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04 16:21
99게이트가 가끔 쓰이기는 한데.. 컨트롤이 좋아야 하구요.. 루나 가로 거리정도면.. 통합니다.
더블넥이 기본이고.. 일단은 정찰이 제일 중요한데.. 커세어를 뽑는게 확실하긴 하지만 그 돈 마저 아끼기 위해 바로 아둔 올리고 감으로 캐논 수 맞춰 나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물론, 위험하죠.... 추가멀티를 다크템플러로 견제해주면서.. 한방러쉬를 준비하는 수 밖에는.. 그리고 저그가 방어위주로 플레이 할 경우가 많은데.. 무리하지 말고 확장을 하는게 좋습니다. 저그의 목동체제에 기동성에서 뒤쳐져서 어려운 경우가 많긴 한데.. 병력을 최대한 조합하시구요.. 드래군의 비율을 맞추고 리버도 섞어주는게 좋습니다. (물론 어렵..) 그리고 상대가 조이기 하러 올 경우.. 드래군 수를 늘려주시고.. 하이브를 빨리 간다면 뚫는것을 시도하시구.. 하이브가 늦다면 천천히 뚫고 나와도 됩니다.. 그리고 루나 같은 경우는 게임수도 많으니.. 리플도 많습니다. 리플을 구해서 보세요~
07/01/04 16:40
투게이트도 먹힙니다 -_-;
더블넥만 하지 마시고 다양한 빌드를 써보세요. 마인드라면 일단 초반 질럿이나 드라군, 리버 러쉬가 아닌 바에야 앞마당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먹고 빨리 강력하게 진출할 수 있느냐겠군요. 루나는 센터로 얼마나 잘 진출해서 이후 추가 가스멀티를 자신은 하고 저그는 저지시키느냐가 아닐까요? 저그가 이미 멀티 먹고 수비하고 그랬다면 남북전 같이 가서 장기전을 =_=
07/01/04 17:28
더블넥 성공이후 소수템과 질럿으로 바로 트리플가보세요
더블넥 성공했다고 병력생산후 한번 찔러보다가 성큰이나 병력에 막히고 그때서야 트리플 하는것보다 훨씬 좋습니다
07/01/04 17:30
앞마당 이후에 추가 멀티을 갖져갈려고 노력하세요
하이브이후 저그가와 프로토스의 멀티숫자가 같다면 저그가 정면싸움에서 프로토스의 병력을 이기기가 아주 어렵습니다 결국 드랍 게릴라 작전으로 저그는 병력 운영을 하는데 그때 리버&다크아콘&하이템플러로 적절하게 방어해 주시면서 다수의 가스을 바탕으로 아콘을 숫자을 늘려가 주시면 됩니다 마재윤vs강민 선수의 프링글스 2차 MSL 4강 신백두대간 경기처럼요 신백두대간은 멀티하기가 쉽고 방어하기가 쉽지만 방어하기가 어렵고 멀티와 멀티간의 거리가 먼맵은 저그와 장기전 가서 답이없고 공격적인 스타일로 하이브가 완성되기전에 경기을 끝내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07/01/04 18:18
요샌 너무 더블넥만 해대서 뻔히 보이는 플레이들;;
가끔씩 당하는 하드코어가 젤 상대하기 어렵던데... 아 저번에 아카디아2에서 플토랑 붙었는데 커세어 6기정도 다니길래 리버+커세어인줄 알고 히드라만 뽑고 멀티 3개 동시에 하면서 히드라 여기저기 뿌려놨는데 왠 질럿만 3부대가 나와서 진적이... 뻔히 보이는 플레이보단 다양한 플레이를 해보세요.무난하게 하면 저그 이기기 힘들죠.
07/01/04 20:03
확장 먹으면서 지속적인 압박과 게릴라가 제일 좋습니다.
하템 등으로 견제 해주면서 병력으로 자꾸 찔러주면, 저그는 라바를 드론으로 만들지 병력으로 만들지 고민됩니다. 물론 말처럼 쉽진 않지만, 더블 이후 한방 모아 진출! 이런건 너무 안좋습니다. 지더라도 이것저것 해보다가 지면 어떻게 해야할지 조금은 감이 오실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