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24 13:30
예..장단음이네요. 그런데 장음보단 단음이 마치 강세처럼 느껴져서 제가 약간 착각을 한것 같은데요. 어쨌던 뜻이 2가지가 아닌 1가지만 있는 단어가 장단음 차이로 의미이해가 힘들수 있을까요? 어느쪽으로 해도 별 차이는 없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07/01/24 14:02
한국어는 장음 단음에 거의 구속되지 않습니다.
의미이해가 힘들기 이전에 장음 단음을 구별해가면서 말하는 사람도 거의 없지 않나요? 사전편찬자나 아나운서, 연기자를 빼고는 말할 때 장단음에 신경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건 한국어에서 장단음이 말의 이해에 영향을 줄 만큼 중요하지는 않다는 뜻이죠.
07/01/24 14:37
성조, 강세, 억양과 같은 초분절음소는 현대 한국어에서 변별적 기능을 거의 상실한 상태입니다. 물론 지방어나 높은 연령층에서 여전히 사용되고는 있으나 그것이 현재의 의사 소통에서 구속력을 가진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