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11 04:09
길게 썼는데 날아가버렸네요...
일반인의 컨트롤은 공격적으로 가면 좀 손해가 나는 편입니다 수비적으로하는게 약간이나마 유리하고 성큰도 한개쯤은 짓는게 (9드론 성큰 이런거 말고 저글링좀뽑다가 약간 상대가 공격적인거같다..이러면요 상당히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뮤탈도 스커지잡는컨이 하기어려우니 초반엔 모으는게 중요하고 스커지도 따다딱하며 흩어지는게 일반인들은 어려우니 잘피시는게 좋겠죠 저저전은 많이지시면서 기본기를 닦으셔야합니다
08/01/11 07:03
저저전은 경험이 가장 중요합니다.
상대 상황을 모두 보고 있고 유닛도 저글링 뮤탈 밖에 안쓰기 때문에 (특수한 상황이 아닌이상) 다른 종족에 비해 변수가 적습니다. 기본적인 마인드는 상대보다 조금 유리하게끔 이끌어 상대를 유인하고 무리하지 않으며 그 상황에 맞는 정확한 상황 판단 입니다만 이 모든건 앞에서도 언급 했지만 수많은 경험에 의해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저전은 빌드로 인한 차이가 커서 빌드에서 이미 차이가 난 상황이면 타이밍만 잘 알면 대부분 승리 할 수 있습니다 . (어느때 공격을 할꺼냐 , 이 타이밍만 막아버리거나) 빌드가 팽팽한 상황이면 그때의 저저전은 줄타기 입니다. 드론 하나가, 저글링 하나가 승패를 좌우 하죠. (다 보는 상대 앞에서, 숨막히는 심리전이 바로 진정한 저저전이죠) 라바와 드론 정말 중요합니다. 절대 함부로 방어타워를 지어선 안되고 라바 또한 함부로 저글링으로, 드론으로 막 뽑아 버리면 안됩니다. 또한 병력 한타 싸움도 정말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저저전의 싸움은 바로 드론싸움입니다. 언제 드론을 찍어 째느냐 , 어떡해 상대의 드론을 죽일것이냐, 내 드론을 보호 할것이냐 한 끗 차이 저저전인 만큼 기본적으로 이것이 승부처죠.
08/01/11 09:28
일단 빌드에서 앞서나가는게 좋겠구요 절대~ 드론욕심 내면 안됩니다 무조건 저글링저글링
팽팽한 상황에선 방어타워도 안되고요 개인적으로 저그대저그의 핵심은 저글링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저글링 몇마리 빼돌려서 본진습격하는 부지런한 플레이를 꾸준히 해주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08/01/11 15:07
그리고 저글링 싸움을 어느정도 하면서 서로 레어를 간 뒤 뮤탈싸움을 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스커지 운영에 있어서는 스커지가 한부대가까이 혹은 더 많이 될 떄 6~0번을 전부 스커지로 지정해놓으면 굉장히 베넷에서 편합니다. 6번은 스커지 전체 7번은 스커지 일부 8번은 그 중 일부 9번은 그 중 일부 로 하시면 6,7,8,9 딱딱 눌러주면서 바로 뮤탈에 찍어주시면 스커지 컨트롤에 손이 좀 덜가거든요.. 실제로 프로게이머 분들 중에 이렇게 하는 분도 있는걸로 압니다. 그리고 뮤탈은 3마리만 되면 스커지 잡는 컨트롤 하기 쉬워요. 이건 마우스 찍는 정확도만 올리면 되니까 열심히 해보셔요.
08/01/11 20:22
저저전은 눈치껏째고 눈치껏치는게 중요하죠...(말은 쉽지...)
빌드가 비슷하고 둘다 오버로드로 보고있다고 가정할경우 상대가 12저글링이 달려오더라도 본인이 10저글링을 유지하다가 그걸보고 2~4저글링을찍어도 저글링이 오는동안 충원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저글링숫자를 절묘하게 맞추면서 드론1기라도 더 째고.... 혹은 상대방 기지근처에 저글링2기쯤을 숨겨둿다가 오버로드로 상대 저글링이 나오면 드론털러 가는것도 해야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