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9/02 17:08:09
Name EzMura
Subject 서울에서 공무원으로 살면 어느 정도인가요?
수능을 얼마 앞두고 나니 대학 생활도 생각해보게 되고

대학 생활 이후 취업도 생각해보게 되고 별 생각이 다 드네요.(저만 그런진 몰라도-_-;)

그 중 하나가 요즘 최고의 유망 직업 공무원인데...

수시 관련으로 인터넷을 켰다가 생각이 나서 여쭙니다.

서울에서 공무원으로 살면 어느 정도인가요?

서울은 집값도 비싸고 물가도 비싸다던데 말입니다.(제가 지방(경남 창원)에 살아서 개념이...)

만약 한 명은 7급 한 명은 9급 공무원으로 맞벌이를 한다고 가정한다면

서울에서 어느 정도로 살 수 있나요? (너무 막연한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02 17:45
수정 아이콘
중산층 정도의 생활은 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맞벌이보다 월급은 좀 적더라도 정년보장에다가 노후 대비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없으니..
기사도
07/09/02 19:1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의 최강 장점은 어지간한 위치가 아니면 내새우기엔 머하지만
최소한 쪽팔리지 않는다는거? 먹고사는거 걱정할 필요없다는거? 자녀학비걱정할 필요없다는거?
노후 걱정할 필요 없다는거?
꽤 많네요-_-;
Q=(-_-Q)
07/09/02 19:13
수정 아이콘
맞벌이라면 게다가 한 사람은 7급으로 시작한다면 먹고 살기에 충분하죠. 단 강남에 집을 산다거나 자식을 풀코스로 유학 보내시는건 부수입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봅니다.
항즐이
07/09/02 19:51
수정 아이콘
중산층의 정의는 백분위수로 따지면 상위 최소 30%~40%정도라는 뜻으로 "꽤 잘사는"으로 받아들여지는 정도입니다.

5급공무원이 아닌 담에야 "중산층"으로 보이지는 않을거 같은데요.
그냥 평균적인 서울사람이라면 모를까.
엥겔지수200
07/09/02 19:54
수정 아이콘
현직 7급이고 남잔데요 월급 200넘은적 한번도 없습니다.. 보너스 받아야 겨우넘죠.. ㅡㅡ;; 9급으로 일하는 친구의 경우 수당 다합쳐 150~ 170.. 못받을땐 120만원도 받았데요..

두사람이 맞벌이를 한다해도 둘다 공무원이면 30년은 근무해야 한다 치고 자녀는 교육시설에 저녁 7시까지는 맡겨야 하는데
한사람 수입은 교육비로 들어간다고 치면 되고.. 솔직히 돈 많이 모으긴 힘들죠.. ^^;;
만약 집안에 여유가 좀 있어서 집만 마련해 놓고 살기만 하는거라면 편하게 살 수 있지만 모아서 집사긴 정말 힘드실 겁니다..

그러나.... 지금은 이런걱정 하지마시고 일단 수능 공부부터 열심히!!!!!!!! 공뭔 동기들 보면 대부분 이름있는 대학 4년제 출신이거든요ㅠㅜ
김진영
07/09/02 20:51
수정 아이콘
공무원 얘기 나올때마다 말씀드리는거지만, 10년 20년앞을 내다보세요...
100:1 경쟁률힘들게 뚫어서 직장다니면, 10년,20년전처럼 경기가 호황이 와서 할거 없어서 공무원한다는 소리 다시 들을수도 잇게 되거든요...
yellinoe
07/09/02 22:48
수정 아이콘
맞벌이 부부가 100씩 벌든 200씩 벌든 300씩 벌든,,, 자식이 둘인경우 똑같이 반절은 교육비네요,, 돈은 100이나 300이나 똑같은듯,,
낭만토스
07/09/02 23:0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면 교육비가 공짜죠... 물론 사교육은 아니지만....
하수콩
07/09/02 23:28
수정 아이콘
5급으로 들어가면 엘리트고 7급으로 들어가도 좋죠...실상 150씩도 못 받고 비정규직 이나 중소기업에서 고생하시는 분들 널렸습니다.
아니면 공기업 준비하셔도 되구요..
공무원 대비 급여는 150% 이상 될겁니다. 물론 연금혜택은 없습니다만..
그리구 김진영님 이랑은 다른 견해인데...10년, 20년 후 를 내다본다고 하면...판검사 제외하고 보장받을 만한 직업은 없는것 같습니다.
할 것 없어서 공무원 한다는 소리 들을 수도 있지만 아무것도 못 하는 것보다는 훨씬 좋죠..
뜻이 있으시다면 공무원이나 공기업 들어가셔서 열심히 역량을 키워서 차후에 원하시는 일을 하셔도 되구요..
물론 시대의 흐름상 공기업도 정년보장을 장담 할 수 없습니다만...
잘 생각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932 화학2 문제집 추천해주세요~ [3] 레스베라트롤2887 07/09/02 2887
29931 조립본체 구입할 예정입니다. 상황닷컴1365 07/09/02 1365
29930 피지알아이디비밀번호 [1] 하비야1564 07/09/02 1564
29929 MT장소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7] 눈팅만일년2203 07/09/02 2203
29928 공익 근무 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4] GoodLuck1891 07/09/02 1891
29927 미리보기 바꾸기. 도시의미학1537 07/09/02 1537
29926 디카 살만한 곳... [2] for H.1567 07/09/02 1567
29925 영화 300에 나온 이배우 이름 좀 알려주세요~ [8] 엥겔지수2002367 07/09/02 2367
29924 파이썬 명경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스포리트2123 07/09/02 2123
29923 이 영화배우 이름좀 갈켜주세요 [1] a니이2174 07/09/02 2174
29922 서울에서 공무원으로 살면 어느 정도인가요? [9] EzMura4053 07/09/02 4053
29921 그래픽카드가 나간 거 같습니다.. [6] ComeAgain1793 07/09/02 1793
29920 플스2를 구입할려고 하는데요~ [2] 초속5cm1774 07/09/02 1774
29919 의지박약 이거 참 곤란하네요 [2] 34561937 07/09/02 1937
29918 공군특기병 질문입니다 [3] 스타킹2115 07/09/02 2115
29917 적금에 대해서.. [1] funnyday1608 07/09/02 1608
29916 군대에 관한 여러가지 질문 [9] 삭제됨1819 07/09/02 1819
29915 컴퓨터 부팅이 안되는 문제 질문좀 할게요 [1] 베컴2071 07/09/02 2071
29914 ABC뉴스에 실린 탈레반 관련기사입니다. 이게 사실일까요?? [7] UUUUU2118 07/09/02 2118
29913 국민경선선거인단이 무엇인가요? 재기를꿈꾸며2130 07/09/02 2130
29912 부르마불을 잘하는 팁을 알려주세요. [18] 큰나무7927 07/09/02 7927
29911 건의 하나 할까 하는데요 [5] 큰나무1532 07/09/02 1532
29910 mp3 파일 호환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구라미남1808 07/09/02 18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