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7/08 11:56
10가-나 떼세요. 수1은 그냥 학교에서 하는 만큼만 하시고요
10가나 솔직히 하면 수1 쉽습니다. 저 재수할때 수리 2~30점대에서 3달만에 70점대 끌어올렸고 그후에 꾸준히 해주니깐 8~90점대는 우습더군요. 물론 10가나 힘이 컸습니다. 소위 말하는 '질'좋은 문제는 그래프와 도형이 8~9문제정도 나오는 문제거든요. 10-가나를 하시면 그래프와 도형보는 시야가 넓어집니다. (참고적으로 그래프 도형 8~9문제 아래로 나오면 출제자가 문제 발로 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07/07/08 11:57
저는 인강을 별로 좋아하지 않거든요. (취약한 사탐부분만 한 두개 들었던 정도???) 수학은 조금 듣다 말았는데 한석원 선생님이 젤 나았습니다(티치미와 강남구청에 있습니다)
07/07/08 12:11
사실 수능과 수리가,나는 연계적인 관계만 있을 뿐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전부다 복습할 필요도 없고, 자신이 부족하다고 하는 부분과 수학1,2와 자주 연계되는 부분만 확실히 해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수학 교재는 개념원리는 비추 합니다. 왜냐면 증명의 부실과 더불어 단순히 공식을 암기하고 대입해서 푸는 형식인 문제가 많더군요,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공식을 외우는 것 외에는 남는게 없더군요. 수학1을 예습하는 차원이라면 역시 교과서로 공부 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릴게요. 교과서 활용법은 위에 있는 학습목표를 하나하나 이해한다는 마음으로 공부 하면 됩니다. 저희 학교 대학교수님께서 하시던 말씀이 학습목표 1개짜리는 2점 2개짜리는 3점 2개이상이 연계적으로 나오는 경우는 4점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 더불어 수학거미라는 책도 추천해드릴게요. 수능식 수학을 붙잡으려면 공식은 물론이거니와 정말로 깊은 이해와 사고가 필요합니다. 문제를 단순히 푸는 것을 넘어서서 왜 우연이 아니라 필연인지를 깨닫는게 중요해요. 보다 본질적으로 접근하셔야 할 겁니다. 공식에 숫자를 대입해서 풀리던 문제는 고등학교 이후로는 없다고 생각하시고 공부 하세요. 인터넷 강의는 수학만큼은 정말 한석원 선생님이 최고인것 같습니다. 사과탐은 고2여름방학 이후로 본격적으로 성적이 오르게 되어 있으니 아직 1학년이면 그리 심각하게 받아 들이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과탐은 그냥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그날 이해하는 식으로만 하셔도 충분합니다. 1학년때는 수학,외국어에 가장 힘을 많이 실어야 하구요. 언어는 스스로 분석하는 습관을 기르세요. 어차피 수능때는 자기가 외운 작품 나올 확률이 10%미만입니다. 예를 들어 현대시 같은 경우에는 스스로 화자(대상),상황,정서를 찾는 연습을 하시면 될겁니다. 더불어 문제를 풀면서 형식상의 표현등을 익히면 되겠구요. 비문학 같은 경우에는 각 문단의 주제와 전체 글의 주제, 각 문단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습만 꾸준히 하시면 될거에요. 그리고 시간이 많은 1학년 일때 꾸준한 독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