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8/30 10:01
똑같을 겁니다.
본래 CPU는 클럭을 따로 나눠서 제조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동일계열 코어의 경우에는요) 각 계열의 코어를 제조해서 가장 성능이 좋게 나온 게 플래그십 모델이 되는 거고 그 다음, 그 다음 해서 등급이 매겨져서 나옵니다. 3600과 4800이 동일 계열 코어이면 그 두 개 다 4800을 목표로 만들어진 CPU라는 거죠. 단지 하나는 성능이 좋게 나와서 4800이 된 거고, 좀 미달된 게 3600이 된 겁니다. 플래그쉽이나 상위모델 CPU가 비싼 이유가 이런 과정을 통해 적은 수율로 제조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오버클럭해서 운 좋게 상위 모델 클럭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위 모델과 같은 CPU가 되는거죠. 물론, 많은 경우에는 발열과 수명이 줄어드는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07/08/30 17:55
필요없어//님말씀처럼 다릅니다. FSB X 배수로 클럭이 결정되는데 같은 클럭이라고 할지라도 고FSB저배수가 성능이 조금더 뛰어납니다. 사람이 느끼지는 못하지만, 벤치를 돌리면 그렇게 나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비싼 CPU를 사는가하면, 일단 무리한 오버는 전압을 올려야하고 그러면 생명줄이 짧아질뿐더러, 발열과 전기세의 압박도있지요. 그러나 저FSB고배수의 CPU의경우 배수는 변경불가지만 FSB를 올려서 오버를 하면 저가형의 오버보다 훨씬 뛰어나기 때문이죠.~ 다만, 예외도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