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4 21:11:22
Name meson
Link #1 https://www.mogef.go.kr/kor/skin/doc.html?fn=ff01f5d4a9ed49979f7d8e740c7e8d4a.pdf&rs=/rsfiles/202505/
Subject [일반] 구조적 성차별에 관한 합리적 근거란 존재하는가? (수정됨)
여성이 사회적 약자라는 주장과 관련하여 흔히 인용되는 지수가 있습니다. WEF의 성격차지수입니다. 여기에 이코노미스트의 유리천장지수가 함께 활용되기도 하죠. 반면에 UNDP의 성불평등지수는 여성이 사회적 약자가 아니라는 주장과 관련하여 각광받습니다. 

실제로 확인해 보면, 한국은 2024년 성격차지수가 0.696점으로 146개국 중 94위이며, 2024년 유리천장지수가 29개국 중 28위이며, 2023년 성불평등지수가 0.038로 193개국 중 12위입니다.
https://www3.weforum.org/docs/WEF_GGGR_2024.pdf
https://www.yna.co.kr/view/AKR20250306079900009
https://hdr.undp.org/data-center/thematic-composite-indices/gender-inequality-index#/indicies/GII

이중 마음에 드는 것은 단연 성불평등지수인데, 통시적으로 보면 과연 한국의 성평등 수준이 매우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5-05-24-16-16-22
그런데 이처럼 한국이 선진국 수준의 여성 인권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여성이 사회적 약자라는 이야기가 자꾸 나오는 것은 당연하게도 성격차지수유리천장지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지수들이 계속 발표되기 때문에 한국에서 여성이 구조적 차별을 받고 있다는 주장이 여전히 생명력을 잃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물론 WEF나 이코노미스트가 UNDP보다 조사 실력이 없어서 발생한 것은 아닙니다. 조사한 지표가 다르기 때문이겠죠.

유리천장지수는, 이코노미스트 기사(유료)를 보도한 위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임금격차·관리직 여성 비율·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여성의 의회 진출 비율 ] 등을 지표로 사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 구성은 성격차지수도 일부 공유하는데, 전체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05-24-19-07-44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성격차지수유리천장지수와 달리 교육성취도와 건강/생존 항목을 점수 산정에 포함시켰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교육성취도와 건강/생존은 한국 여성들이 잘 제공받는 분야이기 때문에 한국의 점수도 더 높게 나오게 됩니다. 앞에서 2024년 유리천장지수는 29개국 중 28위로 최하위였던 반면 2023년 성격차지수는 146개국 중 94위로 조금 나았던 까닭은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격차지수는 건강/생존 항목을 출생 성비와 건강기대수명으로만 제한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탁월한 여성인권 보장이 덜 드러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런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성불평등지수의 지표 구성인데, 전체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05-24-19-12-37
위를 보면, 성불평등지수에서는 ‘중등학교 이상 교육받은 비율’을 점수 산정에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모성사망비도 포함하며, 무엇보다 청소년 출산율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격차지수는 고등교육 취학률도 보았지만 성불평등지수는 중등학교까지만 보며, 성격차지수는 여성의 기대수명에 집중한 반면 성불평등지수는 임신·출산으로 사망하는 경우에 집중하며, 성불평등지수에서 새로 등장한 항목인 청소년 출산율은 그야말로 한국이 가장 잘 관리하는 지표라서 실제로도 193개국 중 1위를 차지합니다. 

결국 성불평등지수는 성평등과 관련하여 언급되는 여러 국제지수 중 한국의 장점이 최대로 반영되는 조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점 때문에, 여성이 사회적 약자라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성불평등지수를 구성하는 [ ‘중등학교 이상 교육받은 비율’·모성사망비·청소년 출산율 ] 등을 가지고 논지를 펴는 법이 잘 없습니다. 대신에 유리천장지수에서 중시되는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임금격차·관리직 여성 비율·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여성의 의회 진출 비율 ] 등을 근거로 여성이 구조적 차별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곤 하죠.

유리천장지수성불평등지수의 중간(?)인 성격차지수를 보면, 과연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임금격차·관리직 여성 비율·여성의 의회 진출 비율·여성 장관 비율·여성 국가원수 통치 기간 ] 등의 지표는 한국이 불리합니다. 그러나 [ 전문/기술직 여성 비율·여성 문해율·여성 취학률·출생 성비·건강 기대 수명 ] 등의 지표에서는 한국이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치·경제적으로만 보면 양성 간의 차이가 조금 부각되지만, 교육·건강의 측면에서는 성차별이 거의 없이 양질의 혜택이 고루 제공되고 있는 것입니다.
2025-05-24-17-15-56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서 이런 질문을 던져볼 수 있습니다. 과연 [ 여성의 소득수준이 적고, 여성 관리직이 적고, 여성 정치인이 적고, 여성 국가원수가 최근 50년 동안 4.73년만 통치했다고 해서 ] 한국의 여성들이 구조적인 차별을 받고 있는 것일까요. 단순히 통계상의 여성 비율이 적다고 해서 반드시 구조적인 차별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성들이 소득수준이 낮은 일자리에도 비교적 잘 만족하거나, 관리직 승진 경쟁에 덜 뛰어들거나, 정치인이 되기를 덜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득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원하고, 관리직이 되고자 경쟁하고, 정치적 야망을 가지리라는 것은 오히려 남성 중심적인 편견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여성들 중에서도 소득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원하고, 관리직 승진 경쟁에 뛰어들고, 정치인이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사람이 꿈을 이루기 위해 꼭 해당 분야에 여성 숫자가 많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남초 분야라고 해서 반드시 여성을 기피하지만은 않고, 그런 배제가 불합리하게 발생한다면 현 제도상 제재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논의를 인정할 수 있다면, 한국의 여성들은 교육·건강의 측면에서 남성과 거의 평등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적으로도 반드시 약자인 것은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생각을 아무리 많이 주장하더라도, 결과적으로 해당 분야에서 여성 비율이 낮으면 어쩐지 구조적 압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 십상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WEF와 이코노미스트 등이 계속 위와 같은 지수를 생산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와 반대되는 자료를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컨대 여성들의 직업 선택이 남성과는 다른 논리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주장을 학술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면, 현재 세계 각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시행되는 여성할당제와 가산점 등을 백지화할 명분도 생길 것입니다.

다만 저는 아직 그러한 자료가 발표되어 다수 전문가들의 인정을 받았다는 정보는 접하지 못했습니다. 2022년 대선에서 여성가족부 폐지 논란이 불거졌을 때도 접하지 못했고, 근래에 개혁신당이 만들어졌음에도 관련 연구를 했다는 소식은 듣지 못했는데요. 아직까지 대선후보 토론에서조차 여성들이 구조적 차별을 받고 있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는 것은 이러한 반대연구의 미비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러나 여성정책에 반대하는 집단은 대부분 이성적·합리적이고 과학적 방법론을 잘 익혔을 것으로 기대되니, 어쩌면 머지않아 한국에서 관련 자료가 나와 세계에 파급될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마침 오늘 여성은 사회적 약자가 아니라는 주장이 강하게 개진되는 것을 보니, 이런 글을 쓰면 혹 그러한 자료의 존재를 알려주시는 분이 나올지도 모르므로, 이렇게 몇 자 적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5/24 21:19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지나가면서 본 글에 자동차를 만드는 나라는 성평등지수가 낮게 나온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말하자면 제조업 기반이 탄탄한 나라는 그런 영향을 받는다는 요지였죠.

한국에서 남자가 힘든 이유는 군 입대와 결혼 시 집 장만하는 문화 때문이 크죠.

누가 대통령이 되든 역차별 없는 양성평등이 이뤄졌으면 좋겠네요.
다크서클팬더
+ 25/05/24 21:21
수정 아이콘
여성학(?) 연구 자체의 질적 문제야 늘 제기되는 것이지만, 더욱 문제되는 것은 학계든 현장이든 생활에서든 이들의 연구나 실 정책에 대한 다각적인 피드백이 안 보입니다. 조금만 이야기하면 바로 오만군데서 압박이 들어오니까요. 학계의 권위를 이용하더라도 귀찮아서 눈독 들여봤다가 포기하는 분들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 25/05/24 23: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맞습니다. 간단히 말해 이미 답이 정해져 있고, 그 방향으로만 연구합니다. 차별? : 당연히 여성이 피해자이며, 여성이 피해자인 분야와 데이터를 수집하죠. 그리고 당연히 여성'만' 피해자로 귀결됩니다. <여성이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이었던 분야에서 얼마나 평등한가>는 연구되지만 반대로 <남성이 전통적으로 여성의 영역이었던 분야에서 얼마나 평등한가>는 별로 다뤄지지 않습니다.

ㅡㅡㅡㅡㅡㅡ

페미니스트 : 여성과 남성은 같아야 한다

<남성이 돈을 더 번다? : 고로 여성은 차별 받는 존재>

<매춘여성? : 모든 매춘여성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결국 사회의 구조적 차별에 의한 피해자이다. 왜? 여성은 대상화되어 있으니까>

똑같이 남성에게 적용해볼까요?

<남성이 돈을 더 번다? : 왜 남성은 돈을 더 벌기 위해 노동을 더 하는가? 왜 남성은 돈을 더 벌기 위해 더 위험하고 힘든일을 하는가? 그래서 왜 남성은 산업재해율과 사망 사고율에서 항상 여성보다 앞서는가?>

페미니즘의 답변 : 그것은 남성이 자발적으로 돈을 더 벌기때문이며 사회적으로 남성이 돈을 더 벌 수 있는 구조기때문

그렇다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구조적이든 비구조적이든 남성은 돈을 더 벌기위해 대상화된 존재이므로 마치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매춘부가 된 여성과 같은 것 아닌가?

패미니스트 : 남성과 여성은 다르다

ㅡㅡㅡㅡㅡㅡ

지금까지의 한국 페미니스트 세계의 논리 도식은 위의 순환이 거의 전부였습니다. 물론 " 아니다, 세상엔 남성도 여성처럼 피해자다"라는 말을 하는 페미니스트들과 연구도 있다, 라고 말하겠죠.

하지만 적어도 그런 연구와 페미니스트들이 주류였던 적은 없었습니다. 그것은 지금도 마찮가지고, 페미니즘 세계에 조금이라도 발을 들여본 사람이라면 그 세계가 어떤 세계인지 금방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한국 페미 세계는 단순해요. 그냥 여자가 약자, 피해자가 되어야만 하고, 남자는 강자, 가해자가 되어야만 합니다. 그게 한국 수준에서 장사가 되며 설득이 되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습니다. 나머지 징그럽게 복잡한 계열들과 논쟁들은 한국 페미니즘 세계에서 단지 사이드거나 장식이거나 빠져나갈 구멍을 위한 빌드업이거나, 대외용 프로파간다거나, 뭐 그런 것들이었죠. 솔직히 제가 이렇게 단순하게 말한 것보다 더 단순한 세계입니다. 다만 그 안을 자세히 들여다볼 수록 치열하게 엉켜있기때문에 구분하기 힘들뿐,결국 결론은 언제나 '단순하게' 정해져 있었죠
전기쥐
+ 25/05/24 21:28
수정 아이콘
박근혜의 당선은 박정희의 딸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가부장적인 독재의 분위기를 입증하는 것이지만, 통계적으로는 오히려 여성 인권에 우호적인 데이터로 잡히겠죠.
+ 25/05/24 22:20
수정 아이콘
뭐 박근혜는 실제로도 여성운동 세력 일부의 지지를 받기도 했던 것으로 압니다.
전기쥐
+ 25/05/24 23:57
수정 아이콘
뭐 갖다 붙이면 나름이긴 한데, 박근혜의 성장 스토리를 보면 여성 인권과 박근혜의 당선의 상관관계에는 의문이 들 수밖에요.
솔로몬의악몽
+ 25/05/24 22: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여성에 대한 구조적 성차별이 있을 리 없다는 것은, 어지간한 페미니스트 아니면 동의된 사항 아닌가 싶습니다
+ 25/05/24 22:21
수정 아이콘
2030 남성 사이에서는 그럴 것 같기도 하네요.
전자수도승
+ 25/05/24 22:27
수정 아이콘
뭐 100% 동의까진 아니겠고 일부는 존재할 수도 있겠죠
그런데 그 구조적 성차별이라는게 직업별로 갈리는 상황이라서 오히려 남성이 차별 받는 구조적 문제도 존재할 거구요(ex:유치원 교사)
여성주의자들의 문제점은 바로 이런 지점에서 드러나는 거죠
걔들은 남성 또한 차별 받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든요
강남역 살인사건 당시 "남성혐오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라는 말을 어중이 떠중이가 아니라 대학교수가 카메라 앞에서 입에 담을 정도로 저 "업계"(그걸 학문이라 칭한다는 사실 자체가 학문에 대한 모욕이라고 봅니다)는 기괴하게 뒤틀려 있으니까요
솔로몬의악몽
+ 25/05/24 22:31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생각하신 말씀이 맞는데, 제가 너무 말을 너무 너무 간략화하여 툭 던진 것 같습니다. 전자수도승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Pelicans
+ 25/05/24 23:22
수정 아이콘
여성은 더이상 사회적 약자가 아니다 라고 단정할 수 있는 그 자신감에 할 말을 잃었습니다.

공정과 상식을 그렇게 좋아하면서 '공정' 이 뭘 의미하는지 전혀 모르는거 같아요.
남성들이 병역으로 인해서 피해가 발생하면 그 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해 병 월급도 인상하고 제대후 사회 적응도 돕고 가산점은 어렵더라도 호봉합산 같은 방식으로라도 구조적인 차이를 줄여야 하겠고, 여성들도 임신 출산 육아 같은 이벤트로 인한 경력 단절 같은 구조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피해를 완화시키는 정책들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안심 주택 내놔. 망고빙수 사먹게 1억만 쏴주세요 같은 정신 나간 사람들이 물론 있습니다만, 구조적 차이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으면 좋겠어요
+ 25/05/24 23:33
수정 아이콘
그런 면에서 이재명 후보가 군복무 크레딧, 군호봉 의무반영 추진하는 취지는 좋다고 봅니다. 군가산점이나 여성할당제처럼 직접적인 피해자가 생기는 우대 정책보다는 이런 방향으로 군인도 지원하고 경력단절도 지원해야죠.
+ 25/05/25 00: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구조적 차별 물론 존재하지요. 당연히 병역이 압도적으로 가장 크고요. 이건 여성징병을 도입하는게 가장 '공정한' 해결책이고 실제 도입한 나라들도 있지요. 그게 안된다면 병역 혜택이 미필에 비해 너무 좋아서 여성 스스로 징병을 원할 수준이 되어야지요. 그게 아니면 공정하지 못한겁니다. 물론 그것만 있는게 아니고 자잘(?)하게 더 있습니다. 제도적으로 비례1번은 여성으로 할당시킨다던지, 여대정원으로 인해 수도권 대학 진입, 전문직 진출 난이도가 더 낮다던지, 교수 임용도 여성 쿼터가 대놓고 있고. 1인가구 정책은 여성 위주가 많다던지.
어떤 제도가 남성을 더 유리하게 만드나요? 뭐 하나라도 있긴 합니까? 없는 것 같은데. 예시 못드실걸요. 임금차이야 제조업 위주의 국가에서 당연하게 생기는 것이고요. 업계특성상 여성이 버티기 힘든 직군들이야 있는데 그렇다고 제도적으로 막는건 없어요.
이재명 후보 다른건 모르겠는데 구조적 차별을 받는 주체에 대한 인식이 대단히 잘못되어있습니다.
+ 25/05/25 00:22
수정 아이콘
[여성들이 소득수준이 낮은 일자리에도 비교적 잘 만족하거나, 관리직 승진 경쟁에 덜 뛰어들거나, 정치인이 되기를 덜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득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원하고, 관리직이 되고자 경쟁하고, 정치적 야망을 가지리라는 것은 오히려 남성 중심적인 편견일 수 있는 것입니다.]

뭔가 본문의 이 서술을 보니 참 뭐라 어떻게 말해야 할 지 모르겠는데요......
극단적 페미니즘을 경계해왔던 제가 보기에도 이건 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위와 같은 서술의 근거는 있는 건지 여쭤보고 싶네요.
+ 25/05/25 00:36
수정 아이콘
가능성 차원에서 적은 것이라 근거는 따로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성별 간에 직업 선호도 차이가 존재한다는 설문조사는 아마 간간히 나오는 걸로 들었는데, 문제는 그게 사회적 압력 때문인지 유전적 성향 때문인지 불분명하고, 또 뭐 유전적 성향 때문이라도 자연주의의 오류를 범하지 말라고 일갈이 나올 수 있겠죠.
+ 25/05/25 00:41
수정 아이콘
동감입니다. 위에 말씀해주신 것처럼 저도 [그러한 자료가 발표되어 다수 전문가들의 인정을 받았다는 정보는 접하지 못했습니다.]거든요.

저는 아래 글에서 어떤 갈라치기는 되고, 다른 갈라치기는 안 된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혹시나 합리적인 근거가 있는가 했네요.
무한의검제
+ 25/05/25 00:51
수정 아이콘
아래 글이라면 제 글을 말씀하시는 듯 한데,
제 글에 대한 얘기는 제 글에서 하셔야죠.
여기서 엉뚱한 글쓴이에게 그걸 묻는건 좀 이상하네요.

제 글에서 나름의 합리적 근거는 제시했습니다.
+ 25/05/25 00:55
수정 아이콘
아 네 뭐.. 좋은 밤 되세요.
무한의검제
+ 25/05/25 00:57
수정 아이콘
정작 제 글에서는 저와의 논쟁을 피하셔놓고
여기서도 이러시는군요.

굳이 이 글에는 원래 댓글을 안달려고 했었는데
보다보다 기가차서 댓글 썼습니다.

저에게 할말이 있다면 제 글에서 하세요.
정작 제 글에서는 저와의 논쟁을 피하시지 않았습니까.
그래놓고 왜 여기서 저격하십니까?

제 글에 불만이 있다면 제 글에서 제 글의 내용에 대해 반박바랍니다.
+ 25/05/25 02:02
수정 아이콘
왜 굳이 피곤하게 다른 글타래까지 쫓아와서 댓글다시는지 모르겠군요.

뭐 굳이 찾아오셔서 싸움을 거시니 말씀드리자면,
지금의 현실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는 개인의 생각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저는 굳이 논쟁을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내가 경험하는 현실에 대한 해석과, 다른 사람이 경험하는 현실에 대한 해석은 다를 수 있으니까요. 그건 그려려니 해야겠죠.
때문에 무한의검제님께서 경험하는 현실, 그리고 그에 기초한 논지전개를 놓고 싸울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본인이 그렇게 경험하고 있다는데, 제가 [당신의 경험은 틀렸어]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으니 말이죠.

제가 그보다 신뢰하는 것은 [통계], 그리고 통계에 대한 수리적인, 그리고 저보다 그 분야에 깊은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
물론 저야 법은 그나마 좀 아는 편이긴 하지만(그리고 그나마도 정확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나머지 분야에 관한 깊은 지식이나, 관련 영역에서의 경험은 없으니 말이지요.

애초에 무한의검제님께서 경험과 (본인이 겪으신) 현실에 기초한 논지를 전개하셨기 때문에 반박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정확한 통계와, 전문가의 인사이트에 기반한 논지를 전개하신다면 저도 깊게 읽어보고 생각을 바꿀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지금처럼 [내가 생각하기엔 이렇다] 라고 하신다면, 전 여전히 논쟁할 필요를 느끼지 못합니다.
본인이 그렇게 경험하고, 그에 따라 결론짓겠다는데, 제 얄랑한 댓글로 생각이 바뀔거란 생각은 안 들거든요.

본인 자신의 글에서 논쟁을 마무리하시면 좋겠습니다.
굳이 싸울 생각없는 사람이, 다른 글에 단 댓글까지 쫓아와서 싸움을 거는 게 꼭 누구 같아 보이네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08
수정 아이콘
전혀 다른 글에서 제 글을 소환하고 제 글을 저격하신 것은 님이십니다. 제가 댓글을 단 것도 그래서고요.

그리고 통계 말씀하셨는데
https://www.pewresearch.org/social-trends/2013/03/14/modern-parenthood-roles-of-moms-and-dads-converge-as-they-balance-work-and-family/

이 자료를 보면, 여성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일자리의 형태를 물었을 때,
풀타임 근무를 원한다고 답한 여성은 23%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반면에 파트타임은 53%, 아예 일하고 싶지 않다고 답한 여성이 23%였죠.

그리고 행복도에 대해서 물어봤을 때
일을 하고 있는 사람보다 일을 하고 있지 않은 여성쪽에서
행복하다는 비율이 훨씬 높았습니다(45%).


이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남성들은 직업을 통해서 위로 올라가기를 원하는 비율이 여성보다 훨씬 더 높다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고위직의 남녀 비율차이로 나타나는 거겠죠.

이런 통계는 인정하실지 모르겠네요.
+ 25/05/25 02:16
수정 아이콘
제목부터가 "Roles of Moms and Dads Converge as They Balance Work and Family"인 통계를 놓고 이야기를 전개하시면 웃음만 나옵니다. 엄마들이 양육에 있어서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니 파트타임 잡을 선호할 수 있죠. 그런데 그게, 그러므로 여성을 갈라치기해도 되고, 낮은 일자리에도 만족한다는 근거가 되는 건가요? 반대로, 양육에 대한 책임이 아버지에게 주어지는 사회라면 어떤가요? 그 경우에도 동일한 해석을 관철할 수 있는 건가요?

물론 현실적으로 대다수의 사회에서는 자연스럽게(?) 양육에 대한 책임을 여성들에게 더 부여하고 있는 것이야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지요. 그런데 현실이 그렇다고 해서, 정책의 방향성 또한 현실에 부합하면 충분하다는 식의 논의도 충분하다고 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그런 논의대로라면 노예제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을 것이고, 노동자들은 12시간 이상 노동하면서 빨랫줄에 매달린 채 잠을 청하는 세계가 이어졌겠지요.

무한의검제님의 세계관과, 타인의 세계관은 다를 수 있는 겁니다. 왜 본인의 해석만이 진실이라고 우기시는지 모르겠군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는 세계관도 있을 수 있고, 나름의 논리적 정합성이 있을 수 있음은 인정하셨으면 합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18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네 그런 근거가 됩니다.

양육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떠맡는것은 여성들입니다.
그렇게 되는 이유는, 여성들이 가정의 생계를 떠안기보다는 생계에 대한 책임을 남성에게 넘기고
자신은 가정을 돌보거나, 둘을 병행하는것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것은 제가 첨부한 리서치 결과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 25/05/25 02:23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그거야 무한의검제님 해석이죠. 통계가 현실에 순응한 결과인지, 아니면 정말 여성들이 그렇게 생각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렇게 나타나는지를 거시기 달린 남자들이 쉽게 받아들이면 안 되는 문제 같은데 말이죠.
무한의검제
+ 25/05/25 02:24
수정 아이콘
烏鳳 님// 정말 그렇게 생각하니까 그런거겠죠.
여성들 자신이 남성의 경제력을 가장 선호한다는데
무슨 현실이 어떻다든지 속내는 다를수있다든지 하는건 오히려 님이 무리한 자기 자신의 해석을 억지로 껴넣는 느낌입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14
수정 아이콘
https://www.newsis.com/view/NISX20221219_0002128528

또한 이런 통계도 있죠.

결혼상대를 고를 때 마지막까지 포기하지 못하는 조건,
즉 가장 중시하는 조건으로 남자는 여자의 외모를 꼽지만
여성은 남자의 경제력을 가장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통계에 의한다면
여성은 자신보다 일반적으로 더 경제력이 좋은 남성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그냥 전세계의 여성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죠.

그런데 여성들이 그런 기호에 따라 결혼을 하게 된다면
당연히 사회적 성취보다는 그냥 자신의 안정적인 생활??에 포인트가 가게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여성들이 소득수준이 낮은 일자리에도 비교적 잘 만족하거나, 관리직 승진 경쟁에 덜 뛰어들거나, 정치인이 되기를 덜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득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원하고, 관리직이 되고자 경쟁하고, 정치적 야망을 가지리라는 것은 오히려 남성 중심적인 편견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어느정도 증명이 된다는 것이죠. 실제로 중점을 두는 가치면에서 남자와 여자는 다르다는 겁니다.
+ 25/05/25 02:19
수정 아이콘
그렇게 따져보자면 사회적인 압력이라는 요소도 고려해야지 않을까요? 저는 샷타맨이 꿈이었습니다만 불행하게도 이를 실현하지 못해서 직업인으로 살고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더 경제력이 좋은 남성을 선호하는 현상] 자체가 과연 사회적인 압력과 무관한 문제인지도 따져봐야 할 듯 한데 말입니다. 실제로 제 주변에서 변호사 타이틀을 달고 홀로 지내는 골드미스 여성들도 이런 해석에 동의할지는 극히 의문이군요.

사회적인 압력에 순응한 이들에게는 맞는 이야기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데 그런 압력에 저항하는 사람들이 있는 경우, 그들에게도 똑같이 이야기하실 수 있는 건가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20
수정 아이콘
烏鳳 님// 결혼상대를 선택하는데 어떤 사회적인 압력이 있나요?
결혼상대를 정하는것은 본인의 자유입니다.

스스로 자신의 자유의지에 의해 결혼상대를 고르는 것인데
거기에 대해 사회적 압력을 거론하시는것은 매우 이상해보입니다.

더군다나 저 설문조사결과는
자신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배우자의 조건에 대한 조사입니다.

말그대로 '이상적', 가장 선호하는 조건에 대한 이야기죠.
이것은 100% 자신의 기호가 반영된 것이지 사회적 압력과는 상관이 없어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23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당장 제 주변만 보더라도 저도 그렇고 제 친구들의 와이프도 그렇고
와이프가 경제적 책임을 떠맡고 있는 가정은 단 하나도 없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어떤 압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
부부가 상의해서, 애초에 여성측의 기호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저도 저는 전일제로 일하고 와이프는 파트타임식으로 일하고 있지만
우리 와이프는 일하기 싫어해요.
지금 일하는것 몇시간 나가서 그러는것조차도 솔직히 그냥 돈이 필요해서 하는거지
사회적 성취따위는 솔직히 관심도 없습니다.
+ 25/05/25 02:25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이런. 결혼상대를 정함에 있어 사회적인 압력이 정말 없다고 주장하시는 건가요?

저도 당연히 예쁘고 어리고 돈 많은 여자가 절 좋아해주면 좋겠습니다. 여성들도 기왕이면 이상적인 배우자 조건에 뭐든 넣을 수 있는 것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그러한 이상적인 기호와, 사회적 압력이 정말 무관한가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27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당연하죠. 이상은 이상일 뿐입니다. 자신의 취향이 온전히 반영된 결과죠
+ 25/05/25 02:27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세상에 일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나요... 대부분은 일하기 싫어하는 게 보통이 아닌가 싶은데 말입니다...;;

와이프가 경제적 책임을 떠맡는 경우가 드문 것은, 실제로 와이프가 일해서 경제적으로 더 플러스가 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라는 생각은 혹시 안 드시는 가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28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대부분은 일하기 싫어하는 게 보통이 아닌가 싶은데 말입니다]
이것을 인정하신다면, 왜 여성들이 사회적 성취보다는 그냥 남성에게 그 경제적 책임을 맡기고 자신은 가정에 안주하는 선택을 하는걸 이해못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일하기 싫어하는게 보통이잖아요.
여자들도 당연히 일하기 싫겠죠.
무한의검제
+ 25/05/25 02:31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만약 남성의 소득으로 생계가 거의 유지가 되고
자신은 굳이 나가서 힘들여 일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면
굳이 나도 나가서 일하는 것보다는 그냥 가정에 충실하면서 여가시간도 갖는 것이
나 자신의 행복에 있어서 합리적인 선택이 아닐까요?

저라면 그리 하겠습니다.
+ 25/05/25 02:32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해야 하는 상황'이 있지요. 대부분의 경우 그럴 때엔 남성이 일하는 게 좀 더 높은 소득 기대값을 보여왔습니다. 그러니 지금도 그러한 관행이 유지되고 있지요.

그런데, 요즘 시대가 바뀌어서 그런지(아니면 예전에도 그랬지만 사회적 관습에 무릎을 꿇은 것일 수도 있겠죠.) 여성들도 나가서 일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그들에게, 이제까지 관행이 그래왔으니 니네들이 참고 그려려니 해라.. 너 말고 다른 여자들의 현실은 이렇지 않느냐.. 라고 한다면 그게 과연 설득력이 있겠습니까.
무한의검제
+ 25/05/25 02:33
수정 아이콘
烏鳳 님// 굳이 나가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은 그렇게 하면 됩니다.
남성에게 가정을 맡기고 자신이 나가서 일하든지 하면 되죠.

그런데 대부분의 여성들은 아직도 그런 선택을 선호하지 않는다는게 문제죠.
+ 25/05/25 02:34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그 '대부분의 여성들'의 선택이 과연 사회적인 압력과 무관한가, 더 나은 소득이 기대되는 경우에도 그러할까까지 짚어봐야지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35
수정 아이콘
烏鳳 님// 여성들 자신들이 돈잘버는 남자가 좋다고 하는데
거기에 사회적압력을 왜 거론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남성들이 예쁜여자 좋아하는 것이 사회적인 압력에 의해서인가를 고민하는 것만큼이나 생뚱맞게 들려요.
+ 25/05/25 02:38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남성들이 예쁜 여자 좋아하고, 여성들이 잘 생긴 남자 좋아하는 거야 당연한 자연적 본능이지요.

그런데 남녀 할 것 없이 내 배우자가 돈 많고 능력 있으면 그걸 싫어하지 않지요.
물론 예전에, 여자가 더 똑똑하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으면 그걸 터부시하기도 했었습니다만
그거야 남자가 더 우월해야한다는 사회적인 압력이 기인한 것이겠고요.(이것도 부인하시진 않겠죠.)
무한의검제
+ 25/05/25 02:39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남녀할거없이 배우자가 돈많고 능력좋으면 당연히 좋죠.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그런데 왜 여성들이 돈많은 남자 좋아하는걸 사회적인 압력으로 치부하시나요?
배우자가 돈많으면 당연히 좋죠.
무한의검제
+ 25/05/25 02:40
수정 아이콘
烏鳳 님// 배우자가 돈을 잘벌면 여성에게 나쁜 점이 있나요?
거의 없습니다.

안정적인 생활을 자신과 곧 태어날 아이에게 보장해줄 수 있고,
여유로운 생활과 여가를 보장해주죠.

아무리봐도 여성입장에서 나쁠것이 없어요.
이런걸 선호하는 것은 남자가 예쁜여자를 좋아하는것만큼이나 당연한것 아니겠습니까?
+ 25/05/25 02:42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본인이 벌어봐야 내 배우자가 버는 것에 미치지 못한다라는 사회적, 경험적 학습의 결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는 건가요? 그러한 여성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현실이야 당연하겠습니다마는, 그렇다고 해서 앞으로 사회적인 제도를 설계할 때에도 그냥 현실에 만족하면 충분하다는 논지가 타당한지 의문이군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44
수정 아이콘
烏鳳 님// 사회적인 제도는 그냥 기회가 열려있으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오히려 비정상적인건 저런 여성들의 존재를 터부시하고
페미니스트들이 주장하는 대로
여성 역시 남성들처럼 커리어를 추구하면서 직장에서의 상승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커리어우먼을 목표로 해야한다고
주장하는것이 오히려 허황되죠.


님도 말씀하셨고 인정하셨듯이
현실적으로 일자체가 좋아서 하는 사람은 굉장히 드뭅니다. 님도 그렇게 말씀하셨죠.
그것을 인정하고 볼때, 노동을 기피하는 여성들의 선택은 대단히 합리적입니다.
그 자체를 비정상이라고 할 수 없어요.
+ 25/05/25 02:47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네 딱 그 지점이네요. 기회가 열려있으면 충분하다.

할렘가 흑인들에게도 그렇게 이야기하시면 됩니다. 그들은 아마 동의하지 않겠지만요.
여성들에게도 그렇게 이야기하시면 됩니다. 여성들이 동의할지는 의문이군요.

그런데 할렘가 흑인들도 유권자이듯이, 여성들도 유권자입니다.
그들에게 '지금이면 충분하다'고 이야기하세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48
수정 아이콘
烏鳳 님// 차별이 아닌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과라면 그것은 보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흑인들이 차별을 받는지는 모르겠고
흑인들이 처한 상황과 우리나라의 여성들이 처한 상황은 동일하지 않으며
만약 흑인들이 그러한 차별을 실제로 겪고있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여성들이 그런 차별을 겪고있다고 보는것 역시 무리한 유추해석입니다.
+ 25/05/25 02:49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네 그 생각 존중합니다.

그러니 타인의 의견에도 그만한 존중을 보여주시기 바랍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51
수정 아이콘
烏鳳 님// 저는 님의 댓글을 자세하게 정확하게 읽고서
충분히 반론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토론에 있어 존중은 그정도면 충분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아이군
+ 25/05/25 01:49
수정 아이콘
한국의 성평등 문제는 사실 다각적으로 봐야 됩니다. 일단 적어도 세대 문제는 확실히 있어요.

일단 본문의 내용을 반박하자면,

[여성들이 소득수준이 낮은 일자리에도 비교적 잘 만족하거나, 관리직 승진 경쟁에 덜 뛰어들거나, 정치인이 되기를 덜 희망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득수준이 높은 일자리를 원하고, 관리직이 되고자 경쟁하고, 정치적 야망을 가지리라는 것은 오히려 남성 중심적인 편견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부분은 본문의 내용에 대한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성격차지수나 성불평등지수는 [각 국가간 상대적인 성격차지수입니다.] 그러니깐 meson님께서 본문과 같은 주장을 하려면, 보편적인 여성의 경향이 아니라, 한국 여성들이 세계의 다른 여성에 비해서 더 혹은 덜 관리직 혹은 고위급 직업을 가지려 한다는 점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여성의 보편적인 경향성으로 인한 남녀차별(처럼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아주 정확한 수치 까지는 아니지만, 상당한 수준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ex. 예를 들면 꽤 유명한 우버의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https://fenkorea.kr/bbs/bbsDetail.php?cid=global_info&pn=67&idx=591&ckattempt=2 한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를 본 기억이 있구요)

한국은 여성의 보편적인 경향성을 포함해도 상당히 뒤쳐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모든 상황을 다 고려해도 차별을 부정하기는 어려워요.
저는 종종 이 예시를 들곤 합니다. 한국의 [뷰티업계]에서도 유리천장이 확인됩니다.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012
5대 화장품 업계 상근직 이사 중 여성 비율은 [0명]입니다. 비상근 사외이사를 포함해야 [1명]입니다. 총 임원 비율이 15퍼센트 인것은 백번양보해서 여성의 보편적인 경향성이라고 치더라도 이사로 가면 0명이 되는 건 납득이 어렵죠. 심지어 직원 비율로 이야기 하면 여성이 오히려 훨씬 더 많습니다(70퍼센트)
무한의검제
+ 25/05/25 02:09
수정 아이콘
결과만 놓고 고위직에 여성이 적다고 차별이 존재한다고 바로 해석해버리는것은
해석이 이상한거죠.
결과에 비율의 차이가 있다고 해서 그것을 곧 차별이 존재한다고 보는것은 무리한 해석입니다.
아이군
+ 25/05/25 02:28
수정 아이콘
물론 다른 이유도 많이 댈 수 있습니다. 본문의 경향성도 있고, 제가 지적한 세대적인 문제도 있고 그것 말고도 다른 이유도 댈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차별을 뺄 수는 없다고 봐요. 이 정도로 노골적인 숫자가 있음에도 차별을 부정하는 건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29
수정 아이콘
숫자는 숫자일뿐 그게 차별이냐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 25/05/25 02:33
수정 아이콘
그러니 무한의검제님의 현실해석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본인이 그렇게 해석하는 거야 그려려니 하겠다는 겁니다.

숫자는 숫자일 뿐이라... 나 유리할 때에는 통계에 의지하고, 불리한 통계는 [숫자일 뿐이다]라고 하면 그 주장이 과연 타당한 건지 의문이군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35
수정 아이콘
제가 가져온 통계는 단순히 결과적인 숫자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저런결과가 왜 나타나는지에 대한 원인에 대한 통계입니다.
+ 25/05/25 02:36
수정 아이콘
네. 그렇게 말씀하시면 됩니다.

본인이 인용한 통계는 원인에 대한 통계이고, 타인이 인용한 통계는 숫자에 불과하군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36
수정 아이콘
요 댓글타래의 원댓글분이 인용한 통계는 단순한 결과에 의한 통계입니다.
제가 가져온 통계는 여성의 '기호'에 대한 통계고요.
아예 다릅니다.
+ 25/05/25 02:39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님 생각이 그러하시다면 전 그려려니 하겠습니다.

그런데 '결과에 의한 통계'와 '기호에 대한 통계'의 차이가 뭐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烏鳳 님// 그 차이는 위에서 설명했는데 다시하죠.

제가 말하는 결과와 기호에 대한 통계의 차이란,
임금격차의 '결과'에 대한 통계와, 그런 임금격차가 발생하는 요인에 대한 통계의 차이를 말하는겁니다.
+ 25/05/25 02:44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그러니까요. 성별 임금격차가 발생하는 요인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사회적인 분석과, 전문가의 인사이트에 기초한 주장인지를 저는 묻는 겁니다. 그냥 본인 입맛에 맞는 통계는 인용하고, 본인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는 외면하는 거잖아요.

여자아이들이 로봇보다는 인형을 좋아하고, 하늘색보다는 핑크색을 좋아한다고 해서 직업적인 차원에서도 동일하다...를 주장할 수는 없는 것 아닐까요?
무한의검제
+ 25/05/25 02:45
수정 아이콘
烏鳳 님// 그러한 태생적인 기호가 직업과 임금의 차이까지 만들어냈다면
그것은 인정을 해야할 부분인거지 강제로 조정해야할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25/05/25 02:49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네. 그 부분이야 개인의 경험과 세계관에 따라 다르게 볼 문제 아닌가 싶은데 말이죠.

저는 위에서도 이야기했지만, 무한의검제님께서 그렇게 생각하신다면 그려려니 합니다.
그런데 본인 생각에 기초해서 해도 되는 갈라치기와 해선 안 되는 갈라치기를 구분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다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무한의검제
+ 25/05/25 02:49
수정 아이콘
烏鳳 님// 그건 제 기준에서 판단하는거죠. 애초에 저는 갈라치기라는 용어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 25/05/25 02:52
수정 아이콘
무한의검제 님// 네. 무한의검제님 생각이 그렇다면 그런 거겠죠.
무한의검제
+ 25/05/25 02:53
수정 아이콘
烏鳳 님// 그래도 정중하게 댓글달아주시니 그부분은 감사드립니다.
제 댓글이 날선 댓글로 느껴지셨다면 그부분은 사과드릴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3174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4] jjohny=쿠마 25/04/04 3063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906
6821 [일반] KBS 3000명 면접 여조 이재명 49%·김문수 34%·이준석 8% [9] 빼사스924 25/05/25 924
6820 [일반] 연금 개혁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37] 김은동1241 25/05/25 1241
6819 [일반] 일베글 81만건 분석한 작가 "제도화된 일베 현신, 그게 이준석" [414] 체크카드6418 25/05/24 6418
6818 [일반] 이재명 미세먼지 발언 관련 개혁신당발 팩트체크 [104] 전기쥐3996 25/05/24 3996
6817 [일반] 이번 선거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35] akroma2050 25/05/24 2050
6816 [일반] 구조적 성차별에 관한 합리적 근거란 존재하는가? [63] meson1333 25/05/24 1333
6814 [일반] 이재명은 어떤 정책을 펼칠까요? [14] kokoko1423 25/05/24 1423
6813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뉴스공장 열혈 시청자 영포티 A씨는 이해 못하는 이준석의 힘 [364] tunatuna9537 25/05/24 9537
6812 [일반] 이준석은 후보융합의 꿈을 꾸는가? [166] 군령술사5431 25/05/24 5431
6811 [일반] “하느님 너무하십니다…” [33] 체크카드3993 25/05/24 3993
6810 [일반] 이재명은 왜 부정선거에 경도되었나? [46] 파편3956 25/05/24 3956
6809 [일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 정책에 대한 이준석 후보의 생각은? [82] 사조참치3693 25/05/24 3693
6808 [일반] 개혁신당의 '과학기술 성과연금’ 및 ‘과학자 패스트트랙’ 등 「국가 과학영웅 우대제도」 공약 비판 [36] 바람돌돌이2615 25/05/24 2615
6807 [일반] 간병비 급여화 문제에 대해서 저는 적극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31] 김은동2650 25/05/24 2650
6806 [일반] 2차 토론회 개인적인 짦은 품평. [26] 굿샷2252 25/05/24 2252
6805 [일반] 이준석이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825] 무한의검제10098 25/05/24 10098
6804 [일반] 이재명 100조 공약 관련해서 [52] 좁쌀3924 25/05/24 3924
6803 [일반] 89년생 민주당 골수 지지자가 이번 대선에서 이준석에게 표를 주려는 이유 [297] 귀연태연9029 25/05/24 9029
6801 [일반] 대선 토론회 형식의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28] 분당선1952 25/05/24 1952
6799 [일반] 2차 토론 후기 [136] 카레맛똥8884 25/05/23 88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