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11/14 04:13:25
Name 브랜드뉴
Subject 스타실력이 5년째 제자리입니다.

대학 1학년때였던 99년도부터 스타를 해서, 지금까지 하고있습니다.
물론 군대나, 유학등으로 중간에 많이 쉬기는 했지만, 여건이 되는 한 계속 하고 있구요,
2005년도 부터는 3년째 정기적(일주일에 한번쯤?)으로 하고있습니다. 스타를 같이 하는 친구놈들이 두명 있거든요 ^^;

스타팬이라 방송도 꼬박꼬박 챙겨봅니다. 2년전에는 연습생을 제외한 모든 프로게이머 이름을 다 알았었구요, 지금도
어지간하면 모르는 선수는 없습니다. 자연히 빌드도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왜 공방 승률이 40%도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 랜더머인데, 꼭 주종을 말하라고 하면 프로토스입니다. APM은 160-180정도 이구요.

2000년도쯤에는 승률 90%정도를 찍던 시절도 있었는데, 제작년부터 다시 하려구 하니 다들 너무 잘하더군요.
요즘은 1:1하면 이기겠다는 생각이 들지를 않습니다. 스타 실력을 체계적으로 올릴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알려주시면
꼭 해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aturday
07/11/14 05:42
수정 아이콘
요즘은 방송경기만 보고 트렌드 안다고 생각하시면 무리입니다.
ygosu.com 가셔서 추천리플레이란에 리플레이 보시고 감을 익히시는게 좋습니다.
그것도 많이하다보면 방송경기도 리플레이처럼 보이고 리플레이볼때 좀더 자세하게 보게되죠(같은 상황이 나오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하루에 3판이하정도 하시면 일단 생각하면서 하는게 중요합니다.
한판한판 졌을때 왜 졌지 생각하고 다음판엔 그 실수를 안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렇다고 리플레이를 꼭 다 안봐도 됩니다. 90퍼센트 이상이 내가 어떤 실수를 했는지 아니까요.
또 한판한판 집중력이 중요합니다. 스타도 대충하면 이길꺼 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마지막으로는 자신감과 긴장을 없애는게 필요합니다. 쫄지 않고 할거 하는게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방송경기에서 죽쑤는 프로게이머도 긴장을 많이해서 성적안나오는 분들도 많습니다.
07/11/14 06:12
수정 아이콘
기본기의 문제일겁니다. 암만 운영에 개념이 충만해도 게임을 그 정도밖에 안해서는 플레이에 센스가 부족할수밖에 없습니다.

왕년에 스타좀 했던 사람이랑 PvsP같은거 해보면 딱 티가 납니다. 꼭 손이 안 따라준다거나 물량이 안나온다기 보다는

일단 세세한데서부터 센스부족이 보입니다.

게임을 많이 하는거밖에는 답이 없습니다. 사실 요즘 트렌드 몰라도 승률이랑은 상관없습니다.
도라에몽
07/11/14 06:30
수정 아이콘
진짜 요즘 스타프로게이머 보면 센스가 대단들하져

많이 해보시는 방법뿐이 없을것같네요
진리탐구의기
07/11/14 07:37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 하는거랑 일반인이 하는거랑은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 맵부터 다르구요.. 거의 로템아니면 루나에서 하죠

전술도 조금 다릅니다..

예를 들면 방송경기 보면 플테전 같은경우 거의 리버 엄청 자주 나오잖아요?

공방이라면 걍 자신 없으면 안쓰는게 훨씬 난거 같습니다.

리버컨트롤이 쉬운게 아닌게 쉬프트도 이용해야 되고 랜/배틀넷의 반응속도 차이도 있죠
XiooV.S2
07/11/14 07:46
수정 아이콘
1주일에 한번은 현재 실력유지정도...
진짜 1주일에 딱 4일 아니 3일만 체널잡고 3시간씩 총 10판정도만 해도
한달뒤면 급이 달라집니다.
1:1 체널이나 하마치 사설서버 가셔서, 겜 신청하시고(진 게임 리플은 필수겠죠?ㅎㅎ) 겜하시고
친절하신분에게 방금 뭐가 문제였는지 물어보세요. 대답해주시면 포스트잇에다가 적고 모니터 옆에 붙여서
스타 방들어가전에 보고 고치고 보고 고치고 하면서 말입니다.
저같은경우 학원에서 알바 하는데 손님이 너무 없어서 스타를 했습니다.
4달동안 이렇게 했는데 아시아 공방->웨스트 명문클렌 -> 온라인 연습생 시험
멀리 살아서 좀 힘들었지만... 그리고 대입시험때문에 1년반정도 공부하고 얼마전부터 스타 하는데
요즘 다시 이렇게 하고있습니다.
다시 시작했을떄 피지투어 B+정도였는데 지금은 A-정도까지 올라가더군요.
결론은 공부나 스타나
예습(문제점지적)-풀기(게임)-복습(리플,매모) 반복하다보면 엄청 는 실력을 보실수 있을듯...
나이스후니
07/11/14 10:21
수정 아이콘
제가 군에 다녀온후 한동안 거의 매일 지고 살았습니다.
지금은 과거보다 손이 안따라 주더군요
그래서 생각하는 플레이를 많이 합니다.
프로게이머가 일반 유저와 다른게 그들은 상황에 맞는 운영을 하고
보통 유저들은 습관에 따른 운영을 한다는 점이겠죠
예를 들어 제가 플토이고 상대가 테란인데 앞마당을 먹고 가스를 안캐는게 보이면
4~5팩 빠른 조이기일 가능성이 크죠
그러면 탱크조금 모으고 벌처 2~3타임찍고 나오겠구나 그럼 추가멀티보다 게이트를 먼저 확보하는 플레이를 하고
아니면 테란이 멀티후 2~3팩에 동시 에드온을 달면
삼룡이까지 먹고 나온다는 걸 알수 있겠죠. 탱크를 최대한 많이 확보한다는 건 타이밍러쉬보다는 1-1업이나 아님
반땅싸움위주로 가는 플레이로 볼수 있겠죠
또 다른 예로 내가 테란인데 플토의 가스멀티를 저지한것과 미네랄 멀티를 저지할때 역시
전자일경우 드라군의 확보수가 줄어들수밖에 없으니 질럿을 뽑을 테고 그럼 벌처를 뽑아서 상대하고
후자의 경우 플토는 다시 멀티를 먹거나 아니면 조이기에 대한 대비로 지상군을 확충하거나
이렇겠죠
이런식으로 게임도중 계속 생각하는 플레이를 하는게 승률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저그의 경우 스포닝 완성후 라바를 모았다가 드론을 찍으면 상대는 아 저글링 뽑는구나 일단 방어유닛 뽑자
이런생각을 하겠죠? 근데 나오는 건 드론이면 심리전에서 앞서게 되는 거죠
학교다닐때 킹오브같은 오락실게임에서도 화려하게 연속기 쓰는 친구를 단타 기본기로 이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생각의 차이겠죠
그리고 일반베넷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 위주보다 매크로 방식의 게임운영이 더 유리하더군요
익스트라
07/11/14 10:29
수정 아이콘
공방승률 말씀이신가요. 공방 답이없죠. 맵핵천지. . .;

하여간 공방에서 놀라면 상대방이 맵핵을 켰더라도 그걸 뛰어넘는 실력이 갖춰져야 할 듯...
머 맵핵켜도 못하시는 분들이 많기도 하지만요; 빌드상 상성이라는게 꽤 크니...
스타는 세세함과 가끔씩 보여주는 센스가 큰 빛을 발휘하죠.
현상수배
07/11/14 11:13
수정 아이콘
일단 주종으로만 하심이...랜덤을 할께 너무 많아요..ㅠ.ㅠ
미라클신화
07/11/14 13:53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공방잘해야하죠.. 공방이 기본이죠 그리고 랜덤하시지말고 종족골라서 하시구요..
전 스타방송보기전에는 아마 엄청못했을겁니다만 방송보고 따라하고 감각익히니깐 잘되더군요
새벽녘
07/11/14 14:40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시간 많이 투자하셔야 실력이 늘겁니다.. 근데 스타에 투자할 시간이 정말 자신에게 필요한 것인지는 언제나 꼭 생각하시길
후루꾸
07/11/14 16:52
수정 아이콘
8년째 제자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327 삼성전자칸에 임태규 선수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이기자 용사4906 07/11/15 4906
31325 의경 지원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6] 視線3275 07/11/15 3275
31324 잠 잘오는방법 아시는분..... Unchain4579 07/11/15 4579
31323 의경 관련 질문입니다(아래에도 있긴 하지만-) [3] wizn1831 07/11/15 1831
31320 대학편입에 관련 정보가 있는 사이트를 아시나요? [1] Korsakoff's1730 07/11/14 1730
31319 의경 질문! [5] Adrenalin2526 07/11/14 2526
31318 의무 소방에 대하여 질문 올리겠습니다. [3] 불청객21856 07/11/14 1856
31317 컴퓨터 하드 디스크 질문입니다.. [1] 스터초짜~!2096 07/11/14 2096
31316 동대문 hello apm 에 대해서 급질문 하나만 더드릴게요;; [3] snut2119 07/11/14 2119
31315 늦 가을에 갈만한 mt 장소 추천해주세요^^;; [1] snut2138 07/11/14 2138
31314 수능시험보면서 초콜렛 먹어도 되나요? [7] non-frics2255 07/11/14 2255
31313 수능 치러 갈때 교복입고 가도 되나요??? [5] 꿈꾸는사나이2456 07/11/14 2456
31312 수능수험표 잃어버렸어요 도와주세요 [3] 죄송합니다2111 07/11/14 2111
31311 컴퓨터 본체 질문입니다.. [1] 스터초짜~!1589 07/11/14 1589
31308 경영학과랑 경제학과가 취업시 차이 있나요? [11] Left Alone8272 07/11/14 8272
31307 김철민 캐스터에 대해서 [2] 구라미남2137 07/11/14 2137
31306 오블리비언 확장팩 [1] nuzang1924 07/11/14 1924
31303 c++ 코딩 질문좀드립니다. [1] zeros1541 07/11/14 1541
31302 스타실력이 5년째 제자리입니다. [11] 브랜드뉴2152 07/11/14 2152
31300 통계학과에 대해 질문 좀 하겠습니다. [8] TheOthers2680 07/11/14 2680
31299 파이썬 전 스타팅의 입구막기를 올려주실 수 있나요? [3] 2498 07/11/14 2498
31298 스타를 켜면 화면이 까매져요.. 별빛2006 07/11/13 2006
31297 맛있는 치킨집 좀 추천해주세요 [16] 발업까먹은질3142 07/11/13 31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