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08 22:29
안녕하세요! 임요환의 DVD입니다.
prescriptive grammar와 descriptive grammar 사이에서 고민하고 계시는 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그 결과 헷갈리느냐 아니냐'에 따라 대처하시면 됩니다. 위에 언급하신 예문의 경우 which가 나온다고 해서 fellow를 받는다 보기 어렵고 '보어'라고 밖에 달리 설명이 될 수 없기에 that이나 which나 상관 없이 쓰였습니다. 따라서 'which가 쓰였으므로 who도 쓰일 수 있지 않느냐'는 생각에는 애초에 which가 쓰일 수 있었던 배경, 원어민의 상식, 과정에 대한 약간의 오해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입니다. which의 경우 상식적으로 볼 때(언제나 예외는 '비상식적으로 억지로 만들면' 있습니다!!) 사람을 대신하지 않으므로 보어 속에 사람이 있을 경우 확실히 which가 누구랑 사귀고 있는지(1:1대응을 사귄다고 표현했습니다)에 대해 이견의 여지가 없을 것입니다. (복잡한 보어의 경우에는 또 다르겠죠. 언제나 이것이 법이다라고 단정짓듯이 말할 수 없음을 이해해 주세요.) 그러나 who도 쓰일 수 있느냐 하면, 물론 쓰일 수 있겠지요. 어떤 용법이 쓰이느냐 못 쓰이느냐의 기준은 규범문법이 될 수도 있지만 '원어민의 상식(intuition)'이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쉽게 말해서 who를 썼을 때 who가 누구와 사귀는 지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없다면, 그 때는 알려진 문법 수준에서 어디든지 who가 갈 수 있는 것입니다. 만약에 who가 절대로 보어에 갈 수 없다면, 그것은 who가 보어에 들어가면 언제나 누구랑 사귀는 지 헷갈리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떤 문법이든 '그 문법이 있기에 헷갈리지 않는 경우'가 무엇일까, 즉 그 문법이 없다면 어떨 때 헷갈릴까를 먼저 떠올려 보세요.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태어난 것이 문법입니다. 필요하니까 생기고, 필요 없어지면 사라지는 게 또한 문법입니다. '문법이 있기 때문에 문법 대로 해야 한다'는 생각은 영어를 죽은 언어로 취급한다는 말이기에 올바른 인식이 아니고, 학습자의 영어 공부에 방해가 되며, 영어 공부를 재미 없게 만듭니다. 정리하자면, who which that을 넣었을 때 해석이 모호해진다면 쓸 수 없다고 보시면 되고 넣어도 해석에 오해가 생기지 않으면 문법적으로도 맞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게 책에 없다고 해도요. (내가 해석하면 잘 되는데도 특별히 문법이 틀렸다고 책에 나온다면, 분명히 다른 어떤 경우에서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기에 그런 겁니다. 아무 이유 없이 문법이니까 된다 안된다 이런 문법은 없습니다. 문법은 사람을 불편하게 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언어가 처음 생긴 이래로 언제나처럼, 많은 사람들이 믿는 상식이 서서히 문법을 이겨나갑니다. 그런 견지에서 타우 님께서 질문 중 '문법'으로서 언급한 부분을 주체적으로 살펴 보세요. 1. that이 관계대명사로 쓰일 때 따로 보어로서 쓰임이 언급되고~ ->that은 거의 만능이잖아요. 어디 들어가서 오해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조건이 필요할 겁니다^^ 2. He is no longer the timid fellow which he used to be. -> 상식 선에서 해석했을 때 which가 누구랑 사귀는 지 알기 힘든가요? 아니면 쉬운가요? 위와 같이, 고민되는 문법 앞에서도 항상 당당한 태도 가지시면 영어가 더 재미있어질 지도 모릅니다~~ 쓸데없이 너무 길었네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07/05/09 00:30
흠...다른 분들에게도 지적받은 거지만 자연계통으로 진로를 결정해서 그런지 규칙을 중시하기에 너무 문법적으로만 접근한 것 같네요... 이것도 그렇게 접근하면 될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renewall님// fellow가 선행사라고 합니다. (지위, 성격 따위를 가리킬 때는 who가 아니라 which를 받는다고 하네요...)
07/05/09 03:30
타우님// 그렇군요. 지위, 성격 따위를 가리킬 때는 who가 아니라 which를 받는다는 건 처음 들어서 무척 당황스럽습니다 -_-;;
적어도 둘 다 되거나 who만 되거나 하면 모르겠는데 which만 가능하다니 -.-;; 그리고, which 대신 what 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a
07/05/09 15:41
renewall님//what은 들어갈 수 없구요. what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He is no longer what he used to be가 되어야 합니다. 문어체에서는 동격으로 부연 설명하듯이 쓸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 He is no longer the timid fellow, (that is) what he used to be
07/05/09 23:26
사이몬PHD님 // 후... 그런거 였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그런데 아래와 같은 문장이 절 또 괴롭히는군요 ^^ 하지만 오늘은 고민좀 그만하고 머리좀 식혀야겠습니다 -0-;; Diligence has made Tom what he is. 근면 덕분에 오늘날의 톰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