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05 15:00
기술력이라 하면 동력계통, 현가장치, 제동장치, 새시기술, 주행감성 정도가 될 것 같은데 맞나요??
동력계통을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평균이하라고 보고 싶어요.. 특히 현가장치와 새시기술에서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되고 제동장치도 그다지.. 주행감성도 경쾌한 맛은 있지만 대부분 가벼운 차체에서 오는 것이 크고 주행안정성이라는 부분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죠.. 또 하나의 평가 항목이라고 볼 수 있는 내구도에서도 크게 높게 평가받기 힘들 것 같네요.. 이 부분 제왕이라고 볼 수 있는 일본차에 비교해보면 아직도 따라가야 할 부분이 많죠.. 워낙 싸고 워런티 조건이 좋다보니 점유율은 쉽게 끌어올렸는데 브랜드 이미지의 고급화를 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대기아자동차의 기술력은 일본자동차의 2진이라고 볼 수 있는 스바루와 미스비시 수준으로 보고 싶습니다.
12/01/05 15:15
외제차 오너가 되어보지 않아서 알수가 없네요...
잠깐잠깐 타본거야 많지만 그 때뿐 오너의 관점에서 알 수는 없으니까요 물론 슈퍼카나, 대형차등에선 따라갈 수도 없겠지요. 비교대상은 일반 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차로 해야될텐데 뭐 도요타 코롤라 라던가 혼다 시빅이라던가 등등 잔고장이라던가, 정비의 입장에서 봤을때 일본차가 제일 좋다고 한긴 하더라구요 (물론 주위에서 말하기를 입니다.) 뭐 사실 실생활에서 스포츠 주행이라던가, 캠핑이라던가 할 일은 없으니까요 그리고 실제 미국에서 돌아다닐때 제일 많이 본 차가 일본차였습니다. 한국차는 그렇게 많이 깔리진 않았습니다만 종종 보이는 수준은 되었네요
12/01/05 15:50
엔진만큼은 수준급이죠.. 그 중 디젤엔진은 유럽수준과 거의 동급수준이구요.
인테리어와 각종 편의사양도 꽤 좋습니다. 그 이외에는 shadowtaki 님의 의견이 거의 정답일 듯 하네요.
12/01/05 16:26
해외에서도 현대,기아차는 알아주더군요.
일본차보다 싼데 일본차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라고 평가받고 있더군요. 단, 현대,기아가 한국회사인지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더군요...ㅠㅠ
12/01/07 01:59
호주에서 살면서 느낀건 한국차는 그 네들의 최 하위권에 쳐박혀 있었습니다...;;; 싼데 워런티도 좋다 정도??
독일차는 닥치고 모든 부분 최상위 미국차는 인기도가 최상위 일본차는 경제성 상위 한국차는 워런티랑 가격이 상위..;;; 나머진 다 하위였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