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8/29 15:27
기어내릴때는 속도에 맞추어서 5->3 이렇게 해도 되긴합니다.
그리고 5단으로 커브를 돌려면(보통의 사거리 커브) 속도를 많이 줄이셔야 할텐데, 그러면 5단으로 유지했다가는 RPM이 떨어져서 시동이 꺼지게 되죠. 뭐 5단으로 돌면서 도중에 클러치 밟고 진행하다가 다 돌때쯤 3단넣고 엑셀 밟는건 됩니다만...ㅡㅡ;;
06/08/29 15:31
시동걸때 2단으로 노코 출발은 보통 하는데요 클러치를 살살때면서 차가 덜덜덜;;;;떨리는 기분이 들때 클러치를 때주면 시동이 안꺼지죠;;
06/08/29 15:32
우선 차는 '굴린다' 라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운전하기가 수월하실겁니다. 특히 수동이면 굴리는데 RPM이 정말 중요합니다. 변속은 RPM맞춰 따라가는거구요. (올리든, 내리든) 사실 백날 얘기들으셔야 소용없구, 운전 잘 하시는분 옆에 앉히고 드라이빙 많이 해보세요~
06/08/29 15:33
출발시에 악셀을 밟으시면서 클러치를 반 정도 뗏다가 차가 출발하면 클러치를 떼면 됩니다. 설명은 간단한데요...
스틱차량은 차마다 클러치 유격이 다르므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감을 잡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속도를 낮추기 위해서 저단으로 변속하는 경우는 보통 고갯길에서 내려올 때 엔진브레이크를 쓸 경우입니다. 경사가 급하고 긴 내리막길에서 계속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나중에 브레이크가 듣지 않는 상황이 올 수 있기 때문이죠. 보통 시내주행시 신호에 걸려 속도를 낮출 때는 그냥 브레이크만 사용하고 속도가 많이 떨어져서 RPM이 1000 이하로 내려가면 그때 클러치를 밟거나 중립에 놓으면 됩니다. 기어변속은 RPM이 약 2000~3000 사이에서 다음 단으로 하시면 되는데 아반떼의 경우는 약 60km에서 5단으로 변속하면 적당합니다. 수동운전이 참 재미있지요... 차량정체될 때만 제외하고요. 일단 해보시면 다 아시게 됩니다~ 그리고 2단출발은 디젤차량의 경우구요 가솔린차량은 힘이 없어서 1단출발해야 됩니다.
06/08/29 16:03
면허딸때 1종 스틱으로 하다가 집에와서 아버지 자동차(오토매틱)로 좀 돌아다녀보니까.... 운전 너무 쉬워요 ㅜ,.ㅠ 뒷좌석에 타서 창문 바라볼때는 비싼차가 대체 뭐가 어떻게 좋은지 몰랐는데 운전해보니... 승차감... 클러치가 없기에 왼발의 허공질... 너무 좋아요
06/08/29 16:14
운전의 재미는 아무래도 스틱이겠죠?
처음 스틱몰때 오르막에 정지해서 진땀 흘렸던 기억이 나네요..(참고로 전 오르막이 넘쳐나는 부산입니다^^;;) 초보때 가장 두렵고 어려운게 오르막이거든요.. 한적한 언덕길이나 비슷한 장소에서 차가 없는 시간에 정지했다 다시 출발했다하는 연습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겁니다. 감이 왔다싶으면 클러치를 때고 엑셀은 조금 밟은 상태를 유지하면 오르막에서 미끄러내려가지도 않고 올라가지도 않는 상태를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출발 시 시동꺼지는 거랑은 조금 다른 내용이지만 곧 거쳐야 할 부분이라서 도움이 될까 적어봤습니다..^^ 참, 5단에서 RPM이 떨어졌다고 시동이 꺼지지는 않구요..일단 스틱차는 차가 정지상태 시 1)중립기어 상태로 정지하거나 2)기어가 들어가 있을 시엔 클러치가 밟아진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정지한 상태라면 시동이 꺼지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주행하실때 RPM이 대략 2500~3000정도에 이르렀을 때 기어를 올리시고 기어에 비해 RPM이 조금 떨어진다는 느낌이 들땐 다시 하향조정해주는 식으로 하시면 됩니다. 안전운전하세요..^^*
06/08/29 16:25
가속할때는 기어를 순서대로 올리고, 감속할때는 기어를 순서대로 내리는 게 정석입니다.
하지만 스틱 운전 짬밥 좀 먹으면 감으로 따릅니다. 3단에서 딴짓한다고 시간 좀 끌다가 RPM이 충분히 올랐다 싶으면 바로 5단으로 올리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브레이크를 밟다가 엔진이 힘이 너무 달린다 싶으면 5단에서 3단으로 바로 내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급커브에서 5단으로 회전 못합니다. 5단이 급커브에서 회전할 때 시동이 꺼진다는 말은 5단을 놓은 상태로 급커브에 맞춰 무리하게 속도를 줄이다 보면 엔진히 힘이 딸려서 꺼진다는 내용일 듯 합니다. 5단에 맞는 속도로 급커브를 도는 건 '미친' 짓이라고 단호히 말슴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운전 초보시라면 운전면허 체계가 바뀌기 이전에 장외 뛰시던 분들이 계속 비슷한 방식으로 도로 연수를 해주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자기 차량으로 이런 분들 알아보시고 한 일주일 정도 계속해서 연수를 받으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06/08/29 16:31
1. 출발 때, 클러치 살살 떼면서, 엑셀 살살 밟으면 시동 안 꺼지죠. 스틱이면 출발도 오토보다 어렵지만 오르막 잘해야 됩니다. 차 많이 안 다닐 시간에 아파트 지하주차장 같은 데서 오르막 연습 많이 하세요. 오르막 연습 제대로 안하고, 초보때 마트나 백화점 오르막에서 차 밀리면 죽음입니다. 어떤 오르막에서도 시동 안꺼지고, 뒤로 안 밀릴 자신 있음 밖으로 나가세요.
2. 올라갈 때는 순서대로 올라가도, 내려갈 때는 순서대로 해도 되고 속도에 맞춰서 5->3, 5->2, 5에서 브레이크,클러치 동시에 밟고 바로 세워도 됩니다. 3. 5단놓고 급커브해도 시동은 안 꺼집니다만, 속도가 높으면 위험하죠. 급커브 전에 충분히 감속하고 하세요. 그리고 운전하실 곳이 서울이시면 오토사시고 지방이면 스틱사세요. 서울은 스틱으로 운전할 만한 동네가 못되고, 부산,대구정도도 출퇴근시간에 운전 많이한다면 오토 강추합니다.
06/08/30 18:43
다른 분들 말씀대로 일단 사시는 지역이 중요할 것 같은데요... 서울이나 부산같이 오르막이 많고 차가 많은데서는 어쩡쩡하게 스틱 운전하다가 오르막에서 가다 서다 하면 너무 힘듭니다. 지하 주차장이나 한적한 오르막 골목에서 많이 연습하는게 중요한데, 실제 도로에서 위험할 경우에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요령은 오르막에서 정지한 후, 사이드 올리고 클러치를 반클러치(1종 따실 때 그 반클러치입니다) 밟고 액셀 밟으면서 사이드 내리면 하나도 안 밀리고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자주 사용하면 브레이크 패드가 나갈 수 있으니 가끔 쓰시는게 낫죠. 연비 측면에서는 스틱이 월등합니다만 안전성을 고려하신다면 오토를 권장해드립니다. 비오는 서울 거리에서 오르막에서 가다 서다 반복은 정말 힘들더라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