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14 22:28
혈압상승->자극->전달->부교감신경 심장으로->sa노드 저하->심박동저하->혈압정상으로
이름들은 그냥 이름과 기능을 외우시구요. 요는 혈압의 증가로 심장의 박동량을 조절하는 곳이 자극을 받아 부교감신경을 활성화 시켜서 박동량을 감소시키는 겁니다. 향상성을 위해서말이죠.
07/12/14 22:30
심박출량 증가 -> 혈압 상승 -> 대동맥활과 목동맥 팽대 부위의 압수용체 자극 -> 심장 중추(?)에 감각 자극 -> 부교감신경이 심장에 작용 -> 동방결절 억제 -> 심박수 감소 -> 혈압 정상화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일단 심장의 조절에 있어 압수용체(압력에 반응)와 화학수용체(산소와 같은 화학 물질에 반응)란 것이 있습니다. 이 flow는 어떤 이유로든 심박출량이 증가해 압력이 증가했을 경우 '압수용체'가 어떻게 심장에 작용해 혈압을 정상화 시키는지를 나타내주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