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12/18 19:58:10
Name 파란토마토
Subject 저도 입시관련 상담이요~
이과고 올해 수능봤습니다
언수외탐 2414433
네 수학이 좌절입니다 엉엉 ㅠㅠ
이걸로 어느정도 갈 수 있을까요
오늘 상담한걸로는 건대이상은 힘들다는데 그렇겠죠?

재수 해야겠네요 아무래도
재수하는거 일단 학원이 괜찮나요? 혼자하는것보다
또 제가 문과로 바꿔서 하려고 하는데
사탐은 무슨과목이 괜찮나요?
과탐의 화학 생물처럼 많이하는과목이 뭔가요?
재수하면 많이 힘든가요?ㅠㅠ 지금 좌절중이에요
재수할때 뭐 필요한것이라던가 중요한점 알려주시면 또 감사^^

ps ㅠㅠ 이거 써도 되는건지 안되는건지 모르겟네요 전에 본것같아서 쓰기는 쓰는데
문제가 되면 고칠께요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12-18 21:3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와이숑
07/12/18 20:12
수정 아이콘
죄송하지만 질문게시판에 쓰시는게...
어느정도를 갈수있을까요 라고 질문하시기 보다는 이미 점수가 나온 이상 자신이 가고 싶은 과를 정한 후, 대학을 결정하시는게 더 좋을것같아요. 뭐 꼭 XX대학을 가야겠다! 재수를 각오하더라도... 라면 재수하는것도 한 방법이겠지요.
세상속하나밖
07/12/18 20:15
수정 아이콘
과탐의 화학 생물을 고2때 배운거 같긴하지만 아무것도 기억이 안나므로..
사탐에서 공부 많이 해야하는건 국사 일듯 하네요. 서울대에서 국사보는거랑.. 국사 과목자체가 이해보단 암기가 시험이 더중요하다고하니

사탐 추천은 한지, 사문 정도 일듯.. [사람들이 가장 많이하는 두과목일듯? 할만하니 많이하는거..]
추천 하는거랑 자기랑 맞는거랑은 다르니.. ebs 인강 1강씩이라도 한번 들어보시고 고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07/12/18 20:15
수정 아이콘
재수는 학원에서 하는게 낫습니다.

혼자하면 아무래도 힘든듯...
웁스~리취~
07/12/18 20:17
수정 아이콘
아 정말 수학이랑 외국어 점수만 바뀌어도 대학간판이 여러개 바뀔 텐데요;;

제가 봐도..문과 체질이신듯하네요.과탐은 잘하지만 수학을 못하는 경우, 반대로 수학은 잘하지만 과탐은 못하는 경우는..

재수를 준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 수학,과탐이 동시에 터지는 경우가 많지만..

수학이랑 과탐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시면..이과로 재수생활하기 남들 보다 힘들수 있습니다.(힘들다는 이유가..수학 과학에 할애해야하는 시간이 남들 보다 어마어마하게 많아지게 됩니다..이과 공부 해보셨으면 아실 겁니다. 이과생들이 얼마나 수학과 과학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지..아마도 대부분 수학50%,과학 35% 언어외국어15% 정도 할겁니다. 허마 문과로 전과한다면 일단 수학 공부량이 3분의1로 줄죠.)

사탐은 과탐 보다 확실히 쉽습니다. 등급 받기 역시 당연히 쉽습니다. 언어와 외국어가 좋으시니..더더욱 사탐에 시간 할애하기 쉽겠네요.
07/12/18 20:23
수정 아이콘
재수를 생각하고 있는 고3입니다.

음 재수에서 사탐을 보시려면 자기가 상식에서 웬만큼 알고있다거나 흥미있다는걸 선택주시면 공부할때편할겁니다.

저같은 경우는 지리에 대해 어릴때부터 좋아하고 관심가져셔 알고있는것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레 한지, 세지를 선택했는데

다른 공부보다 재밌고 아는 것도 많이 나와서 부담도 적었습니다..

아무쪼록 재수 크리 ㅠㅠ
파란토마토
07/12/18 20:25
수정 아이콘
훔 답변해주신분들 감사드려요
질문게시판은 관심이 없더라구요 ㅠㅠ 썼는데도
문과로 재수하는게 아무래도 낫겠죠? 적성도 맞는것 같구요
제가 이과 문과 고를때 친구들이 다들 이과라서 이과따라간 경우.. 완전 망했죠 공간도형 벡터쪽에서 발린다는
사탐은 지금 계획은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
이정도 생각하고 있는데요 제가 경제 정치쪽 좋아하는데다가
이과목들이 암기가 적은편이고 생각하는게 많다고 하던데요?
또 정치랑 법과사회가연관성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the hive
07/12/18 20:32
수정 아이콘
수학과 탐구계열 등급이 저랑 같으시군요 ㅠㅠ
인하공대 붙었는데 벡터 기초부터 하려니 환장하겠습니다ㅠㅠㅠㅠㅠㅠ
웨인루구니
07/12/18 20:39
수정 아이콘
02년에 제가 저 정도 스펙으로 지방대 -0-..
07/12/18 20:47
수정 아이콘
03년에도 저정도면 서울은 꿈이었겠군요...

요즘 등급제 억울하다, 저주받은 89년생이다 하지만, 제 동생 대학 수시로 다 들어가고, 여기 올라온 등급들 보면,
오히려 지금이 더 유리한 것 같습니다. 뭐 2등급이 11%라죠? 후덜덜;;
파란토마토
07/12/18 20:51
수정 아이콘
ㅠㅠ그런가요
저도 도저히 맘에 안들어서 재수결정
언외는 자신있는데요
수리가형풀다가 나형으로 옮기면 점수 많이 오르나요?확률통계쪽은 나름 괜찮구요
아참 또 사탐같은경우에는 어떤식으로공부하나요?
저는 과탐공부할때 그냥 개념정리하고 문제풀고 이런식으로 햇는데..
와이숑
07/12/18 20:55
수정 아이콘
수리나형이 아무래도 이과생들이 성적이 잘나오죠. 재수하셔서 수리나형 준비하시면 삽자루샘만 믿고가세요 흐흐.. 반신반의하면서 삽샘만 믿고갔는데, 3월모의고사 40점대, 9월평가원까지도 64점이었는데 막상 수능봤을때 89점 2등급뜨네요;; 아무튼 결론은 삽렐루야~
세상속하나밖
07/12/18 20:57
수정 아이콘
예전에 pgr21 에서 수학 수능 관련글에서 봤는데.. 수리가형 4등급만 되도.. 나형풀면 2등급은 맞는다고 본거 같은뎀..
사탐 공부 방법도 과탐이랑 차이가 없을거에요.
뭐 제가 공부를 못하긴 하지만 사문이랑 경제 제가 느낀 바로는 외우는거 보단 생각이 맞는거 같네요.
사문같은경우 학교선생님도 기능론(?)//갈등론만 이해(?)하면 어려운건 없다고 들었던거 같으니..
이젠안녕
07/12/18 21:07
수정 아이콘
흠...

가형 4등급이 나형 2등급이라..

문과도 2등급까진 애들이 꽤 잘하는데 '';

1등급 상위권에서는 이과에 뒤지지도 않구요..
FOREVER_X
07/12/18 21:09
수정 아이콘
확실히 이과는 수학 못보면 갈 곳이 없는듯... 재수는 반드시 학원다니시는거 추천이요 1년 동안 혼자 맘잡는게 그렇게 쉽지가 않은듯
특히 남자라면 더더욱요. 사탐 3지리가 좋다고 하던데 준비할 시간도 그리 많지 않은데 그나마 좀씩 겹치는 3지리 하시는게 좋을듯하네요
웁스~리취~
07/12/18 21:26
수정 아이콘
문과 1등급 숫자가 이과로 오면 3등급까지 밀려납니다;;

막말로 이과 2등급이면 나형 수학 떡치는거 맞습니다..나형1등급이 이과오면 1,2등급 할지 몰라도..

나형2등급이면 장담하고 이과오면 4,5등급입니다.

이과 4,5등급 학생들에게 물어봐도 수리1에서 틀리는 경우는 거의 드뭅니다..틀려봐야 1,2개죠..또한 이과 4등급 받으려고 수1,수2,미적에 투자한 시간 오직 수리1에만 투자하면..점수 대폭 상승하는거야 뭐 당연하죠..
Nothing better
07/12/18 21:58
수정 아이콘
가형 4~5등급인 애들이 나랑 총점 맞먹어서 물어보니 나형으로 바꾸고 수리점수 급상승;

가형4이 나형바꾸면 2등급은 최소구요 1등급 맞는애들도 꽤되요
Left Alone
07/12/18 22:0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전 89-현역 문과생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은 답변드릴께요^^;
사탐은 사회문화,한국지리 는 선택자가 1,2위를 다투는 과목이기 때문에 특별히 적성에 엄청 안 맞다..만 아니면 하시는게 좋을꺼 같아요, 등급 받기가 쉬운편이죠..
이번 수능에서도 사회문화는 무난했다는 평가, 한지는 조금 어려웠지만 그에 비례해 등급컷도 확 내려가줘서.. (39던가..)

그 다음으로는 근현대사를 추천합니다. 선택자수도 3~4위 권으로 많고 분량도 다른과목에 비해서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근현대사는 정말 암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배신을 안하죠-_-;; 제대로 암기만 하면 10분+-로 다 풉니다.
전 수능 칠 때 근현대사가 2번째 시간이라서, 빨리 풀고 화장실 다녀오고, 3,4교시 경제-사문으로 이어지는 난코스를 대비해 마음을 잡았죠-_-;;
이번 수능에서는 역시 쉽게 나와서 등급구분점수는 높았지만 계속 1등급 받던 사람들은 대체로 다 받더군요..

나머지 한과목은 서울대를 노리신다면 국사... (이건 필요없는 참고가 되었으면 하지만, 우리때 3수를 하는 사람은 서울대+주요사립대(연고서성한이중)를 가려는 사람은 국사가 필수죠.. 재수땐 서울대만) 서울대는 전혀 관심이 없다면 국사는 특별히 좋아하는 과목이 아니라면비추천 입니다
서울대준비생은 100%국사를 하기때문에 1등급 받기가 매우 어렵죠, 분량도 사탐중에 제일 많습니다..

서울대가 아니라면, 나머지 과목중에 분명 적성에 맞는 과목 하나를 하시는게 좋으실듯..
저같은 경우 한지-사문-근현-국사를 학교에서 배웠는데, 국사를 포기하고 경제를 선택했습니다. 평소에 적성이 있는 과목이라 흥미도 있고, 교양 지식도 쌓여있었기에 문제도 많이 풀지 않고 인강만 한 번 들었는데 잘 나와서^^;
파란토마토
07/12/18 23:16
수정 아이콘
질문게시판으로 옮겨졌군요
없어져서 놀랐습니다
답변해주신분들께 감사드리구요
일단 사회문화 한국지리가 괜찮군요 정치 경제는 쫌 매니아틱한과목인가요 그것도 좀 궁금하네요
국사는 못할것같네요. 역사쪽은 별로 안좋아하는지라 ㅠㅠ
또 저는 서울대갈 생각이 아니기 때문에(사실 내신에서 이미 엉엉ㅠㅠ)
나형으로 바꾸면 희망이 보이는군요
삽자루선생님이 뭔가요?? 제가 고3때는 인강은 거의 안듣는 편이어서 잘 모르겟네요
아참 그리고 사탐같은경우 교양지식이나 이런것이 많이 중요한가요?
잃어버린기억
07/12/18 23:30
수정 아이콘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

이렇게 하시면 미.친.짓 이라고 과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일반사회 과목은 정말 집중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절대로 4과목 다하면 집중력이 미치질 못합니다.
3과목도 추천 안하겠습니다.
2과목만 하세요.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 이 네과목중엔.

역사쪽이 별로 안좋으시다면, 지리쪽에서 하나 넣으시고 윤리 하나 넣으세요.
그리고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중에 2개를 하시는편이 좋습니다.

그리고 법과사회와 경제는 굉장히 강력한 아이들이 많습니다.
정치는 그에 비하면 덜한 편이구요. 정치,경제 매니아틱한 과목이 아니라 무조건 실력싸움입니다.
매니아틱한 과목은 역사과목이죠.
사탐은 교양지식이 꽤나 많이 중요합니다. 특히 지리부분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파란토마토
07/12/18 23:40
수정 아이콘
아.. 이게 미친조합이었군요
제가 잘 몰라서
글을 읽어보니까 그런것같군요
훔 경제 정치가 맘에 드는데 경제 정치는 하는사람이 많지는 않은가봐요?
참고하겠습니다 2개선택
지리부분을 넣는게 중요하군요
와이숑
07/12/18 23:49
수정 아이콘
파란토마토님// 삽자루 선생님은 삽자루로 얘들 쥐어패서 삽자루라고 불리구요. 수리 인강계의 본좌 중 본좌입니다. (극 수능형 강의)
이 선생님의 특징은 욕이 수업의 반이에요 디씨에서 흔히 수리나형은 삽자루만 믿고가라 라는 말이 있을 정도죠. 저는 삽샘 덕을 많이 봐서 강추하는데, 혹시 삽샘 스타일이 싫으실수도 있으니 비타에듀에 가서 맛보기 한번 들어보세요.
non-frics
07/12/18 23:52
수정 아이콘
정치는 내용은 할만한데요 문제가 어렵게나와요. 만약 지리하실꺼면 세트로 하시는게 좋아요.
잃어버린기억
07/12/18 23:57
수정 아이콘
지리가 만약 싫다면 정말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축척이 뭔지도 모르는 저같이 무지한놈, 내신 지리하느냐고 정말 죽는줄 알았습니다.
진짜 책 전체를 다 외울정도로 해서, 겨우 원하는 점수 나오더군요.-_-;
사실 제가 이런 느낌을 갖는게 제 친구녀석이 억지로 국사하는것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되네요.

사실 제가 정말 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를 하는걸 추천하지 않는 이유가요...
정말 3,4월등 교육청땐 못느낍니다만, 6월이나 9월 모의고사에서는 확실히 느끼실거에요.
체력적 한계에 부딪칩니다.

사실 저는 역사를 굉장히 좋아해서 정말 공부 안될때는 국사 모의고사 3개 연빵으로 풀고,
그랬거든요. 사실 역사는 일단 하기만 하면 10분이면 다 풀 수 있어요.
다만, 일반사회(사회문화 경제 정치 법과사회)는 적어도 25분은 걸립니다.
게다가, 표 문제는 하나정도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나오거든요.
제가 이렇게 4일반사회를 비추하는 이유가 제 친구놈때문에 그래요.
그녀석도 엄청 열심히 했지만 결국 망했거든요. 정말 이건 체력적으로 따라갈 수가 없어요. 왠만하지 않으면..

그리고 근현대사 양이 적긴 하지만 결코 만만한 과목은 아니에요.
근현대사 외울게 없지 않습니다. 다만 배반을 절대 하지 않죠.
보통 공부하는애들보면 대부분 근현대사를 많이 공부해요. 외냐면 일반사회는 한대로 나오지 않아요.
그래서 보통 상위권학생은 정치/사문을 많이하지 않습니다. 집중력이 떨어지면 바로 배반하는 과목이거든요.
다만 경제/법사의경우 정말 근사나 국사처럼 한대로 나옵니다.

지리쪽은 잘 모르겠어서 답을 못드리겠구요. 윤리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추세이긴 해요. 그래서 고민좀 하실듯..

그리고 삽자루선생님 제가 듣지는 않았지만 욕을 엄청하신다고 하네요. 메가손사탐보다 더. 그리고 심하게.-_-;
와이숑
07/12/19 00:26
수정 아이콘
잃어버린기억님// 욕이 삽샘의 매력(?)이죠.
잃어버린기억
07/12/19 01:39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으론 수학인강 최고는 한석원샘입니다. 뭐, 전 서브로 수학인강을 들어서 그런지 몰라도,
정말 '수능' 그 본질에 접근하신분 이라고 생각.
한석원샘 비쥬얼에 현혹되시면 아니됩니다..ㅠ,ㅠ
파란토마토
07/12/19 11:46
수정 아이콘
혹시 삽샘 그 이비에스 인강에도 나오지않나요? 막 c8 c8 거리시던분
기억나네요 근데 삽자루로 패는건 후덜덜하군요 낄낄..
대답해주신분들 감사드려요 많은 도움이 된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247 나이키+아이팟 스포츠키트 질문이요^^ [2] WAN'T YOU1888 07/12/19 1888
32246 생활이 너무 무기력해진것같습니다.. [8] 멋진놈1977 07/12/18 1977
32245 가장 많은 방송경기 출전 선수는 누구인가요? [3] 고등어3마리2095 07/12/18 2095
32244 행정고시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5] Xenocide2227 07/12/18 2227
32242 육지에서 가장 빠른동물.. [12] SwEeTy2095 07/12/18 2095
32241 제가 인하공대를 갔는데 말입니다.... 도와주세요!ㅠㅠ [7] the hive2082 07/12/18 2082
32240 와우(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질문이요.. [3] Nothing better1696 07/12/18 1696
32239 저도 입시관련 상담이요~ [26] 파란토마토1926 07/12/18 1926
32238 급한 마음에 개인적인 입시관련 질문, 하나 올립니다 [15] 영웅의물량2255 07/12/18 2255
32237 지정 투표소 위치에 관한 질문 지니쏠2199 07/12/18 2199
32236 스타유즈맵 - 100만마리의 뮤탈을막아라- [4] 고민하는프로2049 07/12/18 2049
32234 전기감전 사고 관련질문입니다 [2] 슈렉3185 07/12/18 3185
32233 제가 지금 황당한 이야기를 들었는데 맞는 이야기인가요? [1] 낭만토스2124 07/12/18 2124
32232 LCD 다시 질문입니다 [3] 계란말이1676 07/12/18 1676
32231 운전면허에 대한 질문입니다. [3] 네이놈2117 07/12/18 2117
32230 입시관련 상담이에요 파란토마토1518 07/12/18 1518
32229 내일 대선 투표 장소 아무곳이나 가도 되나요? [3] 첼로2844 07/12/18 2844
32228 컴퓨터 관련 질문입니다 [1] 바포메트1578 07/12/18 1578
32227 대테란전 플토의 기본빌드오더 좀 알고싶어요. [1] 쿠야미2220 07/12/18 2220
32226 도와주세요~ 스타하는 도중 컴퓨터가 멈추네요 ㅠ.ㅠ 장삐에르주네1628 07/12/18 1628
32225 나이키 플러스 카와이하다1518 07/12/18 1518
32223 마재윤 선수 전성기 테란전에 대해서.. [5] 새로운별1936 07/12/18 1936
32222 만약에 이회창 후보가 당선되면 한나라당은 어떻게 되죠? [7] KanRyu2056 07/12/18 20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