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20 09:32
저도 연예인 스포츠스타는 공인이 아닌줄 알았는데
솔로몬의선택이었나 하는 프로그램에서 이 문제를 다뤄줬는데 변호사 전원일치 공인으로 인정이더라고요.
07/09/20 12:34
공인의 사전적인 의미를 바꿀 때가 된 것 같습니다. 현재 일반인들 사이에서 널리 두르 쓰이는 '공인'은 유명연예인, 스포츠 선수를 포함하는 것 같네요.
07/09/20 13:38
저 역시 유명인과 공인을 구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 생각으로 연예인들이 좋지 않을 일을 저지른 후 "공인으로써.." 라고 시작하는것이 매우 거슬립니다;;
07/09/20 15:24
전 아니라고 봅니다.
연예인, 스포츠인은 그냥 대중들에게 알려진 인물에 불과합니다. 미국이나 유럽같은 경우는 이런 셀러브리티들에게 우리나라만큼의 도덕적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습니다. 공인들이라 함은 국민의 세금을 먹고사는 공무원, 국회의원 들이라고 정의해야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 개인적으로는 연예인들의 음주, 이혼, 뭐 기타등등 사람들에게 욕먹는 것에 대해 이해할 수 가 없습니다. 노래나 잘하고 연기나 잘하고 웃기기만 하면 됐지 뭐 그리 따지는지.....
07/09/22 01:12
리콜한방 님// 저도 공감. 어떤 분야든 자신이 속한분야에서 뛰어나면 되는걸 가지고 너무 완벽형 인간으로 만드려고 하더군요;; 물론 그런 스타들을 동경하는 어린이/청소년 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우려한거겟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