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11 08:56
밑에도 설명 드렸듯이, 복합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
서브 프라임 모기지 대출자들의 연체 확산이나 말씀하신대로 2005년부터 미국의 부동산 시장도 냉각 되었구요. (그동안 미국의 금리는 꾸준히 인상되었는데, 금리가 인상되면 실물경제는 정체,하락하기 마련이죠. 각국이 콜금리로 경제를 조정하는 이유입니다) 거기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투자한 헤지펀드(단기간에 높은 이익을 추구하는 펀드)들의 성격상 조금만 위험요소가 보여도 자금을 회수하려 들기 때문에 각종 펀드나 금융기관이 고객의 상환요구에 지급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그동안 투자했던 자산들을 매도하기 시작하고 그것이 연쇄적인 충격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예를들어,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투자한 A헤지펀드가 한국의 현대차 주식에도 투자했는데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의 부실로 인해 A헤지펀드 투자자들이 불안을 느껴 단체 환매요구에 나서면 A헤지펀드는 상환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의 현대차 주식을 파는것이고 또 현대차 주식이 떨어지면 현대차 주식에 투자했던 각종 국내외 기관들의 투자자들도 자금을 회수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연쇄적인 파급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물론 심리적인 불안감도 크게 작용했구요. 그리고 서브프라임 사태가 어느날 갑자기 일어난게 아니고 예전부터 위험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있었습니다. 그동안 세계경기가 상당히 좋았기 때문에 묻혀있던 것이고 위험이 현실화 되자 부각되는 것인데, 제 기억으로는 올해 초부터 이미 서브프라임 부실을 경고하는 기사를 본 것 같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