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21 01:22
트랜스 지방의 발생원인은..... 뭐 화학반응으로 튀길때 몸에 안좋은 지방이 생기는데 이게 몸안에 축적되면 좋지 않다...뭐 이런거겠죠. 수소가 어쩌고 지방이 어쩌고 하던데 이건 잘 모르겠고....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식품류에 트랜스 지방 수치 표시를 의무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패스트 푸드점에서도 트랜스지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구요
07/05/21 01:45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탄화수소에 카복실기(-COOH)가 결합한 것을 지방산이라고 부르는데요..
이 지방산은 sis형과 trans형의 두가지 입체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성 성분이 동일한 지방산이라고 해도 입체 구조의 차이로 성질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trans지방은 불포화지방산임에도 불구하고 체내에서 콜레스테롤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심혈관 계통의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발생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Canal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처럼 가열로 변성을 일으킨다거나 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07/05/21 01:58
흠..아직도 감이 잘 안오는데요..오늘은 이만 자야겟네요..
늦은시간에 답변해줏니 두분 모두 감사합니다. 좋은밤 보내세요..
07/05/21 04:02
간단하게 말해서 지방산은 덩어리가 있고 팔이 있는데, 이 팔을 둘다 위로 들고 있는 걸 cis, 하나는 위로 하나는 아래로 들고 있는 형태를 trans라고 합니다.(더 파고들면 저랑 같이 시험보시는게 좋죠 후-_-...) 일반적으로 불포화지방산은 포화지방산과는 달리 축적경향이 약해서 몸에 덜 나쁘다고 하는데, 트랜스불포화지방산은 포화지방산과 같이 축적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실제로는 좀 더 복잡하지만;;)
07/05/22 16:30
트랜스 지방이라는 것은 불포화 지방의 이중결합에 수소 원자가 끼어들 때 trans의 형태로 끼어들어서 생기는 겁니다.
trans 지방이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 몸이 trans 지방을 처리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처리를 못하기 때문에 한 번 들어온 trans 지방은 계속 몸에 축적되게 됩니다.
07/05/30 03:34
자연계에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은 모두 cis형태입니다. trans형태는 식물성기름이 오래되거나 가열되거나(혹은 전부)되어서 산화된 형태를 말합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동물성 기름을 쓰거나, 신선한 기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