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09/08 20:44:32
Name 베프안나
Subject 저그유저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제가 근 7년가량 저그 유저로 플레이를 해오고있는데.

한가지 큰 궁금점이 생겨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대 테란전에 의한 부분이 큽니다.

상황은 테란이 힘싸움을 유도하고.. 저그인 저도 자원을 충분히 먹고 한방싸움을 준비할 단계입니다. 태크트리는 하이브까지 올라가서 디파일러 체제까지 올라간 상황입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 점은.. 이상황에 퀸을 뽑는건 너무 비효율적인 것인가요?

저는 솔직히 말해서 전투가 벌어지면 거기 컨트롤을 집중하느라 생산의 회전력이랄까요.

전투중 생산력이 많이 딸립니다. 그래서 있는 병력으로 최대한 피해를 주기위해 많은 컨트롤을 치중하는 편입니다. 그래서인지저그보다 테란을 더 잘한다는 소리도 들은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투중에 디파일러를 가지고 막 싸우는 도중에 다크썸을 치는데 까지는 하는데..

빠지는 적을 쫓아가면서 즉석으로 저글링을 컨슘하고 다시 다크섬을 적절한 위치에 바로 재배치하는 컨트롤이 많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제가 쓰는 방법이 디파일러 다크섬을 쓰고 덥치면 상대가 빠지는것을 감안하여 다크섬을 경로 , 상대 병력위에 치면서 막 달려들기 시작할 즈음.. 테란이 빠지기 직전에 인스네어를 뿌려서 효율적으로 빠지지 못하게 하고 병력싸움을 겁니다. 퀸을 뽑아서 인스네어를 쓰면서 틈날때 브루드링으로 탱크도 없애주고. 싸움직전 배슬이 왔다 갔다 할때.. 그... 이름을 까먹었는데 시야얻는거 그것도 한번씩 걸어줍니다.

오히려 인스네어를 쓰니깐 플레이그를 쓰고 덥칠때도 훨씬 편한거 같은데 .

저의 친구들은 그 모습을 보고. 왜 퀸을 뽑냐고 뭐라고 그러네요. 자원도 충분한 상황이였는데 말이죠. 그냥 자주보이는 디파일러 럴커 저글링 히드라를 퀸뽑을돈으로 더 뽑아서 쓰라던데.. 퀸의 효율이 그렇게 안좋나요? 개인적으로 정말 궁금한 점입니다.

저그유저분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제가 잘못된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전략상 잘못된 점이 있다던지. 취약한 부분이 있다던지.. 지적좀 부탁드립니다.

ps.개인적으로 저는 퀸을 참 좋아합니다..
* 캐럿.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08 20:59)
* 캐럿.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08 21:0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9/08 20:49
수정 아이콘
테란유저지만
컨트롤에 치중을 하시는만큼 후반전에서의 퀸은 분명 전투에 도움이 됩니다. 퀸을 컨트롤하는만큼 병력을 못찍어준다는 얘기긴 하지만요.
먹고살기힘들
06/09/08 20:49
수정 아이콘
안좋아서 안뽑는게 아니라 뽑을 필요가 없으니 안뽑는 것이죠.
그래도 대 테란전에서는 컨트롤 보다는 생산력이 우선인것 같습니다.
컨트롤 잘하고도 밀리면 후속 병력의 양에 따라 막는지 못막는지가 결정되니까요.
06/09/08 20:51
수정 아이콘
퀸 뽑을돈으로 플레이그를 뿌려주면 인스네어 걸린 마린보다 훨씬 약화시킬수 있을것 같은데요.
06/09/08 20:53
수정 아이콘
퀸이 있다면 좋긴 하겠지만... 컨트롤이 너무 힘들죠.
글쓴이분처럼 생산을 포기하고 컨트롤에만 집중한다면 모르겠지만
자원이 충분하다면 전투중에도 꾸준히 병력생산을 해줘야 하기에
저글링러커에 디파일러에 스커지까지 컨트롤 하기도 바쁜데
퀸까지 쓰기엔 손이 너무 많이가서 안쓰는듯 하네요;;
APM이라던가.. 컨트롤이 생산력을 잃지않으면서 퀸까지 컨트롤 가능하다면
당연히 퀸도 후반 한타싸움에 도움을 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06/09/08 20:54
수정 아이콘
퀸이 안죽고 꾸준히 활약해준다면 좋지만
보이는 즉시 이레디의 밥이 되는게 문제죠
디파일러처럼 컨슘으로 즉시 마나 확보가 안되는 이상
오래 살아서 마나를 채워놓아야하는데
정작 잘 묵혀둔 퀸이 이레디에 허무하게 죽으면,,,,
elecviva
06/09/08 20:56
수정 아이콘
인스네어 개발비용, 퀸생산비용, 마나가 찰때까지의 시간은 결코 만만치 않습니다.
따로 부대지정을 하기에도 애매한 것이 퀸의 빠른 속도는 다른 유닛들보다 상대방에게 발각되기 쉽다는 아이러니가 숨겨져 있겠죠.
기껏 개발하고서 이레디에이트 한 방에 죽는 것도 안타깝고요.
분명히 유용한 유닛입니다만, 박빙인 경우에는 차라리 디파일러 소수를 더 뽑는 것이 테란병력을 없애는데 더 유용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 판단에서 퀸 사용을 좀 더 보류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디파일러 중심의 경기가 나온지 스타크래프트의 역사를 뒤져보면 그렇게 오래 된 것이 아니므로 언젠가 주력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확실한 것은 테란이 눈치를 챈다면 먼저 달려가 퀸을 죽이는건 경험상 어려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들간의 경기에서는 별로 유용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차라리 조용호 선수처럼 사용하는게 좀 더 유용할지도 모르겠어요.
체념토스
06/09/08 20:57
수정 아이콘
이렇게 이론적일걸 떠나서...

실질적으로 그런식으로 하셔서 효율을 얻고 계신다면 사용하세요.!
오즈의맙소사
06/09/08 22:20
수정 아이콘
저그 생산은 해처리 부대지정 + 몰아서 지은 해처리에 화면지정으로 하죠
오즈의맙소사
06/09/08 22:22
수정 아이콘
저그는 확실히 테란잡을때 생산력보단 운영이긴하죠
언제 덥치느냐 어떤방식으로 덮치느냐에 따라서 완전 다르니까요
하지만 어느 레벨에가면 생산력도 어느정도 받쳐줘야합니다. 그래서 생산력에도 신경쓰시길
06/09/09 00:14
수정 아이콘
손이 느려서 못할 뿐입니다. 사실, 저글링, 히드라, 럴커, 디파일러... 만 해도 6부대가 넘어가버려서... 정신이 하나도 없어요. @,.@ 게다가 적어도 해처리 4개 정도는 매크로 생산을 계속해줘야 하구요.

여유가 된다면 퀸을 사용해서 인스네어 등을 써 주는 것도 좋겠죠. 특히나 인스네어 맞은 마린, 파벳은 스팀팩 효과가 사라지니까요.
06/09/09 11:30
수정 아이콘
위에 잘 못알고계신분이 많으신데 ahngoon님 말씀대로
퀸이 구져서 안 쓰는게 아닙니다 단지 퀸을 사용안해도
손이너무 많이간다는 것때문에 그런거죠 하이브 갔다면최소
3가스일텐데 퀸 두세개 뽑는다고 센터싸움에서 럴커 두세개빠졌다고
센터싸움 승패가 갈리진 않거든요 조금 영향은있겠지만요
차라리 손이 무슨 날라다닌다면야 럴커 두세개덜뽑고 퀸 두세기로
인스네어 한번씩만써도 잘만 쓰면 2부대는 맞출수 있다고보는데
이게 럴커 1부대정도의 효율이 있다고생각합니다 우선 인스네어를
맞은 이상 마메가 퇴각할 수는 없고요 제일중요한건 전투중
스팀팩효과가 사라진다는거죠 이게 엄청 큰겁니다
그리고 무슨 퀸이 보이자마자 이레디 걸린다하시는데
인스네어 한번 쏜 퀸이 이레디걸리면 오히려 쌩큐라고 생각합니다만
50/150의 디파일러나 125/125의 럴커가 이레디맞는거보다 훨낫죠
거기다 인스네어까지 한번 쓰고죽으니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0579 영화추천 해주십시요! [9] 더블에스오지1867 06/09/08 1867
20578 축구규칙 잘 아시는분만.. [2] 불타는오징어1579 06/09/08 1579
20577 플라스틱이나 비닐종류 먹어도 되나요?? [3] 호두우유2227 06/09/08 2227
20576 여자들은 쌍꺼풀있는 남자를 좋아하나요? [5] EzMura5245 06/09/08 5245
20575 스타 하면 다운이 되네요 [사진첨부-도움 요청] [2] 조자룡1791 06/09/08 1791
20574 수학 잘 할수 있을까요? [4] 치토스1565 06/09/08 1565
20573 장육선수가 장진남,진수형제의 사촌?? [2] 루니2429 06/09/08 2429
20572 저그유저분들께 궁금한게 있습니다. [11] 베프안나1784 06/09/08 1784
20571 고등학교 자퇴 질문이요.. [14] DynamicDuo2192 06/09/08 2192
20570 인터넷 오류. 미친여자친구1867 06/09/08 1867
20569 리플레이 평가좀 부탁할게요~ [3] 장승용1841 06/09/08 1841
20568 눈병에 걸렸는데 말입니다. [2] sulzan1620 06/09/08 1620
20567 목과 턱에 붙은살에 대한 질문입니다. [2] AhnGoon1743 06/09/08 1743
20565 마르크스 질문 [9] 김연우1548 06/09/08 1548
20564 스타를 하면... [3] 이스트1721 06/09/08 1721
20563 임요환선수 군입대후 게임리그 참여 가능성에 대해 [3] redsaja2103 06/09/08 2103
20562 포커 질문입니다.. [6] Clauzewitz Pandragon1741 06/09/08 1741
20561 검색포탈사이트 들어갈때 쓰레기 뉴스 안 보는법... [3] 파이란2022 06/09/08 2022
20560 자동차 오디오에 관한;; [5] PoCket1552 06/09/08 1552
20559 윈도우 xp 재설치 관련질문 [3] KINKIN1522 06/09/08 1522
20557 위닝 하는데 ..갑자기 안되요 1738 06/09/08 1738
20556 pc견적입니다.. 40만원정도 예상하는데 좀 봐주세요.. [5] iloveus2219 06/09/08 2219
20555 윈도우에서 어떤 설정을 건드리고 난 후에 이렇게 됩니다. [4] 신예ⓣerran1545 06/09/08 15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