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19 09:20
그래두 풀어주시는게...님수준을 모르니 확답은못드리겟지만... 자신이 안다고생각해도 다아는것이 아니라던데... 제가 그랫거든요. 항상 시험전엔 공부다한거같앴는데..결과는 나빳죠.크크
07/01/19 10:25
제 생각입니다만.. 공부 적정량은 아직 초반이니까 '자기가 금방 지쳐버리지 않는 양' 정도로 하시는 게 좋을 것 같고요. 하루에 1과 이런 식보다는 하루에 몇 시간 이런 게 나을 것 같네요. 하루에 1과 이렇게 하면 쉬운 과는 금방 끝나는데 다음날 하는 거는 너무 어려워서 막 하기 싫어지고 질질질 끄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비추천이네요. 수리는 10가나부터 먼저 끝내시고 수1하세요. 수리에 많은 시간 배분한 게 아니라면 10가나와 수1을 병행하면 너무 진도가 느립니다. 그럼 금방 지쳐요. 학교에서 수업시간에 수1은 하지 않나요? 방학이라도 수업 하잖아요? 이건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지금 시작한 게 결코 늦은 거 아니에요.
07/01/19 10:32
그리고 개념만 익히고 문제는 패스 했다고 하셨는데 글쓴 분 공부방법을 어떻게 잡았는지 모르겠는데 수리 지금 몇등급이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1등급 맞고 싶으시면 그렇게 대충 개념부분 눈으로 읽거나 공식이나 몇번 적어보고 끗. 이러시면 곤란합니다-_- 수학의 개념은 책 첫장에 쓰여있는 '공식'을 다 외웠다고 개념을 아는 게 아닙니다. 그 개념에 관련된 예제와 어렵지 않은 유제정도는 푸시는 게 좋겠네요. 시간은 아직 충분하니까요.
07/01/19 10:44
그리고 이건 그냥 제 의견입니다만.. 공부해서 성공하시고 싶은 거라면 pgr에 그만 들락날락 거리시고 그 시간에 공부를 하세요. 수능은 상위권들이 추천하는 공부방법대로 안하고 다르게 공부하면 성적 안오를 정도로 어려운 시험 아닙니다. 그리고 필요한 방법은 이미 글쓴 분이 이전 질문들로 거의 다 아신 듯 하구요. 제가 피지알 들어올때마다 여기서 글쓴 분이 써놓으신 글 보는 것 같네요. 목표성적이 어느 정도이신지 모르겠는데 글쓴 분 스타일처럼 시간 날 때마다 뭐 자기 공부방법이 맞냐 뭐 시험땐 뭘 먹으니까 머리가 잘 돌아가서 점수 상승이 있는 것 같다 등등 사소한 것 꼬치꼬치 캐묻던 애들 중에 성공한 친구를 별로 못 봐서요. 그러면 초반부터 지칠 가능성만 늘고요 정보만 묻다가 한 4월쯤 되면 따뜻해지고 하면 하기 싫어지고 그래서 남들 하는 대로 하다가 시험치러 가게 되죠. 뭐 자기는 의지가 있다 이러니 뭐니 해도 이미 고등학교 생활 많이 겪으셨고 2년동안 범위 얼마 안 되는 내신 하기도 귀찮아서 처음엔 좀 하는 척 하다가 나중엔 그냥 귀찮아서 자버리고 놀러 가버리고 그런 일 많았죠? 나는 pgr에 머리 식히러 잠깐잠깐 오는 것 외에는 전혀 놀지 않는다 라고 하시면 할 말은 없습니다만 -_- 수학 질문은 학교 수학선생님한테 하시구요 그러기 좀 그렇다 싶으시면 1등 붙잡고 물어보세요. 지금부터 한 3월까지는 어떻게 어떻게 버틴다고 해도 공부는 '꾸준히' 하지 않으면 끝입니다. 담에 또 의지가 섰을 때는 처음부터 다시 해야 되고요.
07/01/19 17:33
흠 다른 분들 보시기에 계속 질문하는게 안좋아보이시겠지만...
같은 예비고3 입장에선 이해가 됩니다-_-.. 할건 많은데 뭐부터 해야하는지.. 많이 고민되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