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13 00:38
개인적으로는 독해 관련은 많이 읽고 해석을 자연스럽게 하려고 노력을 하니 속도나 실력이 향상된 경험이 있습니다. 기억에 남는 책으로는 고교 시절때는 마법의 560문장 DUO나 리딩 튜터, 대학에 처음 왔을 때에 교양교재였던 Mosaic I, II 이라는 교재가 좋은 학습교재였던 것으로 기억에 남네요. 그리고 문법은 좀 더 보강하셔야 할 듯. 문법은 알아야 됩니다. 수학에 비유하자면 수학 공식도 모르는데 문제 풀이만 많이 본다고 잘 되는 거 아니지 않습니까.
07/01/13 01:27
수능칠때 문법손놓으면 100점포기해야죠. 전 독해는 다맞았어요 듣기랑. 수능때 문법이 3개인가 4개나오더군요. 그거빼고 다맞자는 생각으로 공부했더니 정말 다맞긴 하더군요;문법은 다틀렸지만. 이렇게 극단적으로 했던 사람도 꽤나 있습니다. 제가 성공적케이스이지만..
07/01/13 02:27
문법이 정 부담스러우면 각 단원 내지 소단원마다 (이를테면 가정법 과거 하나, 가정법 과거완료 하나 그런 식으로요.) 좋은 예문을 뽑아서 암기하시면, 일단 전체적으로 각 단원 포인트가 뭔지는 짚고 가실 수 있을 겁니다. 문법 중에서도 <암기로는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을 잘 해 두시면 좋습니다. 특히 주어에 동사 맞추기(일치)는 수와 시제를 맞추고 나서도, 가정법에서 쓰이는 게 또 다르고 시간/조건 부사절 같은 경우도 있고 원형을 쓰는 경우도 있고... 예외적인 경우도 많고 여러 단원에 퍼져 있으니 꼼꼼하게 공부해 두셔야 합니다.
그 외에 구문이라고도 하고, 문형이라고도 하고, 표현이라고도 부르는, 예를 들면 prevent A from B, regard A as B, so ~ that can[cannot] 같은 것들, 대체로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나올 때마다 짚고 넘어가시는 것들이죠. 시간이 되는 대로 구문 관련 교재를 공부하고 암기해 두시면, 독해와 문법 둘 다에 도움이 될 겁니다. 각각의 단어는 다 아는데도 독해가 안 되거나 막히는 것은 숙어, 구문 공부가 부족하기 때문일 경우가 있거든요.
07/01/13 03:37
인터넷 강의 하나 들이시고 반복하는것도 추천합니다..
김찬휘 선생님의 orthodox grammar나 김정호 선생님의 수능 시작 AB반 추천..
07/01/13 08:25
문법을 안해도 되는 수준은 위에 달린 댓글 중에서 한글 문법상 어색하게 느껴지는 문장을 콕 찝어낼 수 있는 정도의 수준입니다. 영어로 그 실력이어야 수능을 다 맞추실 겁니다. 문법을 모르고도 수능 문법을 다 맞추는 지인의 말에 따르면 뭐가 틀렸다고 딱 말하긴 뭐하지만 문장이 어색해서 그걸 골랐다고 합디다만...저와 데이라잇님 같은 평범한 사람은 공부를 해야겠죠ㅠㅠ 맨투맨기본1권2권-김찬휘 오소독스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