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14 15:51
후에 지원하실 회사의 모집부문에 따라 다르겠죠.
성적이 충분하시다면 지방보다는 in 서울 하시는편이 부산대보다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07/11/14 16:02
일단 경제학과는 사회대가 아니고 상경계열이 맞습니다. 경제와 경영의 차이는 경제는 뿌리가 되는 학문이고 경영은 응용학문입니다.
경영을 가더라도 경제학 원론은 배우니까요. 그리고 어느 곳을 나오더라도 진로는 비슷합니다. 한국은행, 산업은행, 금감원, 행시 재경직 등을 선호하고요. 회계사, 일반은행, 증권사에도 많이 가죠. 물론 자기의 노력여하에 따라 달라 지고요. 저 위에 적으신 대학 중엔 역시 고대나 연대 아닐까요? 부산에 사신다면 부산대도 괜찮습니다. 부산권은 부산대 출신이 거의 다 장악하고 있지 않나요? 부산에 삶의 터전을 꾸리신 거라면 부산대도 좋겠네요.
07/11/14 18:21
아무래도 경영학과의 인기가 더 높죠. 위에 적으신 고려대나 연세대 역시 경영학과가 더 인기있는 학과로 알고 있습니다. 부산대도 경영학과가 더 높을 것 같습니다만..
하지만 제가 알기로는 상경계라고 하면 경제학과까지 포함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영학과는 좀 더 응용적이고, 진로가 다양하고 뭐 취업하기에 좋은 그런 학과다 보니 인기가 있는 게 아닐까 합니다.
07/11/14 21:04
성질이 많이 다릅니다. 경제학은 정말 순수 학문에 가깝구요.. 경영학은 회계 마케팅 등 매우 실용적인 학문입니다.
공부 방향은 다르지만. 나중에 취업할때는 비슷한 곳에 가게 됩니다. -_-;;; 솔직히 말씀드리면 걍 아무곳이나 가도 상관 없습니다... 본인의 취향의 문제일 뿐이지요. (수학 못해도 상관 없습니다. 나중에 학사 졸업하고 좀더 심도깊게 들어갈때는 모르겠는데.. 학사 수준에서는 수학이랄 것도 없음) 결론을 말씀 드리면 경재학이냐 경영학이냐는 취업시 차이 없습니다.. 대학 간판이 중요합니다.
07/11/14 23:53
부산대생으로써// 말씀드리자면, 부산대 상경계열은 전국에서도 알아줍니다.
현재 상경계열 순위만 따진다면 고려대>=서울대>서강대 요정도가 3파전을 형성하구요, 최근기사에서는 고려대가 교수업적부문 1위했습니다. 전통적으로 법대 상대는 고대가 강하지요. 고대하면 또 동문이 엄청나기 때문에, 서울대보다도 낫다고들 합니다. 서강대는 상대로 많이 뜬 대학인 만큼 많이 까다롭게 가르치고 기업에서도 좋은 이미지를 가진 대학이구요. 서울대는 걍 이름만으로도 ㅎㄷㄷ 이죠. 부산대는 부산 경남권 지방에선 걍 취직됩니다. 자기 눈만낮추면// 그리고 전통적으로 부산대는 70년대에는 서울대 부산대 연세대 고려대 순이였습니다만, 80년대에 수도권집중화가 이루어져 급몰락했지요. 그렇지만 동문의 힘은 막강하고, 10대대기업 승진률및 고위간부층에는 top3안입니다 또한 부산대자체에서도 요즘 상경계열을 엄청나게 밀어주다시피하고, 그 덕분에 전과경쟁률은 교내 최고를 기록할만큼 인기가 높습니다. 심심치 않게 세무사 CPA등의 어려운 시험 합격자가 나오니 부산대도 서울의 어중이떠중이대학보단 낫습니다만 객관적으론 고려대 서울대 서강대완 인지도면에서 차이가 납니다
07/11/15 19:24
상경계열 순위가 고대 >= 설대라뇨...아무리 고대 상대가 좋다고 하지만 그건 좀...
당연히 설대 > 고대 아닌가요;;;
07/11/16 02:07
고대>설대>서강대 라는건 생소하네요. 무슨 기준인지는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연세대 상경계열을 고려대보다는 높이 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07/11/16 16:27
2007년자 뉴스를 종합해보면 교수부분 고려대가 1위이고 서울대는 7위입니다. 기업선호도도 고려대가 1위 서강대2위 서울대 3위였구요 또 여러개가 많았는데, 생각이 잘 안나네요. 어쨋든 서울대도 이제 서울대라는 간판만으로는 힘들다는게 결론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