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4/21 17:16:21
Name Rush본좌
Subject 고3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네요
이번 4월 모의고사 성적입니다.

언어 87 수리 52 외국어 78  화1 37 화2 35 생1 35 생2 39

이정도인데.. 이과생인데도 수리가 젤 낮네요 ㅠㅠ 어떻게해야할지.

제 나름대로 새롬n제나 문제를 많이 풀어보고 분석했다고 했는데도.. 그저 안습..

그리고 외국어는 듣기에서 항상 4~5개씩 틀립니다.. 듣기 공부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언어는 모의고사 한회씩 꾸준히 풀고 있는데 90점대로 올라가기가 힘들군요..

과탐은 항상 자신있고 애들도 물어보면 나름대로 다 대답해주고 그러는데도.. 항상 2~3

등급 입니다..

이현상 유지가 거의 2학년 2학기부터 계속 입니다.. 흠.. 슬슬 자괴감에 빠질 시기입니다.

여러 선배 여러분들의 따끔한 충고 기다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수영
07/04/21 17:39
수정 아이콘
영어듣기는 EBS가 최고에요. 제 경험에 의거해 말씀 드리면, 저도 그랬거든요. 듣기가 항상 고정적으로 틀리는 갯수가 있었어요. 그러다가 막판 모의고사 갈수록 숫자가 줄고, 다 맞을 때도 많아졌어요. 그리고 수능 때 듣기 다 맞았습니다. EBS듣기교재 사서 주기적으로 들어보세요. 주기적으로 매일 듣는게 중요해요. 그리고 수리...52점이시면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만약 수리가 가형이라면, 두 갈래로 나눠집니다. 그냥 그대로 가형으로 고수하거나, 전략적으로 대학을 가기 위해서 나형으로 가는 두 갈래로 나눠지는데요, 만약 가형이시면 아직까진 포기하기는 이르구요, 개념위주로 공부하는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나형도 마찬가지지만 52점이라면...아직까진 개념부족인거 같습니다. 문제를 많이 푼다고 해결이 되는 점수대가 아니에요...경험상. 그리고 자괴감이라...아직 4월입니다. 시간 참 많이 남았어요. 그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냐가 중요하지만... 모의고사 보고 점수때문에 우울해지거나 그러지 마세요. 말그대로 '모의'일 뿐이니까
목표는 수능이에요. 지나오면 점수때매 우울해 하는거 아무 쓸데없는 짓이에요.
김평수
07/04/21 18:14
수정 아이콘
제가 6월까지 영어듣기 10개이상 맞아본적이 없는데요~
여름방학때부터 매일 EBS 영어듣기 듣고 수능가서 1개인가 2개인가 틀렸어요
영어듣기=EBS 가 짱입니다
불타는눈동자
07/04/21 18:25
수정 아이콘
제 경험에 비춰 말씀드립니다.
일단 수리도 그렇고 탐구영역도 그렇고 어느정도 기본은 됐는데, 점수가 고만고만한 상태서 잘 오르지 않는다면 이론강좌를 빠르게 훑어보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물론 '고3이라 문제풀기도 바빠죽겠는데, 무슨 이론강의냐..'라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고등학교 1,2학년때도 문제는 계속 풀어왔고, 고3때 역시 문제는 계속 풉니다. 이 과정에서 정말 문제가 되는 것은 거듭 문제를 풀면 풀 수록 문제 자체의 테크닉에만 집착한 나머지, 본인이 모르는 부분을 어느정도 아는 것(실은 잘 모르는데..)처럼 착각하는 것입니다. 문제풀이는 7,8월경에 이론정리와 병행해서 시작한 다음 9월부터 수능때까지 2달반정도에 집중적으로 하셔도 충분합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본인이 잘 모르고 있는데, 아는 것처럼 착각하는 부분..' 이 부분을 강의를 통해 빨리 찾고 숙지해 놓는 것이 성적향상의 포인트입니다. 저는 동강을 통해서 이렇게 했는데, 자신있는 부분은 1.5배재생으로 빨리빨리 넘어가고, 모르는 부분이 나오면 순간순간 정지시켜놓고 이론노트에 다가 최대한 자세히 적으면서 나름 효율적으로(^^..?) 공부하니 점수가 오르더군요.

외국어 듣기는 하루에 1회분씩, 일주일 중 주중에만 돌리시면 충분합니다. 어느정도 공감하시겠지만 듣기는 감각입니다. 일반 지문과 비교해 보면 듣기는 비교적 쉬운 단어, 숙어, 내용이 담깁니다. 다만 그게 눈으로 볼 때와 귀로 들을 때 본인이 인식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생겨서 문제가 됩니다.(듣기 대본을 보십시요. 눈으로 보면 정말 쉬운 내용인데도 귀로 들으니 잘 안들리죠?ㅋ) 그렇기 때문에 꾸준히 듣기 연습을 해서 귀로도 영어가 익숙해 지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저 같은 경우 1회분을 풀 경우 틀린 문제만 한번 더 듣고, 잘 모르는 속담 정도만 따로 정리했습니다. 듣기는 한번에 많이 하는 것보다 가볍게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합니다~ ^^

언어는 답변을 해드리고 싶지만 저도 참 공부하면서 막막했던 과목이라.. ^^;
어떻게 들리실지 모르지만 언어점수는 마인드 문제인 것 같습니다.(꾸준히 공부했다는 전제하에..ㅋ) 수능 언어는 기존의 유형과 컨텐츠를 탈피하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보니 낯선 문제들에 학생들이 많이 당황하게 됩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언어영역에서 영어로된 지문이 나왔다는 소리는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문제는 모두 내가 읽은 수 있는 한글이고, 나는 어떤 생각으로 출제자가 문제를 냈는지 찾아봐야지~' 이렇게 편하게 생각하면서 문제를 대하면, 언어영역이 좀 더 덜 부담스럽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아직도 시간은 많습니다.
아무조록 조바심내지 마시고 남은 동안 시험 계획 잘 짜셔서 좋은 결과 얻길 바랍니다. ^^
Rush본좌
07/04/22 00:05
수정 아이콘
아 여러 선배님들의 조언 감사합니다. 아직 자괴감에 빠지긴 이른거 같네요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7008 인터넷으로 파는 시계가 정품인가요?? [3] WestSide2261 07/04/21 2261
27007 헤어스타일에 관한 질문입니다. [4] 모짜르트2312 07/04/21 2312
27006 고3인데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네요 [4] Rush본좌1881 07/04/21 1881
27005 고3 공부 질문좀 하겠습니다;(내신.모의고사) [4] 제3의타이밍1676 07/04/21 1676
27003 리바이스 바지 질문입니다. [3] 피하고싶다1892 07/04/21 1892
27002 축구 개인기에대해 잘 아시는 분들요~ [6] 나백수..1966 07/04/21 1966
27001 DMB폰, 위성DMB에 관련해서 궁금한점 !! 알려주세요 [6] A.COLE2117 07/04/21 2117
27000 저두 수시 관련 질문이요.. [3] 갈비한짝1711 07/04/21 1711
26999 워드 1급 실기... [8] Hobchins2135 07/04/20 2135
26997 한국 it 전문학교 질문입니다~ Whut!2067 07/04/20 2067
26995 EBS 강의에 대해.. [1] 슬픈이별1925 07/04/20 1925
26994 하나로통신배 스타리그 진출자 중 한명인 크리스토퍼 선수의 국적이 궁금합니다. [4] 랩교2111 07/04/20 2111
26993 이번 듀얼에서 오른쪽자리 승률이 어떻게 되죠? [3] 뻘짓1963 07/04/20 1963
26992 책 '향수'.. 볼만한가요? [12] 피하고싶다2168 07/04/20 2168
26991 우유의 진실!! [17] Cine_HyO2789 07/04/20 2789
26990 고데기 쓰시는 분 ~ [6] 디질래 랜드2651 07/04/20 2651
26989 그래픽카드 질문여 [2] 별 이 만 을1865 07/04/20 1865
26988 빡센 알바? [4] 대항해시대2131 07/04/20 2131
26987 워크 사운드가 울려요 ~ ㅠ [1] 디질래 랜드2140 07/04/20 2140
26986 모의고사 점수 하락... [9] buffon1934 07/04/20 1934
26985 인터넷신청 사은품... [3] 몽정가2203 07/04/19 2203
26984 군대 갔다오면 세상이 얼마나, 어떻게 변할까요?? [16] 삭제됨2636 07/04/19 2636
26981 파일을 한 번 열기만 했어도 따로 저장시킬 수는 없나요? [1] 정형식1680 07/04/19 16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