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26 10:35:11
Name immune
Subject [질문] 집 매매하고 인테리어 후 이사할 때 잔금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A 집을 매도하고 B 집을 매수해서 이사를 가려는 계획인데요,
B 집에 들어가기 전에 한 달 정도 인테리어 공사를 하려고 합니다.

이 때 B 집으로 이사가는 날이 9월 1일이라고 하면,
인테리어 공사는 8월 1일부터 시작해야 하고,
공사가 끝나는 8월 31일 까지는 여전히 A 집에 살아야 하는데,
이러면 B 집 잔금을 보통 언제 어떤 방식으로 치르게 되나요?

A 집을 아직 매도하지 않았으니 받은 돈이 A 집 계약금 뿐인 상태인데,
이 상황에서 B 집 잔금을 100% 치르는 건 불가능한데,
보통 잔금 일부 (몇 %)만 치르게 서로 합의하고 인테리어 공사를 시작하는 건지,
어떤 방식이 암묵적 표준인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엘브로
25/05/26 10:38
수정 아이콘
둘중에 한가지일 것 같네요.
들어갈 집의 전 주인이 한달정도 일찍 이사가면서, 잔금을 한달후에 줘도 될만큼 자금 상황이 되던가? (협상 필요)
그게 아니라면 집을 먼저 팔아서 잔금을 마련하고, 한달살기 할 곳을 구하던가요
김꼬마곰돌고양
25/05/26 10:41
수정 아이콘
원래대로라면 등기치고 하는게 맞죠.
집주인이 양해해주면 중도금 정도 준 상태에서
집을 비운 상태에서 인테리어 공사 먼저 진행하고
입주할 때 잔금주고 등기이전하고 할 수 있겠습니다만

그게 아니면 원래 살던 집을 팔고 잔금치루고
한달 정도 살 곳을 마련한 뒤에 인테리어 하셔야 합니다.
생겼어요
25/05/26 10:43
수정 아이콘
공사 기간이나 매도인의 성향이 달라서 확답을 드리긴 어렵습니다만 합의하기 나름이라고 봅니다. 저는 간단한 인테리어만 필요해서 열흘 정도 미리 양해를 구했었는데, 매도인이 잔금일 변경을 요구하시진 않으셨습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저는 계약금 외에도 그전에 20%정도 되는 금액을 중도금으로 지급했었는데, 중도금이 들어간 이후에 요청한 것이어서 응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댓글자제해
25/05/26 10:48
수정 아이콘
인테리어를 한달씩이나 하면
통상적으로 짐은 이삿짐 장기보관 같은걸 하고 풀옵션 단기임대집을 구합니다
한달씩이나 배려받기를 원하는건 좀 어렵습니다
등기 치기도 전에 큰 금액의 인테리어비 먼저 들이는것도 불안하구요
44년신혼2년
25/05/26 11:07
수정 아이콘
저희도 비슷한 방식으로 했었는데
저희는

B 집에서 전세 살던 사람에게 보증금을 주기 위해서 돈이 필요하다고 해서 단기 대출을 했었습니다.
정확히는 총 대출금을 크게 잡고, 이후 A 집 잔금이 들어오면 해당 잔금으로 대출금 중 일부를 상환하는 식으로 한거죠.
2달 정도 대출 이자 + 중도상환수수료 가 추가로 들긴 했지만요.
대신 B 집에서 보증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B 집에 이사하는 날까지 미뤄주기로 했었습니다.

저희는 상황이 좀 좋게 맞아 떨어져서 크게 문제 없이 진행 했었네요.
마이스타일
25/05/26 11:11
수정 아이콘
가장 베스트는 집이 비어있는 경우겠죠

이러면 계약할 때 중도금 이후 인테리어 부분을 특약에 넣습니다.
그리고 중도금 내고 인테리어하고 잔금 치르고 입주 이렇게 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데 이거도 집주인이 정말 잘 협조를 해줬을 때 얘기고 집이 비어있더라도 사전에 인테리어 안된다고 하는 집주인도 많아요

두번째는 잔금 하고 인테리어 시작
한달동안 호텔, 친정집 또는 단기임대에 가는 경우고 이게 표준인 케이스라고 보면 될 것 같네요
몽키매직
25/05/26 12:13
수정 아이콘
잔금 치른 후에 인테리어하고 단기 임대로 다른 곳에 살아야죠. 이사는 보관이사하고요.
내 집도 아닌데 인테리어 먼저 하는 건 매도자가 엄청나게 크게 양보해야 하는 부분이고, 이 부분에 대해서 그에 상응하는 무언가를 더 드려야죠.
그리고 인테리어 도중 문제 생겼을 때 (누수 등 중대 하자, 인테리어 완공 지연 등) 어떻게 하실 건가요?
만약 문제에 대해 보험 동원해야 하면 매도자의 보험을 사용할 건가요?

잔금 안 치르고 인테리어 하는 건 매도자 매수자 양쪽에게 리스크 입니다. 잔금 치르고 인테리어 하세요.
25/05/26 13:17
수정 아이콘
저희는 같은 상황에서 대출로 해결했습니다. 계산해보니 대출이자가 이삿짐보관+별도숙소보다 싸서요.
NoGainNoPain
25/05/26 13:42
수정 아이콘
원칙적으로는 잔금 치르고 인테리어 작업을 들어가는 겁니다.
25/05/26 14:58
수정 아이콘
잔금치루고 보관이사했습니다. 그 사이엔 별도 숙소 빌려서 있었구요 (3주) 그돈이 더 많이 들긴 했는데
제 집에서 전세금 빼야 공사가 가능하고, 저쪽에서도 받아야 나갈 수 있는 처지여서 서로 어쩔 수 없었어요.
돈 정말 많거나 여유있으신 분들이 먼저 집 빼주고 이런 경우는 있어도, 원칙적으론 매매계약이 완료된게 아니어서 위험하죠
25/05/26 17:08
수정 아이콘
운 좋게 들어갈 집이 그 쪽 사정으로 미리 나갔고 매도인이 직접 살던 곳이 아니라 양해해 주셔서 중도금 완료 후에 인테리어 했던 적이 있긴 한데
일반적으로는 매도 및 매수 완료 한 다음 인테리어 기간만큼 단기로 오피스텔 같은 곳에 살다가 인테리어 완료되면 들어갑니다.
자금에 여유가 있다면 매수 먼저 한 다음 인테리어 한 후에 매도하구요.
고기깡패
25/05/26 17:18
수정 아이콘
이사짐센터에 보관하다가 넣어주는거 있어요
등기치고 공사 시작하고 어디 살다가 오셔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969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260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216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520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7022
180710 [질문] 선거게시판에 관련한 질문인데요 [2] 럭키비키970 25/05/28 970
180709 [질문] 교통사고 상대방이 합의 안해줄때 어떻게 하시나요? [3] 다이어트945 25/05/28 945
180708 [질문] 어머니께서 갤럭시 S25+ 구매 권유 전화를 받으셨는데 사기가 아닌지 걱정입니다. [13] 이명박근혜2118 25/05/28 2118
180707 [질문] 마비모 대검전사 심찌 디버프 타직업 중첩여부 [3] khia1332 25/05/28 1332
180705 [질문] 창문형 에어컨 자가설치 쉽나요? [18] 아스날2259 25/05/28 2259
180704 [질문] 잔금일 당일 절차 문의드립니다. [3] Aiurr1352 25/05/28 1352
180703 [삭제예정] 선거 관련글은 자게에 못 쓰나여? [2] 삭제됨1463 25/05/28 1463
180702 [질문] 방금 피싱 전화를 받았습니다. 개인정보 삭제 관련 [8] 파이어폭스948 25/05/28 948
180701 [질문] [컴퓨터]cpu와 글카 오버클럭/언더볼팅 필수인가요? [6] LeNTE703 25/05/28 703
180700 [질문]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 대해 궁금합니다 [3] 만두1634 25/05/27 1634
180699 [질문] 서 있는 자전거를 넘어뜨렸는데요. 법적 조언 구합니다 [22] 아이러브스타3237 25/05/27 3237
180698 [질문] 마크노플러가 연주하는 금속재질 기타 정보가 궁금합니다 [2] 커티삭1716 25/05/27 1716
180697 [질문] 배우자 명의 주택 신축 계약시 저의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한가요? [10] Sebastian Vettel2651 25/05/27 2651
180696 [질문] 김해공항 근처에 하룻밤 묵을 곳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8] 한종화2343 25/05/27 2343
180695 [질문] 진득하게 즐길 수 있는 무과금(가챠x) 모바일게임 있을까요? [21] 다시마두장1678 25/05/27 1678
180694 [질문] 대선 끝나면 부동산 가격 변동이 있을까요? [31] 정 주지 마!2715 25/05/27 2715
180693 [질문] 서바이벌류를 좋아하는데 추천해주실 수 있나요? [21] 짭뇨띠2308 25/05/27 2308
180692 [질문] 스연게의 고대 입실렌티 게시글이 안열려요 [3] 싸우지마세요1977 25/05/26 19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