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9/29 14:56
이거 발키리죠?
제가 이 맵의 심시티를 몰라서 무어라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원래 심시티는 세심하게 연구를 해야 하거든요. 토스는 맵이 나오면 심시티부터 연구를 해야 하죠. 어쨌든... 그래도 제가 저 한정된 화면에서만 드러난 정보를 가지고 심시티를 한다면... 전 반드시 저글링이 한 방향으로 오도록 하는 심시티를 하겠습니다. 즉 포지의 오른쪽 위 둥근 부분과 게이트 왼쪽 아래를 이어서 저글링이 아예 못들어 오게 하겠습니다. 그러면 맵에 따라서 1캐논 + 1게이트 (+ 1게이트로 길막기 이후 취소 또는 완성) 심시티가 가능해 지기도 하거든요. 그리고 히드라가 올 경우 방어해야 할 범위가 너무 넓은 게 아닌가 합니다. 그러니 첫 파일런의 위치를 좀 더 넥서스쪽으로 붙이거나 아예 파일런을 저것과 비슷한 위치에 두고 게이트와 포지를 후방에 두는 것은 어떨까 합니다. 즉 파일런을 노출시키고 게이트와 포지를 후방에 놓는 거죠. 파일런을 저글링이나 히드라가 일점사를 할 수 있지만 저글링의 경우 후방에 보강 파일런을 건설해 두면 fishing을 할 수 있고 히드라면 그 부근에 파일런을 보강해 두면 함부로 파일런 일점사를 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점들을 감안하시고 심시티를 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07/09/29 15:08
미네랄 뒷길의 경우 파일런으로 막힙니다. 포지와 사이버 건물의 위치를 바꾸면 두곳다 막힐것 같네요. 근데 저글링이 못들어올정도의 입구막기라면 스캐럽도 지나가지 못해서 히드라류에 약할것 같은데요;;
07/09/29 15:13
수험생님// 포지 + 게이트로 구성된 부분만 저글링이 통과하지 못한다는 거죠.
다른 부분으론 병력이 이동할 수 있게 심시티를 해야죠. 그리고 포지 + 게이트로 구성한 심시티는 저글링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스캐럽은 통과합니다.
07/09/29 16:49
스캐럽이 스타크래프트의 유닛 중 가장 작은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답은 실험을 해보면 알 수 있죠. 포지와 게이트 사이, 코어와 코어 사이를 모두 지나다닙니다. 리버를 빨리 뽑는 것은 분명 히드라 체제엔 큰 도움이 되죠.
07/09/29 16:59
유닛크기조사한 글이 있는데 저글링보다 스캐럽이 배 이상 작습니다.
솔직히 라이드오브 발키리나 몽환 5시는 더블넥 힘들어요. 1대1맵은 그래도 드론정찰 안보내는데 몽환은 드론정찰 보내서 캐논 짓기전 개스트릭으로 미네랄 뚫어버리더군요ㅡㅡ;;; ArcanumToss님//저도 후방 게이트포지 전진포톤도 생각해봤습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가스보호는 어렵고 특히 미네랄 밑으로 저글링이 통과되는 점이 난감입니다. 미네랄 밑 오른쪽 출구는 건물로 저글링을 못막고 유일하게 가스밑에 포지를 지어야 저글링 막을 수 있죠. 방송경기도 라발에서 더블넥 상대로 초반 몰아치면 저그가 대부분 게임을 유리하게 가져가게 되더군요.; 전 일단 더블넥 비추천입니다만, 좀더 연구해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07/09/29 17:15
저 스샷에서 포지를 맨 밑, 가운데 게이트, 맨위 코어만 지으면 저글링 통과하는 곳은 2곳정도가 되겠네요~
저는 코어는 심시티 활용안하는데 선리버체재에 뒷길도 있는 맵이면 괜찮을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