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19 19:14
탈수초화라면 주로 말초 신경에 영향을 주는 것 아닌가요 ㅎㅎ
글쎄요. 저도 본1이고 저희 학교는 1학기 한 학기 동안에 끝냈는데, 몇몇 신경 질환의 기전 이해에 필요하더군요~ 저도 어려운건 모르겠고 Parkinson's Dz나 chorea 같은 신경정신과 질환(?)들 이해, 신경 외과 등에서 도움이 되긴 할 것 같네요.
07/12/19 19:23
원래 시험보고 나면 거의 90%는 까먹지 않나요;; 고등학교때 수능치느라 수십번 반복해서 외운게 아닌이상 시험보면 모두 초기화되더군요
07/12/19 19:24
의대예과가4년인가요? parkison`s Dz 랑 parkinsonism이랑 차이좀알려주시겟어요? 지금잘못쓰고나온것같은데 ㅠㅠ
아그리고 수초가되는게 cns랑 pns에서 구성하는세포의 이름은 다르지만 결국 둘다 수초라고부르지않나요-_-?
07/12/19 19:34
제가 막장이라 Parkinson's Dz와 Parkinsonism의 차이는 잘 모르겠구요. 당연히 똑같다고 생각되긴 하지만...
그리고 일반적으로 integration neuron에는 수초가 없다고 하지 않나요. 어렴풋한 기억이라 확실치는 않습니다. CNS가 brain만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혹시 틀린 말 해놓고 왔을까봐 대충 찾아보았는데, CNS에서 gray matter는 unmyelinated, w/o Schwann sheath 라고 하네요.
07/12/19 19:55
또잘못공부햇나보네요 ㅠㅠ. 백색질은 수초들이 모여있어서 하얀다고 공부했는데... 지금생각해보니 회색질을 지나는 트랙도 있었네요.
덜덜덜...난 지난학기동안 뭘배운거지-_-...
07/12/19 22:03
시험 끝나면 세세한 것은 잊는 것이 정상입니다^^;;
자기 전공이 아닌 과목에 대해서는 개념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현대 과학은 상당히 세분화 되어 있고, 또한 그 각 파트의 전문성도 상당히 깊습니다. 따라서 그것을 모두 알기는 불가능하고, 그것은 각각의 전문가에게 맡기면 됩니다. 그렇다면 배운 과목에 대해서 어느 정도면 될것인가? 모르는 부분이 생겼을 때 책 찾아보고 알 수 있을 정도면 최상일 것입니다. 그리고 댓글에 나와있는 이야기를 해보자면, Parkinsonism에 Parkinson Dz.가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bradykinesia, rigidity, rest tremor 등(더 있을텐데 기억이.. 파킨슨 표정도 있고)을 주 증상으로 하는 것들을 통칭해서 Parkinsonism이라고 하고, 그 대표적인 질환이 Parkinson Dz.입니다. 약물 등에 의해서도 Parkinsonism은 발생할 수 있는 것이죠. 비슷한 관계로 Cushing syndrome과 Cushing Dz.를 들 수 있겠네요.
07/12/19 22:59
와우 Timeless님 감사합니다. Parkinsonism 이라는 용어를 정신병 약물에서 처음 접했는데, 교수님께서 세세한 것은 잘 알려주시지 않으시더라구요. 덕분에 틀린 개념 올바로 바로 잡고 갑니다 ^^
|