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2/10 13:25:12
Name vocal
Subject 방에 외풍이 있습니다.
집은 산밑에 자리잡고 있구요 남향입니다.

제방은 거실에서 북쪽으로 위치해있구요.

문을 닫으면 햇볕은 북쪽에있는 창문으로만 들어옵니다.

근데 그 창문때문에 외풍이 너무 심하네요.

방에 난방을 어느정도하고 트레이닝복을 입어도 살짝 추울정도입니다.

외풍을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라야마토
08/02/10 13:28
수정 아이콘
커튼이 최곱니다//
최종병기캐리
08/02/10 13:47
수정 아이콘
외풍이 생기는 원인은 여러개가 있습니다.

1. 창호의 잘못된 설치.
창호는 설계시 기밀성을 확보하게 설계되나 설치시에 창틀과 벽을 충진재(우레탄)으로 채우게 됩니다만 이를 충분히 하지 않을 경우 벽과 창틀사이의 틈으로 외풍이 생깁니다. 이는 어쩔-_-수 없습니다. 다시 창호를 설치하는 방법밖에는.....
임시방편으로 커튼등을 쳐서 어느정도 막을 수는 있습니다.

2. 창호의 변형.
창틀과 창짝은 기밀성이 있으나 노후되거나 파손이 생기게 되면 창짝에 변형이 생겨 외풍이 생깁니다. 문풍지등으로 창틀과 창짝사이를 충분이 메꾸어 주시면 어느정도 외풍이 감소합니다.

3. 유리의 저온복사로 인한 콜드드래프트.
유리의 열전도로 인해 유리자체의 온도가 낮아지고 저온의 복사열을 내뿜습니다. 이에 재실자가 차가운 기분을 느끼게 됩니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옷을 긴팔을 입거나, 유리를 로이유리, 혹은 복층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단창.
단창의 경우 복층유리나, 이중창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집니다. 최근 무리한 발코니 확장으로 인해 외부에 직접 노출함에도 불구하고 단창으로 창호를 마감하는 곳이 많은데 단열에 치명적입니다. 빨리 이중창이나 복층유리로 바꾸길 바랍니다. 특히 발코니 확장의 경우 이중창이 최고입니다.

5. 시스템창호.
최근 시스템창호를 많이 사용하는데, 잘못된 사용을 많이 합니다.
그냥 닫기만 하고 잠그지 않는 것이 그 예인데, 시스템창호는 잠금을 하지 않는 경우 기밀성이 떨어집니다. 시스템창호의 경우 창을 닫을때에는 잠그시길 바랍니다.

복층유리 : 페어글라스라고 하며 유리-중공층-유리 의 구조로 된 창.
이중창 : 창문이 4개 달려 있는 - 한쪽에 두개씩 - 창문.


짧게 요약해서
문풍지 붙여보고, 커튼쳐보고, 창문 잘 잠궈보고.... 그래도 안되면 창문을 바꿔라.

PS. 창호는 KCC (죄송..하지만 저도 먹고 살아야....)
설탕가루인형
08/02/10 14:17
수정 아이콘
최종병기캐리어님// 와우~ 전문가적 지식인데요?
라고 쓰려고 보니 진짜 전문가시네요. 후덜덜 :)
최종병기캐리
08/02/10 14:24
수정 아이콘
설탕가루인형님// 미숙하지만 이쪽 일을 하고 있어요..K모연구소에서 창호개발을 하고 있지요.
웨인루구니
08/02/10 14:41
수정 아이콘
덜덜덜.. pgr지식인
베넷아뒤짱
08/02/10 15:05
수정 아이콘
제가 있는 관사도 외풍이 심해서 고민하다가 관사를 제돈으로 바꾸긴 너무 아깝고 해서

옥션에서 외풍차단용 비닐이있어서 그걸 붙였더니 효과가 엄청 나더군요.

창문전체를 가려서 문을 열수없다는 단점은 있지만 추위와 바꿀만합니다.
08/02/10 15:08
수정 아이콘
외풍해결이 정 힘들다 싶으면 침낭 추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819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2] 가을의전설1610 08/02/10 1610
33818 수학 질문입니다. [1] 04292155 08/02/10 2155
33817 누워서 잘때 [11] 루트1860 08/02/10 1860
33815 방에 외풍이 있습니다. [7] vocal2466 08/02/10 2466
33814 곰플레이어 캡처관련 [2] 루트1965 08/02/10 1965
33813 컴퓨터 CPU, 케이스, 모니터 추천해주십시요. [2] 태엽시계불태1834 08/02/10 1834
33812 고등학교 입학 선물.. 중지갑 질문입니다.. [3] Sports_Mania2222 08/02/10 2222
33811 블랙헤드 제거에 좋은 제품 추천좀... [2] Wr.C-YuJI2224 08/02/10 2224
33810 경제학 동영상 강의 질문이요! [2] Dawin^^V2159 08/02/10 2159
33809 취업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2] ☆강희최고★2101 08/02/10 2101
33807 3.3 혁명을 넘어설 피지알 평점이 나올려면 어떤 경기가 나와야 될까요? [14] 포셀라나2130 08/02/10 2130
33805 폴스미스나 발리, 페라가모 같은 지갑 어디서 구할 수 있죠? [8] Ms. Duff2703 08/02/10 2703
33804 컴퓨터 견적 질문 다시한번만요;; [7] 민최강2145 08/02/09 2145
33803 애인과 하루에 전화통화 얼마나 하세요? [26] 용호동갈매기2778 08/02/09 2778
33802 컴퓨터를 살려고 하는데요 [5] 아주큰행복1497 08/02/09 1497
33801 하드디스크 파일 삭제와 복원에 대한 질문입니다. [2] 멋진놈2098 08/02/09 2098
33800 술에 관한 질문입니다. [9] LSY1744 08/02/09 1744
33799 남자대학생가방 추천좀 부탁합니다. [2] 멋진놈6350 08/02/09 6350
33798 영어 질문입니다... [5] 웨인루구니1957 08/02/09 1957
33797 컴퓨터 어떻게 사는게 좋을까요? [7] megalomania2133 08/02/09 2133
33796 최연성 선수의 극강의 수비력을 보여준 경기 추천 바랍니다. [14] 삭제됨2082 08/02/09 2082
33795 귀걸이 부작용으로 혹시 귀볼 뒤쪽에 혹같은거 나셔보신분 계신가요? [8] 소주는C12802 08/02/09 2802
33793 블루스톰 1시 vs 7시 [3] Hobchins1939 08/02/09 19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