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22 21:33
글쎄요.. 재무제표 분석은 저도 처음 해봤었습니다만..
지금부터 보시면 충분한 시간이 있다고 봅니다. 꾸준히 읽어가면서 이해하면 될 듯 합니다. 물론 저도 그 파트가 젤 싫었습니다. -_-;; (차라리 stochastic calculus를 풀겠다.. ) 하지만 젤 어려운 건 Ethics입니다. 단연코-_-;;
06/12/23 01:25
정말 윤리가 가장 어려울까요?안믿기는데요..^^암튼..회계는 괜찮다고 하시니 고맙습니다..벌써 1차를 치루셨군요..좋겠어요..ㅠㅠ
06/12/23 22:17
1.일단 시험과목중에선 윤리가 가장 어렵습니다.제 1차 성적이 다른 전과목은 거의 100점가까이 다 되었을것으로 사료됩니다.그런데 윤리는 아마 반타작정도 했을것으로 기억됩니다.나중에 성적표받아보시면 정확히 몇점으로 표시되는것이 아니라 몇점대 권역으로 표시됩니다.나머지 과목은 전부다 최상위 권역으로 나왔는데 윤리는 반타작권역으로 표시되어 있더군요..그런데 이 애널리스트 직업윤리라는 과목이 점수따기가 참 어렵습니다.
2.그려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글쎄요. 그 참..개개인마다 이전에 쌓아 놓은 지식수준이 다 틀리니 뭐라 말할수 없는데 일단 제 개인적인 얘기를 말씀드린다면 저같은경우는 이 시험을 보기전에 이미 대학시절부터 줄곧 국내 공인회계사시험을 오랬동안 준비했던지라(더군다나 회계학전공이라) 별 무리가 없었습니다.공부도 뭐 별다르게 하지도 않았고 오로지 그냥 레벨1교과서랑 문제집 소처럼 한개도 빠뜨리지 않고 풀어봤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수월했었습니다.실제 시험봤을때 몇몇 문제빼곤 그냥 쉽게 넘어가더군요.. 국내 재무회계시험이랑은 좀 차원이 틀립니다.글자 그대로 제무재표분석입니다.회계처리를 묻는것이 아니라 이미 회계처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분석을 어떻게 하느냐를 묻는것이기 때문에 재무회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자체가 잘 정립되어 있어야 합니다.그러면 무난하게 넘어갈수 있습니다.그런데 그 기본개념을 잘 정립하려면 역시 재무회계정도는 어느정도 아셔야 하겠지요.국내 회계사시험 재무회계책을 먼저 한번 정독(문제까지 한번 다 풀어보는 정도)하시고 교재를 보시면 참 좋을것인데 그렇게 하기엔 시간이 많이 걸리겠죠.그래도 이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전과목중에서 회계가 아주 중요합니다.제 기억으로 문제수가 제일 많았던 것으로 어렴풋이 기억됩니다. 저는 첨에 공부할때 통계학이 제일 어려웠는데 차분히 교재를 소처럼 열심히 읽어가니 나중엔 별거 아니더군요.윤리는 역시 제외고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참고로 외국시험은 국내시험과는 차원이 틀립니다.한만큼 반드시 댓가가 따릅니다. 혹시 국내 일반운용전문인력(펀드매니저자격시험입니다.)시험 안보셨으면 이거 상당히 괜찮은 자격증이니깐 꼭 보시라고 권해 드립니다.
06/12/23 22:42
R.F.M은 이번에 합격했구요..^^경제학과라 통계는 별 문제가 없는데 예전에 재무회계랑 원가회계를 복수전공으로 듣다고 중도포기했거든요..
어렵기도 하지만 코드가 좀 안맞더라구요..휴..마젤란 님 말씀 듣고 더 열씨미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결국 회계를 다시 잡아야겠네요..근데 정말 난이도가 차원이 틀린가요?공부한만큼 결과가 온다면야 목숨걸고 해야겠네요..답변 감사합니다.. 아 그리고 마젤란 펀드님..담에 HTS구성도 좀 물어볼게요..개인적으로 어떤 스킬을 가지고 계신지..궁금해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