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4/15 23:13
Dulong-Petit 법칙에 따르면 이원자 분자로 구성된 고체원소의 원자 열용량은 5.961 cal/deg이다. 그리고 금속의 비열(마그네슘의 비열은 0.248 cal/deg)을 이 값으로 나누면 그 금속의 근사 그램원자량을 얻는다. 앞에서 원소의 원자비를 가정할 때 구한 금속의 예상 원자량과 이 근사 원자량을 대조하여 가장 가까운 값을 그 금속의 원자량으로 한다.
저게 뭔소린고 하면 듀롱-프티의 법칙이란게 존재해서 금속의 원자량에 금속에 비열을 곱하면 25kj/g인가 그런게 있습니다. (5.961 cal/deg 요거랑 같은 이야기죠.) 그래서 걍 Mg의 비열로 저값을 나눠버리면( 5.961/ 0.248 ) 대충 40언저리로 나오겠죠? 고게 금속의 원자량이 된다는 뜻이에요
07/04/15 23:20
저실험은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제가 읽고 해석해보면 님이 말하신대로 하는게 아닌거 같고,
1. 일단 마그네슘과 산소의 질량비를 구함 2. 이때 1:2 1:1 2:1 로 가정하고 마그네슘의 원자량을 구함 (여기서 그러니깐 세개의 원자량이 나올것임, 4: 2:1의 비율로. 이를 A, B, C라고 각각 가정합시다.) 3. 듀롱프티의 법칙에 의거해서 원자량을 구함 4. 위에서 구한 A, B, C중에서 듀롱프티의 법칙에 의하여 구한 원자량에 가장 가까운 (사실 Mg는 O랑 1:1로 결합하므로 당연히 B가 원자량으로 채택될 꺼에요)값을 금속의 원자량으로 채택한다 5. 채택한 원자량과 실제값과의 차이를 구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구하는거 같군요-0- 자세한것은 아니니 주변에 사람들에게 물어보는게 좋을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