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9/08 17:08
자본론을 읽어보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예전에야 금서였지만 지금은 아니니까요. 연우님의 평소 글들에 비추어 보면 상당히 박식하신것 같으신데, 마르크스 평전이나 자본론 비평서 같은걸로는 별로 성에 안 차실 것 같아 보입니다.
06/09/08 17:10
"알렉스 캘리니코스가 쓴 마르크스의 사상"이란 책이 괜찮습니다. 저도 십여년 전에 이 책(구판)을 읽었고, 유익했습니다. 그 다음에 마르크스의 원전을 읽어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공산당 선언"이 역시 가장 적당하겠죠.
06/09/08 17:35
개인적 의견으로는 캘리니코스가 쓴 책을 읽으신후 <공산당 선언>, <독일 이데올로기>, <경제학 철학 수고>,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정도를 읽어보시는게 좋을듯. <자본>은 "그럭저럭 읽을만한" 책은 절대 아니라고 보여집니다.
06/09/08 17:43
김수행씨가 쓴 '자본론의 현대적 해석'과 '현대 마르크스 경제학의 쟁점들'이란 책을 추천합니다.
앞의 책은 자본론을 요약해놓은 형식의 책인데, 상당히 이해하기에 명료하게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자본론을 현실에 맞게 수정한 부분도 꽤 보이고요. 뒤의 책은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고급 쟁점들에 대해 다룹니다. 앞의 책을 먼저 읽으신 뒤에 읽으시면 좋을 것 같네요.
06/09/08 17:46
읽기 정말 쉬운 입문서로는 존 몰리뉴의 '사회주의란 무엇인가'란 책이 좋을 것 같네요.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만큼 쉽게 사회주의에 대해 설명합니다. 책의 내용 자체가 질의 응답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정말 편안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