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1/01 03:12
이건 당연히 개인차입니다.
내일 의사분께 직접 물어보시는것이 그나마 정확할 것이고, 그 다음 복용한 후에 컨디션을 의사에게 말해서 잘 조절해야하겠죠.
11/11/01 03:17
오늘 의료 관련해서 질문글이 많이 올라오네요.
수면제가 아닌 수면 유도제를 드시는 경우는 수면의 여러 단계 중 초기 단계를 빨리 들어 보내주는 약입니다. 보통 많이 드시는 약이 Zolpidem(Stilnox)이실텐데, 이약은 수면을 유지시키는 작용은 하지 않고, 수면을 도입시키기만합니다. 따라서 8시간 수면을 취한다고 생각하시면, 작용 시간은 15분 정도 반감기는 2시간 정도로 8시간 수면을 취하고 일어나시면 몸에 남아있는 양은 초기의 1/8정도로 처음 하루나 이틀 정도는 아침에 졸린 느낌이 들 수 있는 있지만 그 뒤로는 3~4일 정도 지나면 일어나는데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단 오래 사용하시게 되면 이 약을 분해하는 효소가 몸에 많아지게 되어 약의 효과는 좀 떨어집니다. 불면증 때문에 힘드시다면, 지금은 시험이 급하시기 때문에 약을 사용하시고 이후에는 수면 위생에 좀 더 신경쓰시면 되겠습니다. 수면 위생이라함은 숙면을 위하여 신체의 향상성(Homeostasis)을 유지한다 1.낮잠을 피한다. 정말로 졸리는 경우는 아침기상 8시간 후에 10-15분 정도로 낮잠을 제한한다. 2.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예를 들어 8시간으로 정하면, 그 이상 잠자리에 누워있지 않는다) 3.매일 규칙적으로 운동한다. 약 40분 정도가 좋으며, 잠자리에 들기 6시간 전에 운동을 마치는 것이 가장 좋다. 발가락, 발목, 허벅지 등의 근육을 손으로 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4.잠자리에 들기 2시간 이내에 약 30분간 더운물에 목욕을 하며 체온을 2도가량 올린다. 따뜻한 물이나 보리차를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주기성 인자(Circadian factor)를 잘 조절한다 1.평일은 물론 주말과 휴일에도 매일 아침에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늦게 자더라도 일어나는 시간은 일정하게 한다) 2.밤중에 일어날 일이 생기더라도 밝은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조그만 백열등을 이용한다) 3.아침에 기상한 후 30분내에 햇빛에 노출되도록 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은 먹지도 피우지도 않는다 1.잠들기 위하여 담배를 피우지 않도록 한다. 저녁 7시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고, 완전히 끊으면 더욱 좋다. 2. 카페인이 들어있는 커피나 홍차, 콜라, 초콜렛을 먹지 않는다. 3.술은 수면의 후반기에 자주 잠에서 깨게 하므로 가급적 삼가한다. 먹더라도 드물게 소량으로 제한한다. 4.잠자리에 들기 3시간 이내에는 많이 먹거나 마시지 않는다. 배가 고파도 잠을 방해하므로, 우유 한컵, 치즈, 크레커 등의 가벼운 스낵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고탄수화물 식사가 졸음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은 별다는 근거가 없는 생각이다. 수면장애에 있어서 주의할 사항 1.시계를 잠자리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는다. 2.침실은 어둡고, 조용하고, 공기소통이 잘되고 편안한 실내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귀마개나 눈가리개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3.밤에 깨는 경우를 대비하여 간단한 자기 최면을 배워 둔다. 너무 잠들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긴장을 풀고 즐거운 느낌을 갖도록 노력한다. 10분 이상 잠이 안 오면 일어나 단순작업을 반복하는 다른 일을 찾도록 하면서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리면 된다. 4.가급적 집외에 다른 곳에서 잠자지 않도록 한다. 5.침대나 잠자리가 너무 딱딱하거나 푹신하지 않도록 한다. 침대는 반드시 잠자기 위해서만 사용하며 침대에서 일을 하거나 다른 생각에 골몰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베개는 적당한 높이와 견고성을 지닌 것을 사용한다. 6.의사에 처방에 따라 가끔 작용시간이 짧은 수면촉진제는 먹어도 좋다. 의 내용입니다. 간단하게 요약해드리면 1. 수면 유도제는 아침에 일어나는데 있어서 큰 문제를 보이지는 않는다. 2. 단 첨 사용하는 며칠간은 아침에 졸린 기분을 잠시 느끼는 경우도 있다. 3. 오래 사용시 효과가 떨어지므로 수면 위생에 신경을 쓰자. 시험 잘보세요~~~
11/11/01 03:19
아 수면 유도제는 한번 사용을 하셨네요.
수면 유도제 말고 수면제는 조금 더 주의 깊게 사용이 필요합니다. 수면 유도제로 잠을 못드시는 경우는 일단 실제 의사와 진찰을 보시고 조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약을 과다 복용하지만 않고 적당하게 잘 조절한다면 큰 부작용은 없으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래도 꼭 의사와 상의하세요~
11/11/01 03:21
그리고 제가 말씀드린 Zolpidem은 수면 유도제의 일종이지만 약효가 센편으로 수면제로 간주되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일반적인 수면 유도제와는 다름을 알려드립니다.
11/11/01 04:49
혹시 수능 준비생이신가요? 그러면 더욱 더 신중히 처방받으세요. 얼마 안남았지만 지금이라도 하루 꾹참고 밤샌뒤 다음날 일찍 자던지
수면제 처방받고 시험 전에 먹어보고 괜찮은지 테스트 해보세요. 전 수능 전날 우황청심원 반알 먹고 잤다가 잠은 잘왔는데 다음날 계속 멍해서 고생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