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4 19:55
동년배입니다. 여러가지 먹고는 있는데 솔직히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유산균 2종류, NMN, 멀티비타민, 비타민D, 오메가3, 루테인, 코큐텐 지금은 이렇게 먹고 있습니다. 그냥 먹으니깐 아픈데 없다... 이런 정신승리 목적으로 먹는듯요, 먹는 종류는 그때그때 조금씩 바뀌긴 합니다
25/07/04 20:12
저 안구건조증이 심해서 자기 전 10분 정도 눈 찜질을 하는데 눈 피로에도 체감 효과 정말 좋습니다... 자기 전에 뜨뜻허니 뭔가 잠도 잘 오는 느낌이고...
전자레인지 등에 돌려서 사용하는 눈 찜질기가 있는데 한 번 사용해보시면 좋습니다
25/07/04 20:18
전 게임도 못할정도로 너무 피곤해서.. 비타민 같은거 찾아보다가 링티에서 연령대별 먹는 비타민 같은거 있더라구요
30 40 50대 이렇게 있다보니 거기서 맞는 연령에 맞춰서 사시는것도 좋습니다
25/07/04 20:30
종합비타민이나 영양제... 솔직히 체감되기 힘듭니다. 저도 나만 이러나 싶어서 예전에 피지알에서 물어봤는데 영양제로 체감을 봤다는 사람이 거의 없었어요. 유일하게 유산균은 쾌변하는데 체감이 되긴 합니다.
25/07/04 21:06
피로는 간의 영향일거라는 이야기를 들어서
아로나민골드를 생각해보긴 했습니다 역시 광고의 힘 뭐라도 시작해야할거 같아요 피곤하다는 소리를 하루에 백번은 족히 하는듯요
25/07/04 20:55
수면 시간 늘리지 않는 이상 체감 거의 불가능 하실 가에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말을 하기에는 수면은 정말 어떤 것으로도 대체되지 않는 회복 효과를 줍니다… 어떤 영양제도 1/1000도 대체하지 못해요 ㅠ
25/07/04 23:23
수면시간을 좀 더 늘리세요 국내의사들이나 해외의사들이 추천하는 성인수면시간은 7-8 시간이라고 하네요. 충분한 수면이 체력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멜라토닌이 도움이 되는데 합법적으로 구하고 싶으면 아무 가까운 동네 내과 가서 멜라토닌 처방 받으시면 됩니다.
+ 25/07/05 19:37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25/07/05 00:12
이러면 영양제로는 안 될 것 같아요.. 저도 같은 말이지만 충분한 잠이 먼저 입니다.
누워있는 시간이 5시간이지 숙면시간은 더 적을 수도 있겠네요. 일어나는 시간이 정해져 있다면 잠에 드는 시간을 최대한 당겨보세요.
+ 25/07/05 19:37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25/07/04 21:37
피로감과 시력 감소로 안과를 가셨다면, 가정의학과나 내과 중에 내원하셔서 간수치(AST,ALT,r-GTP) 및 갑상선 기능검사(T3, Free T4, TSH), 당뇨 수치(HbA1C/당화혈색소)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통상적인 일반 건강검진을 받으셨다고 하더라도 한 번 쯤은 혈액검사를 돌려보세요. 추가적으로 비타민 검사(엽산, Vit.D, Vit B12)를 받으시면 비타민 부족 상태도 기본적으로는 알 수 있습니다.
25/07/04 22:34
갠적으론 그 어떤 영양제도 체감될 만한 효과를 느낀 적이 없네요.
금주와 금연, 건강한 저녁 식사를 기본으로 깔고 그래도 수면 장애가 오면 멜라토닌이라도 드셔 보시죠. 약국에서 파는 거 말고 처방되는 거요.
25/07/05 00:03
40대 초반이고 아르기닌과 블랙마카 먹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두개의 체감효과가 큽니다. 아르기닌은 3개월 먹고 한 달 쉬고 다시 먹는데 그 쉬는 기간에 몸이 쉽게 피로해지고 활력이 떨어지는게 느껴 집니다. 그리고 블랙마카는 잔병치레가 확실히 없어지는 느낌이구요.
25/07/05 01:10
약 아무리 챙겨먹어도 잠충분히안자면 소용없습니다
운동 아무리해도 잠충분히안자면 소용없구요 잠을 자야해요 잘자고일어나서 아 잘잤다 느낌을 느껴보셍용
+ 25/07/05 19:39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집에서 간단히 운동하려고 실내자전거도 샀는데 잘 조합해 봐야겠어요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25/07/05 05:29
약국에서 만원 언저리에서 파는 여러 약 들어있는 피로회복제가 일시적으로는 확실히 도움이 되더라구요.
물론 근본적으로는 잘 먹고 잘 자는게…
25/07/05 08:00
(수정됨) 어떤 영양제도 수면보다 좋은 효과를 주긴 힘들 겁니다. 최소 7시간이라고 봐야 하지만, 여건상 그것도 안된다면 6시간. 6시간 이하부턴 매일 소주1병씩 마시고 사는 것과 동일한 수준입니다. 저도 불면증이 있는 편이고 의식 안하고 자면 5~6시간 이정도만 자거나, 자는둥 마는둥 대충 드러눕고 3시간 자고 깨서 비몽사몽으로 있거나 그럽니다.
이건 개인적으로 의식해서 수면에 들려 노력하고 수면환경을 개선하는게 좋습니다. 처음엔 당연히 잘 안되고 힘든데 규칙적으로 꾸준히 노력해야 하는 부분 같습니다. 유전자검사를 해봤는데 선천적으로 불면증 유전자가 있다고 하더군요. 그런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내가 노력해야죠ㅠㅠ 그래도 영양제가 전혀 효과가 없나? 그건 아닙니다. 단순히 피로회복을 떠나 전반적인 몸상태가 조금은 나아지는 느낌, 플라시보일 수도 있지만 암튼 체감이 든다는게 중요하니까요. 저도 영양제 무더기로 먹고 그러는거 안 좋아하는데 나이드니까 챙겨먹게 되더군요. 저도 딱 기본만 먹고 있습니다. 비타민C, 오메가3, 비타민D3&K2. 이정도가 기본이고 개인적으로 하나만 추가한게 나이아신아마이드네요. 이건 즉효를 원하는게 아니라 노화대비용으로 먹는거고. 영양제로 즉각적이고 강한 효능을 원한다면 실패하실테고, 장기적으로 내 몸을 개선해서 끌어올린다는 목적으로 드셔야 합니다. 게임으로 치면 바로 HP를 회복시키는 물약이 아니라, 최대체력 상한을 조금씩 늘리는 비약이라고 해야 크크 지금 내 피통이 10이면 20, 30짜리 회복물약 먹어도 소용없죠.
+ 25/07/05 19:42
길게 못 자는 편이예요
평일은 4~5시면 깨고 주말에도 7시면 깨는거 같습니다 정성 어린 댓글보니 결국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꽤나 고민해야할거 같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25/07/05 09:29
직상자님의 근무는 아니지만 얘기를 꺼내기 전에 잠깐 다른 소리를 해보자면, 일반적으로 교대근무가 WHO 분류 2급 발암 영향인 이유가 수면상태 이상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푹 자는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건강하게 오래 사시는 어르신들 대부분 피곤해지면 일찍 자버리죠.. 시간 아깝다는 생각도 들지만 한두시간 일찍 자고 하루 더 산다고 생각하면 24시간을 버는 셈이니 그냥 푹 쉬실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일찍 잠드는 것도 괜찮은 거래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밤의 2시간을 낮의 8시간으로 바꿀 수 있으니까요. 물론 저도 잘 지키진 못하고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 25/07/05 19:43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 25/07/05 19:44
많은 댓글이 결국 수면 확보인데
이건 단기간에 해결될거 같지 않아 위에서도 언급됐던 멜라토닌 적극 고민해 봐야겠어요 장기적으로는 수면개선이 과제인듯 하구요
+ 25/07/05 19:43
통상 12시 정도에 자서
5시 정도에 깨는거 같은데 간혹 10시나 11시 즈음 잠들면 귀신같이 4시 즈음 깨서 못 자는 패턴입니다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