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9/06 16:04
꾸준히 조금씩 이라도 계속 공부하실 생각이면 아래 등급부터 하시면 좋겠지만, 자격증 자체를 목적으로 하시는 거라면 바로 3급(2급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부터 시작하시면 됩니다. 꼭 만점을 받아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격증 자체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06/09/06 16:20
그런게 아니구요... 8급에서 점점 한자가 더해져 갑니다.
그러니까 5급에 나오는건 678의 배정한자가 당연히 포함되어있겠죠? 나이가 어느정도 있으면 이해력이 빠르기 때문에. 그렇지만 3급은 정말 무리구요. 그리고 공인급수는 3급부터가 아닌 3급II(준3급) 부터 입니다. 4급이었는데 약 1년전에 바뀌었죠. 3월달에 보신다면 3급II를 추천드리고 싶네요. 그리고 한자가 여러한자로 포함된 경우가 많기때문에 부수라는걸 배워두면 상당히 유용하구요. 뭐 요즘은 다 따던데ㄱ-.... 1급 딴 사람 경험으로 조언해드리면 일단 막 10번씩 쓸건 없고 아는것은 조금만 보고 모르는것 위주로 쓰면서 연습하세요. 그리고 훈음과 한자를 안보면서 할수있도록 그 시간에 하세요. 시작하기전엔 한번씩 복습하는건 기본이구요. 시간이 급하신것 같에서 부수를 배우라는 소리는 좀 무리일지 모르겠는데 아시다시피 한자는 여러 한자로 이루어져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부수를 배워두면 부수의 뜻과 한자의 뜻이 일맥상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당히 유용합니다.
06/09/06 16:22
그리고 한자는 2급부터 갑자기 어려워집니다.
그건 인명&지명 한자가 부록같이 포함되기때문인데요. 다른한자들은 뜻을 어느정도 일상이나 책들에서 들어본 것이라 그래도 외우기가 수월한 편입니다만 인명과 지명한자는 정말... 그냥 맹목적으로 외워야 되는게 많은 편이죠. 마지막으로 한국어문회에서 여는 시험을 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