬 이해가 잘 되네요. 예쁜꼬마선충 이름이 너무 귀여워요. 벌써 친근한 느낌이 듭니다.
레이드
15/03/24 21:34
수정 아이콘
흥미롭네요. 잘 봤습니다.
ComeAgain
15/03/24 21:38
수정 아이콘
종족 번식 기능만 넣으면 확실히 생명체라고 해도 되겠네요.
미메시스
15/03/24 21:38
수정 아이콘
덜덜덜.. 글 보고 소름돋은거 오랜만이네요
15/03/24 21:41
수정 아이콘
저는 아니지만...예전 실험실에서 이 선충을 가지고 실험을 했었습니다. ^^
감회가 새롭네요..흐흐..
스타카토
15/03/24 21:46
수정 아이콘
자...자게로!!!!!!!
추천드리고 싶어서 그래요!!!!!!
아...펌글이네요...그래도....드리고 싶네요....
15/03/24 21:48
수정 아이콘
두대를 만들었더니 한대가 자꾸 충돌을 일으켰다. 지속적고 반복적이며 절실한 충돌이었다. 이것은 오류가 아니었지만, 와야할 피드백은 오지 않았다.
로봇도 울고 나도 울었다.
15/03/25 00:56
수정 아이콘
Two robots collided, repeatedly. Nothing happens.
그렇구만
15/03/24 21:50
수정 아이콘
인공생명체라는건 C. elegans이 아니라 저 로봇을 의미하는거죠??
Interview
15/03/24 21:51
수정 아이콘
네, 그렇습니다.
스테비아
15/03/24 21:51
수정 아이콘
자게 가야 할 것 같네요 흐흐 잘 읽었습니다~!
15/03/24 22:04
수정 아이콘
자게로! 추천
닭이아니라독수리
15/03/24 22:24
수정 아이콘
저 로봇이 하나의 생명체로서 움직이는 거라고 생각하니 어쩐지 좀 무섭네요
어리버리
15/03/24 22:32
수정 아이콘
퍼온 글이 아니시라면 무조건 자게로!!!
유게에 있을만한 글이 아니네요.
Cliffhanger
15/03/24 22:37
수정 아이콘
통째로 퍼온 글입니다..크크
15/03/24 22:34
수정 아이콘
와. 짱 재미있네요. 예전 인공지능으로 그네 타는 영상을 본게 몇 년 전인데 이제는 인간이 만든 인공지능이 아니라 정말 지능을 갖춘 프로그램이 등장하겠네요!
후메참
15/03/24 22:34
수정 아이콘
오늘도 하루종일 요놈 보고 왔는데 피지알 유머글로 보니 또 새롭네요 크크
혜정은준아빠
15/03/24 22:45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 중 일부분은 자연 현상을 모델링해서 기계로 구동하는 것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구현한 software module을 쓰는 것과 위 분석한 뉴런을 쓰는 쓰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감이 잘 안오네요.
오큘러스
15/03/24 22:51
수정 아이콘
사람이 만들었다면 목적에 따라 이런 신호가 들어오면 이렇게 처리해라 연산과정이 있을텐데
쟤는 그냥 함수에 input 이 들어오면 output 할 뿐인 함수들로 이루어진것 같네요. 별다른 정보 없는 그냥 '신호' 자체만을 주고받는. 신호의 magnitude 정도는 있는것같고...
단지 그 연결관계만으로 하나의 목적을 자동적으로 달성한다는게 신기하군요

굳이 로봇 동작을 프로그래밍 수도코드로 이야기해보자면

function(input) :
if input < 특정값 : Action = 전진
else if input > 특정값 : Action = 방향전환
return Action

이런식으로 제어를 할텐데

function(신호):
return 신호

이런식의 아무일도 안하는 함수 302개 정도를 이리저리 짜맞추면 몇몇 Action 을 리턴하는 함수들이 자동으로 위와같이 적절하게 전진/방향전환을 하는 기능을 한다는건데 원리가 궁금하긴 하네요
Steve Jobs
15/03/24 23:24
수정 아이콘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이라는 종류의 분야가 있기는 합니다.
이러한 뉴런들의 움직임을 모방하여 만든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써, 30년도 더 된 학문인데, 다시 요즈음 각광받고 있지요.
(더 많은 뉴런을 효율적으로 훈련 시키는 방법이 등장하였습니다. - Deep Neural Network or Deeplearning)

이 방법의 특징은
위에서 적어주신 pseudo code 에서 특정값(threshold)을 보통 임의로 지정해 주기 마련인데,
알아서 해당 threshold를 알아서 자동으로 학습한다는 점에 있고, (Back-propagation, Gradient Descent로 검색 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XOR과 같은 Non-linear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학습 및 문제해결이 가능하다는 매우 특출난 장점이 있습니다.
우체국에서 쓰이는 주소 필기 인식 부터, 자동차 번호판 인식 등의 간단한 문자 인식 부터, 음성 인식, 이미지 인식 등 정말 많은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어요.

덧붙이자면,, 302개보다 훨씬 적은 숫자로도 똑같은 동작은 구현 가능 할 것입니다. 아마 302개 정도면 엄청나게 많은 정보량을 저장할 수가 있기 때문에... 아마도 실제로 저 생물체도 302개의 뉴런으로 센서들로부터 들어오는 input 값을 이용하여 훨씬 더 많은 생존에 필요한 행동들을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글 정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저희 팀원들에게도 보여줘야겠어요...
오큘러스
15/03/24 23:41
수정 아이콘
NN과는 차이가 있지요. 어쨌거나 머신러닝은 설계부터 학습까지 목적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퍼셉트론으로 단순한 regression 을 하던 reinforcement learning 을 하던 사람이 작동원리를 예측하고 설계한다는 데에는 다름없습니다. threshold 를 자체적으로 학습해 나간다고 해도 그 목적자체가 이미 인간의 설계 범주 안에 들어있습니다.
위 사례는 단지 망의 연결에 불과하죠. 목적이 없습니다.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해서 어떤 문제를 해결하겠다, 가 아니라, 망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겁니다. 그런데도 자연스럽게 생존에 필요한 목적을 달성하고 있으니 신기한 일이 되겠죠.
Steve Jobs
15/03/25 00:46
수정 아이콘
말씀의 의도 잘 이해했습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현재 우리가 시스템에 응용하는 신경망은 뉴런의 갯수등을 개발자가 임의로 지정하여주고, 그 값을 훈련시킵니다.

예전에 처음에 인공지능학문 및 신경망이 등장하였을 때에 문제 해결 보다는 그 자체 쪽으로 학계가 관심을 가졌던 적이 있었고 (인간의 지능을 구현 해 보자!), 한계가 드러나면서 그 열기가 사그라들며, 단순히 NN(및 기타 통계적 방법)을 특정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지요(인간의 부분적인 지능을 흉내내자!). 하지만 요 근래에 다시 Deeplearning 광풍이 불면서 망 자체의 의미에 대한 연구가 꿈틀거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word embedding 같이 훈련에 대한 부수적인(?) 결과물로써 단어에 대한 semantic한 정보를 망 내부에서 얻어낸다던지... - 말씀대로 신기합니다.

또한 위의 사례에서도 목적이 없다기보다는, (아마도 저 생물체들이 뉴런을 학습 시키지는 못할 것 같고) 생존 및 자신의 유전자 전달이라는 명확한 목적 아래, 주어진 뉴런의 구성에 따라서 그 목적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 하였을 테고, 따라서 긴 시간이 지나서 나름의 최적화 된 뉴런의 연결이 구성되지 않았을까요? 다만 워낙 input과 output의 갯수가 적어 뉴런 또한 적었겠지요....

그러고 보면, 나중에 수억년의 진화를 모방할 정도로 프로세서가 정말정말정말 빨라지고 메모리가 정말정말정말 커진다면 복잡한 문제 해결에 있어서 지금의 수학적인 back-propagation 방식보다는 저러한 진화 방식이 더 훈련이 잘 되지 않을런지... 다만 지금 적용하기엔 안그래도 느린데 더 느려질 뿐이겠지요.
Interview
15/03/25 01:03
수정 아이콘
인간 뇌에서 예를 하나 들자면 A라는 신경세포는 b와 c에게 신호를 전달합니다. B는 우리가 하려는 최종 행동을 +방향으로 이끌고 c는 b를 억제해서 -방향으로 이끕니다. 그럼 a가 이 둘을 동시에 자극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놀랍게도 초기에는 b로 신호가 전달되어 +방향으로 진행되어 목적했던 행동을 이룹니다. 반면 후기에는 c로 신호가 전달되어 -방향으로 진행되고 실행하던 행동이 멈춥니다. 이 b와 c로 자극이 진행되는 시간 상의 딜레이는 어떤 연산의 결과가 아닌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합니다. A와 b의 연결이 a와 c의 연결보다 더 빠르게 신호를 전달하는거죠. 아주 미시적인 피드백들이 쌓여서 하나의 행동을 이루게 됩니다.
그럼 특정 자극의 반응은 어떻게 일어날까요? 사람의 뇌에는 같은 종류의 뉴론이 여러개 존재합니다. 따라서 자극의 종류에 따라 활성화되는 뉴론의 수가 차이가 있습니다. 일상적인 자극이 5개의 뉴론을 흥분시킨다고 가정하면 이 때 뉴론들은 위 문단의 메커니즘을 통해 행동을 지시합니다. 반면 비일상적인 자극은 더 많거나 적은 뉴론들을 활성화시킵니다. 더 많은 뉴론들, 10개의 a뉴론이 활성화되면 이 뉴론들은 b와 함께 c에게도 자극을 전달합니다. 놀라운 점은 하나의 뉴론이 하나의 뉴론에게서만 자극을 전달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c뉴론은 평소와 달리 더 많은 a뉴론에게서 자극을 받게 되어 평소보다 빨리 활성화됩니다. 따라서 미처 행동이 실행되기 전에 억제되어 행동이 일어나지 않게됩니다.
말하자면 뉴론들은 구조적/화학적으로(음성 피드백과 양성 피드백은 뉴론이 다음 뉴론에게 전해주는 화학물질에 따라 결정됩니다) 신호를 가공합니다. 완전히 빈 함수라고 볼 수 없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한 시간차와 피드백이 행동을 결정합니다. 물론 오큘러스님이 지적하신대로 그 모든 과정이 목적이나 의도없이 이루어졌다는데서 생명은 아름다운 것같습니다.
15/03/24 22:49
수정 아이콘
와 정말 놀랍네요.

정말 재밌게 읽었습니다~
15/03/24 22:57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친구가 그룹채팅방에 올려서 봤는데 흥미롭더라고요. 생각할거리도 주는 것 같고...
WeakandPowerless
15/03/24 23:20
수정 아이콘
쩌...쩝니다. 자게로!
15/03/24 23:27
수정 아이콘
와.... 너무 경이롭네요. 인간은 정말 신의 영역으로 들어가는군요 덜덜...
이런 사실을 여태까지 왜 몰랐을까요... ㅠㅠ 정말 말이 안나오네요...
영화 드라마도 아니고 과학기술 때문에 이 정도 감명을 받은건 머리털나고 처음입니다. 인간이 어디까지가나 궁금해서라도 이 악물고 오래 살아봐야겠네요 ㅡㅡ;
덧붙여 출처로 달아두신 블로그 읽을거리 굉장히 많네요. 감사합니다 흐흐
10년째학부생
15/03/24 23:59
수정 아이콘
언젠간 영화 13층이 현실이 되겠네요
15/03/25 00:01
수정 아이콘
그냥A.I랑 다른 점은 A.I는 인간이 의도적으로 상황들을 생각해서 프로그래밍한것인데 비해 저건 그냥 구현만 해놨는데 자기도 모르게 그냥 다닌다는거죠?
15/03/25 00:06
수정 아이콘
링이었나? 일본 공포소설 보면 3부에 사람을 스캔해서 이런식으로 컴퓨터 안으로 들어가는게 나옵니다.
물론 본체는 사라지고요 그게 생각나네요
데오늬
15/03/25 00:44
수정 아이콘
대... 대박...
15/03/25 00:48
수정 아이콘
추천버튼 왜없나요
15/03/25 01:28
수정 아이콘
생명공학, 인공지능의 성배를 쥔 느낌이군요 덜덜
히히멘붕이넷
15/03/25 01:45
수정 아이콘
만일, 302개의 뉴런을 가진 벌레가 아니라 30억 2천만 개의 뉴런을 이렇게 시뮬레이션했다면 쟤가 우릴 주인님으로 부르기나 할까요? 크크크 완전 어린아이와 같은 상태로 시작하는 거라서 우리가 학습시킬 수 있다면 그럴수도 있겠네요.
15/03/25 01:58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틀을 만들고 거기에 명령어를 입히고 스위치를 키는 것 = 우리가 생각하는 ai

프로그램틀만 만들고 스위치를 켰더니 자기가 알아서 명령어를 생산해 자기가 알아서 움직이는 것 = 저것
王天君
15/03/25 02:00
수정 아이콘
픽션 속에서 매번 인공지능이나 무기질 육체를 가진 생명체를 보고서도 딱히 감흥을 받은 적이 없었는데 이 게시물의 벌레와 그 벌레의 시스템을 탑재한 로봇은 진짜 뭔가 경이롭네요. 무섭기도 합니다. 더불어 인공생명체에 대한 개념도 더 명확하게 되는 것 같구요. 속으로는 맨날 로봇 생명체의 자의성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햇는데, 시스템만 옮겨놓으면 알아서 움직일테니 제 생각이 일종의 오해였다는 것도 알게 되고....

그러니까 저 뉴런의 알고리즘을 점점 확대시키면 어떤 생물이든지 다른 육체로 재현할 수 있다는 거잖아요. 일종의 영생에도 도전이 되고.
살아 생전에 데이빗 같은 인조인간을 보게 될 것 같습니다.
아케르나르
15/03/26 12:15
수정 아이콘
저도 말씀하신 두번째 문단같은 생각을 해봤는데요... 뭐 본문에도 좀 나오기는 했지만, 인간의 뉴런 전부를 그대로 기계에 옮기면 원본이 된 사람의 클론이 되는 거겠죠? 주인님 어쩌구 물어보진 않을 거 같아요. 그렇다면 대상이 된 인간의 기억도 그대로 옮겨지는 걸까요? 그런 거면 기계 속에서 영생이 가능할 지도 모르겠네요.
15/03/26 12:58
수정 아이콘
뉴런을 그대로 구현해 옮길 뿐이니 기억까지 전달되지는 않지 않나요?
"기계속에서 활동하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행동하는 영생의 인간을 창조"하는 것에 가까울 것 같은데..
아케르나르
15/03/26 13:27
수정 아이콘
제가 잘못 이해하는지는 몰라도 기억이라는 게 뉴런 간의 연결 방식? 연결 숫자? 그런 것에 좌우되지 않던가요? 본문은 단순히 뉴런을 구현한 게 아니고 뉴런 간의 신호 강약이나 연결관계 등을 구현한 거 같은데, 그렇다면 인간의 기억도 저런 식으로 옮겨지는 게 가능할 거 같아서요.
15/03/25 02:52
수정 아이콘
미래에 인간 정보를 고스란히 로봇에 주입시킬 날이 온다면 로봇도 인권이 있다고 할 수 있겠군요.
선경유치원
15/03/25 09:30
수정 아이콘
문과생인데 소름 돋았습니다.
인간이 생명과 영혼의 비밀에 다가가고 있는 걸까요.
이에 대한 인간의 지식이 귀납에서 연역으로 되는 순간이 두렵고 기대됩니다.
15/03/25 10:07
수정 아이콘
경이롭네요. 이 원리 대로면 인조인간도 시간문제라는건가요.
로우킥황제
15/03/25 11:19
수정 아이콘
소오름;;;
HOTS언제나와요
15/03/25 13:03
수정 아이콘
추천을 못하다니..
15/03/25 13:39
수정 아이콘
302개의 뉴런과 3.02*10^9 개의 뉴런은 단순히 connectome 만으로 비교해 보면, 10^7의 차이가 아닌, 10^14의 어마어마한 경우의 수 차이가 납니다.
이러한 connectome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상에서 구현하는 것도 당분간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 뿐더러, 본문의 동영상에 나온 것 같은 물리적 기계적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은 더더욱 요원해 보이네요. 다만, 일단 302개의 뉴런에서 테스트가 되니까, 정보처리용량과 속도만 뒷받침이 되면 계속 그 한계를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은 보여 주네요. 실제 인간의 뉴런 connectome을 전부 파악하고, 그것을 그대로 virtual space나 mechanical system (electronic brain)으로 이식할 수 있다면, 말그대로 인간은 영생을 얻게 되겠네요.
15/03/26 08:56
수정 아이콘
여러분 이제 추천이 가능합니다.
15/03/26 08:58
수정 아이콘
크크크.... 10분 전에 자게 들렸을 때는 없는 글이었는데, 갑자기 나타난 글에 댓글이 68개나 달려 있어서 진짜 놀랐습니다.
대체 어떤 건이길래 아침 출근시간에 10분만에 댓글이 엄청나게 달릴 정도로 파이어난 건가! 하고요.
마이클조던
15/03/26 09:02
수정 아이콘
정말 신기하네요. 뭔가 공상과학영화에서 보는 것들이 현실로 다가오는것 같아서 경이롭지만 영화에서 그려지는 부정적인 미래까지 현실이 될것같아 두렵기까지 합니다.
yangjyess
15/03/26 09:35
수정 아이콘
전 사실 [그 두려운 미래]가 이미 현실이 된게 바로 지금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이미 본 게시물에서 가정한 '시뮬레이션된 뉴런'일지도 모른다고.
후후훗
15/03/26 09:10
수정 아이콘
잘봤습니다! 이런글엔 추천을
15/03/26 09:24
수정 아이콘
저도 맨 처음에 이글 보고 정말 충격과 공포!! 에 빠졌었습니다. 첫번째는 예쁜 꼬마선충이 이렇게 연구가 많이 되었었다니 후덜덜.... 이었고 두번째는 다들 공감하신 것처럼 기계로 구현한 것... 이죠. 정말 생명과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등등.. 수많은 자돌이, 공돌이들이 저기에 갈아넣어졌을꺼라 생각하니 눈물이 흙흙..

그럼에도 '뇌'를 구현화시키려면 갈길이 멀구나..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은단순한 신경의 연결 을 넘어서서 외부의 자극과 세월의 흐름에 따른 뇌의 dynamics(역동성..이라고 하면 맞으려나요) 를 구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겁니다. 끊임없이 생성되고 사라지는 신경!간의!연결!고리! 를 어떻게
기계적으로 분석하고 구현하고.. 그 연결의 경우의 수는 단순한 신경간의 1대1 매치를 뛰어넘기 때문에...

생각만 해도 끔찍하네요.

어쨌든 뇌는 참 놀라운 기관입니다...
yangjyess
15/03/26 09:32
수정 아이콘
결국 자게로 왔군요. 정말 재미있게 읽었고 추천도 찍었는데, 단순 펌글도 내용이 좋으면 자게에 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ArcanumToss
15/03/26 09:34
수정 아이콘
허... 그렇다면 이거 A라는 실제 인간의 뉴런다발을 몽땅 스캔하고 그 세부 정보를 컴에 입력하고 시각, 후각, 청각, 미각, 촉각 센서를 달고 근육 역할을 해 주는 모터나 인공 근육같은 것들을 달면 복제인간로봇이 되겠군요!!!
마술사얀
15/03/26 09:47
수정 아이콘
음. 관련 전공자이긴 한데. 본문에서 나오는 creator 가 Artificial Life(A.I. 말고요) 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얼핏 기본적인 rule 만 제공하고 무한 자유를 줬을때 나름 합리적인 운동행태를 보이는 BOID 기법 등은 이미 영화 같은데 많이 적용이
되었습니다. 이를테면, 10년전 영화인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나오는 수십만의 중공군, 반지의 제왕에서 나오는 대규모 오크의 움직임은
사람이 일일히 조작해서 모델링한게 아니라 전진, 회피 등의 가장 단순한 목적만 입력하여 자유도를 줘서 아주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들어냈던 사례가 되구요.

위에 신경망 말씀하신 분이 계셔서 간단히 첨언하면. 신경망도 진화연산과 hybrid 되어 연구된지는 꽤 됐습니다. 즉 back-propagation 기법이
아니라 역치 정보를 진화연산으로 improve 하는 방법은 이제 꽤 고전이 되었고. 서울대 장병탁 교수가 제안한 hyper network(이름이
정확히 기억 아나네요) 는 해외에서도 꽤 유명한 신경망 모델로 알고 있습니다. 신경망을 Artificial life 에 적용하는 시도는 게임쪽에서
활발한데. 신경망을 포함한 인공지능 자체가 원래 최적의 해를 찾기 보다는 적당한 해를 찾는데 최적화 되어 있는 학문이라
실생활보단 정확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관대한 엔터테인먼트쪽(게임, 영화) 등에 적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15/03/26 10:52
수정 아이콘
유게에서 보고 강한 인상을 받았었는데, 자게로 왔군요.
만약 신이나 외계인이 인간을 만들었다면 저런 공정으로 만들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간이 물었다.
"신이시여 정말 제게 영혼이 있습니까?"
"물론"
자신과 닮은 피조물을 만든 신이 그렇게 대답했다.
15/03/26 10:56
수정 아이콘
이것을 시작으로 여러 유토피아나 디스토피아가 실현될 수 있겠군요..

자연생식된 인류가 상위계층이 되고, 반항 기능이 빠진 생산인류가 노예계층이 된다든지,
완벽하게 귀여운 반려동물을 무한 생산한다든지,
살인 거머리를 무한 증식해서 전쟁에 사용한다든지..

아 이미 다 상상 가능한 것이었을려나 ;;;
세츠나
15/03/26 11:24
수정 아이콘
아이작 아시모프 소설에 자주 나오는 '양자뇌'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네요. 그 옛날에 그런 설정을 어떻게 만들었지...
소드 아트 온라인에 나온 '플럭트라이트'하고 여기 나온 '커넥텀'을 합쳐보면 대충 양자뇌 같은게 나오지 않을지...
기호0번광팔이
15/03/26 12:08
수정 아이콘
이걸 보면 어쩌면
일단 현재의 인류를 포함한 지구생명체는
이현세만화 아마겟돈대로 더 고도의 사위능력을 가진 지적생명체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진걸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그위의 상위생명체는 또 어떻게 존재하는가란 물음으로 가면
결국 인간을 넘어서는 신이라는 불궁불측한 존재로 넘어가겠지만
어찌됬건 인간이 조건과 재료만 구비되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낼수도 있다는 애기랑 일맥상통하니
인류가 만든 수많은 생명체중
수십억년후의 미래우주 어느 지구와 비슷한 별의 지적생명체가
다시 비슷한 주제로 고민하는 무한반복패턴이 있지 않을까
shadowtaki
15/03/26 12:17
수정 아이콘
유게에서 봤을 때 감탄했던 글이었는데 자게로 왔네요.
302개의 신경에 대한 관계성을 모두 파악해서 컴퓨터에 입력해 활동하게 했다는 것도 정말 놀라웠는데 그 다음이 정말 궁금해지더라구요.
거기에 더해서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생명체의 연결성에 약간을 조작을 가하면 어떻게 움직일까 하는 호기심도 생기구요. 마치 키메라에 대한 궁금증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로우킥황제
15/03/26 12:36
수정 아이콘
헛.. 일간베스트 게시글이네요
누구도날막지모텔
15/03/26 13:34
수정 아이콘
일베가 정치와 상관없는 정보류 글은 기가막히게 잘써요...
감마스터
15/03/26 13:59
수정 아이콘
인간의 뇌가 입력과 연산 그리고 출력으로 이뤄지는 함수라고 한다면, 그 안에 자유의지라던가 영혼 같은 것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저 복잡한 컴퓨터와 다를 것이 없는 것이라고요. 다만 아직 현대 과학으로는 내부 기작을 모두 밝혀내지 못했으므로 그 안 어딘가에 보이지 않는 영혼이 스며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했었습니다만. 이제 그런 작은 불확실성에 대한 믿음이 거의 남지 않게 됐네요.
잡학사전
15/03/26 14:23
수정 아이콘
원작자가 요즘 말많은 일x 유저군요..
흠.. 그쪽애서 활동하는 유저가 정리해서 쓴 글이라 그런지 뭔가 좋게 보이진 않네요..
Cliffhanger
15/03/26 14:58
수정 아이콘
사실 원작자가 해당 블로그 유저인지 확실히는 모르겠어요. 팟캐스트에서 언급되어서 이곳저곳 퍼진 자료인데 출처를 따라따라 가보니 이 블로그가 나오더군요. 원작자가 맞는 것 같긴한데 확실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15/03/26 15:28
수정 아이콘
블로그에도 젤 밑에 출처가 있네요.
잡학사전
15/03/26 18:11
수정 아이콘
출처:크림파이(ilbe)라고 써있네요
출처가 출처인만큼 자료에대한 신뢰도 떨어지네요
스타트
15/03/26 14:45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저 John이라는 남자는 section의 장인이라는 소리죠? 제 샘플들좀...
15/03/26 15:07
수정 아이콘
30억 2천만개의 뉴런을 입력하고 turn on했는데, 첨에는 울기만 하다가.. 그 다음 엄마 아빠하고.. 14년쯤 데리고 있는니 본인 존재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고.. 전원 끄고 reset한 이후 미국에서 전원켜니, 마마 파파 하고.. 상상만해도 짜릿하네요 흐흐
키네시오
15/03/26 17:47
수정 아이콘
창발성의 예인가요.. 신박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26697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37248 10
공지 [일반] [필독]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51] OrBef 16/05/03 459100 28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32599 3
102294 [일반] 헤즈볼라에 납품된 무선호출기를 공급한 헝가리 회사는 유령회사 [53] DownTeamisDown5937 24/09/19 5937 2
102293 [일반] 미국음반산업협회(RIAA)집계 기준 천만장 이상 팔린 하드락&메탈 앨범 [14] 요하네즈2967 24/09/19 2967 0
102292 [정치] 인스타그램 10대 청소년 계정 비공개 전환.. 한국 내년 적용 전망 [138] 전기쥐8734 24/09/19 8734 0
102291 [일반] <베테랑2> - 기묘한 계승, 아쉬운 변화.(노스포) [14] aDayInTheLife3803 24/09/19 3803 3
102290 [일반] [스포] '장손들의 연대' 영화 '장손' [5] 빼사스4679 24/09/18 4679 5
102289 [일반] 약스포) 베테랑2 후기 [15] 라이징패스트볼4247 24/09/18 4247 0
102288 [일반] 겨울의 불꽃놀이. 여름의 귤. 타고난 기질. 거참귀찮네2605 24/09/18 2605 1
102287 [일반] 인생 참 여러가지 있네요 [30] 흰둥7180 24/09/18 7180 2
102286 [일반] 레바논에서 헤즈볼라 대원 소유 삐삐 수백대 동시 폭발. 최소 9명 사망 [114] 매번같은10597 24/09/18 10597 0
102285 [일반]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 [13] 항정살4135 24/09/17 4135 24
102284 [일반] 베테랑2 보고 (스포 다량) [60] PENTAX6787 24/09/17 6787 7
102283 [일반] 소리로 찾아가는 한자 33. 납 신(申)에서 파생된 한자들 [15] 계층방정3263 24/09/17 3263 3
102282 [일반] [팝송] 그레이시 에이브럼스 새 앨범 "The Secret of Us" 김치찌개2844 24/09/17 2844 0
102281 [일반] 진짜 좋은 공연 방송인 KBS 대기획 - 딴따라 JYP [20] 시나브로8692 24/09/17 8692 6
102280 [일반] 개인적인 올해 최고의 컨텐츠 <KFN 역전다방 한국전쟁편> [14] Darkmental5761 24/09/16 5761 4
102279 [일반] 모아보는 개신교 소식 [13] SAS Tony Parker 5070 24/09/16 5070 0
102278 [일반] [서평]《최고의 선택을 위한 최고의 질문》 - 섬김의 필수 덕목, 질문 [6] 계층방정2505 24/09/16 2505 0
102277 [일반] 하늘이 참 맑은 나날입니다. [12] 及時雨3247 24/09/16 3247 7
102276 [일반] [팝송] 그리프 새 앨범 "Vertigo" 김치찌개1834 24/09/16 183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